천국의 눈물

 


1. 개요
2. 논란
2.1. 개막 전
2.2. 개막 후
3. 줄거리
4. 캐스트

Tears of Heaven

1. 개요


'''베트남 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한국 창작 뮤지컬'''. 가수 조성모의 히트곡이었던 '아시나요'의 뮤직 비디오를 줄거리의 원안으로 삼았다고 한다. 작곡은 국내에서는 지킬 앤 하이드로 유명한 프랭크 와일드혼이 맡았다. 제작사인 설앤컴퍼니 최초의 창작 뮤지컬인데, 한국의 많은 뮤지컬 제작자들이 흔히 말하듯 역시 브로드웨이웨스트엔드 등지로 진출하려는 야심을 가지고 일부러 해외 작곡가와 제작진들을 섭외해서 만들었다고 한다.
2011년 2월 1일부터 3월 19일까지 국립극장 해오름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2. 논란



2.1. 개막 전


막이 올라가기 전부터 여러 논란에 휩쓸린 작품이었다.
대표적인 것은 2010년 초 모차르트!에 캐스팅 되어 이미 뮤덕과 아이돌 팬들이 설전을 치르게 만든 김준수의 캐스팅. 사실 마찬가지로 가수인 다비치이해리도 함께 주인공으로 캐스팅 되었으나 김준수를 두고 뮤덕과 돌덕의 전쟁이 벌어지는 사이 그냥 유야무야 묻히고 말았다.
이외에도 좌석 등급과 가격으로 인해 논란을 일으켰다. 일반적으로 공연은 동일한 층의 객석에도 시야와 음향 등을 고려하여 여러 단계로 나누어 차등을 매기는데, 이 뮤지컬은 그럴 것 없이 객석 1층은 R석 객석 2층은 S석 객석 3층은 A석 이렇게 단순하게 분류해버렸다. 해오름 극장은 워낙 대형 극장이라 같은 층이라도 객석 뒷편으로 나갈수록 시야확보에 문제가 있는 데다 음향시설 역시 시원찮았다.[1] 이런 상황에서 단순한 차등을 매기고 높은 티켓 가격을 선정한 것에 대한 성토가 쏟아졌다.
하필 베트남 전쟁을 배경으로 하여 한국인과 베트남인의 사랑을 그린 내용도 비판거리가 되었다. 아무리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하는 작품이라고 해도 지나치게 해외 관객의 취향을 의식한 것 같다는 평가. 더불어 동일한 소재를 다루고 있는 미스 사이공에 얹혀 가려는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를 들어야 했다.

2.2. 개막 후


공연 자체의 평은 그리 좋지 못했다.
프랭크 와일드혼의 음악은 그런 대로 괜찮은 반응을 얻었다. 제작사 측에서 타이틀 곡으로 밀었던 'Can you hear me?' 역시 다수의 관객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넘버가 좋으면 뭐하나, 줄거리는 일단 시망이라는 평이 대세였다. 등장인물 심리와 갈등구조 등이 허술하다고 비판 받았다.
더불어 무대 바닥에 LED 조명을 설치하여 연출에 새로운 시도를 한 것은 좋으나 거기에 돈을 다 발랐는지 무대 세트가 저 줄거리 만큼이나 허접해졌다. 관객들은 휑한 무대 한가운데 혼자 외롭게 서서 공간을 분할하는 문짝을 바라보거나, 무대 위로 솟아 오르는 종이비행기 꼬리를 바라보며 그 허접함에 치를 떨어야 했다. 여담으로 저 문짝은 온갖 장면에서 본인의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에 그 공로를 기려 별명이 생겼다. 일명 천국의 문짝
어쨌든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나, 초연이 올라온지 9년이 지난 2020년 현재까지도 재연에 대한 소식도 없고, 더군다나 제작사가 최근 몇년간 창작뮤지컬은 컨녕 라이선스 공연에도 투자를 안하니 재연은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

3. 줄거리


1967년, 한국 군인 준은 전쟁이 한창인 베트남에 파병된다. 준은 고급클럽에서 노래하는 베트남 여인 린을 보고 반해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한다. 린은 원래 미군 그레이슨 대령의 후견으로 미국으로 건너가게 되어 있었지만, 준의 계속되는 구애에 마음이 흔들리고 결국 미국행을 포기하고 준과 함께 한국으로 가기로 결정한다. 역시 린을 사랑하고 있었던 그레이슨 대령은 두 사람을 갈라놓기 위해서 준을 위험한 작전에 투입시켜버린다.
준이 소속되어 있던 연합군은 큰 타격을 입지만, 준은 월맹군에 가담해 있던 린의 오빠 썽의 도움으로 살아난다. 하지만 준과 헤어져 있던 사이 잘못된 정보를 접해들은 린은 준이 죽었다고 생각하고 그레이슨 대령을 따라 미국으로 향한다. 린은 미국에서 준과의 사이에서 가진 티아나를 낳는다. 어머니의 재능을 물려받은 티아나는 성장하여 오페라 가수가 되고, 마침내 극장에서 그녀를 찾아온 아버지 준과 만난다.

4. 캐스트



[1] 사실 국립극장 해오름은 뮤덕들 사이에서는 '저주받은 극장'이라 할 만큼 단차도 음향도 시망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