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서
한국 4대 명필[1] 중 봉래 양사언의 광초(狂草).
草書
서예에서 한자를 '''가장''' '''흘려쓴''' 서체. 한자의 필기체라고 보면 되겠다. 생소해 보이는 사람도 있겠으나, 일본 문자 중 하나인 히라가나가 한자의 초서체에서 유래된 문자로, 문자의 형태가 초서체를 거의 그대로 가져왔기 때문에 일본어를 접해본 사람이라면 생각보다 쉽게 접하게 된다.
초(楚)나라 장기알의 글자가 초서체로 쓰여 있기 때문에 초서체를 '초나라의 글자체'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게 아니다. 오히려 초나라보다 후대인 후한대의 장지(張芝, ?~192)라는 인물이 초서를 창시한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장지의 초서는 장초(章草)라고 하여 한글자 한글자를 흘려 쓰는 방식인데 이것은 당시에 유행하던 예서(隸書)를 속기로 흘려 쓰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한다.[2] 이 당시에는 한대 예서의 특징인 '파세'(혹은 '파략')가 글자에 드러나며, 이후 금초나 광초에서는 이것이 사라진다.
한자는 획수가 많아서 원래의 형태를 하나 하나 똑바로 적으려면 한 글자를 적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그래서 해서는 느릿한 걸음, 행서는 일반적인 걸음이라는 표현이 있다. 속기의 필요성이 있을 때는 이 원래 한자의 모양이 걸림돌이 되기 십상이라 한자의 모양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로마자 필기체처럼 흘려쓰는 형식이 발달했다. 이것이 초서인 셈. 그러나 속기성에 치우쳐 글자의 모양을 너무 간략화했기 때문에 때로는 글 쓴 본인조차도 세월이 흐르고 나서 자신이 무슨 글자를 썼는지 까먹을 정도로 글자 형태를 알아보기 힘든 큰 단점이 있다.
사적(私的)으로 작성된 고서나 고문서는 이 초서로 쓰인 경우가 많다. 게다가 '''글 쓴 사람에 따라서 필체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고려~조선시대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이 초서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다. 비중으로 따지면 조선시대가 더 높다. 특히 고문서학에서 초서가 차지하는 비중은 90% 이상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왕실문서는 무조건 해서로 적는 게 원칙이지만 관청문서, 민간문서로 넘어가면 초서는 100% 등장한다. 최소 가로길이가 미터로 시작하는 결송입안/분재기류로 넘어가는 순간 초서와 이두가 함께 공존하는 아스트랄한 기분을 느끼게 된다. 사학 전공자 중에서도 초서를 능숙하게 읽는 사람은 소수인데[3] 진짜 빠르게 휘갈겨 쓴 초서는 실제 붓의 궤적을 따라가면서 원래의 글자를 추정해야 할 정도로 매우 복잡하다. 또한 서예가 중에서도 초서를 능수능란하게 구사 할 수 있는 서예가는 극히 소수이다. 그래서 기존 작품을 필사하는 것이 전부인 경우가 허다하다. 당연히 초서로 쓴 글은 글자 형태 자체만 보고서는 무슨 말인지 알지 못한다. '''자형+문맥을 통해서만 제대로 독해가 가능하다.'''
즉 초서를 볼 수 있는 사람은 초서라는 필체는 물론 한문의 다양한 문맥 자체가 머리에 들어 있을 정도로 한문에 대단히 익숙한 사람이다. 한문의 전문가 중의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그래도 언뜻 제멋대로 쓴 것 같아 보여도 시중에 초서 사전이 나와 있고 일정한 규칙이 있기 때문에 훈련을 하면 어느 정도 익숙해지긴 한다. 문제는 옛날 고문서가 그렇듯 깔끔하게 작성된 서류는 많지 않다. 쓰다가 틀리면 검은 먹으로 그냥 지워버리기도 하고 좀먹거나 찢어진 부분도 많아 판독하는데 꽤나 오랜 시간이 걸린다. 국내에서도 읽고 쓰는 것을 모두 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드물며, 쓸 줄 안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쓴 것을 쉽게 읽을 수 있는 서체가 아니다. 다만, 쓸 줄 알면 붓의 궤적을 따라가는 데는 수월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쉽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일 뿐이다. 어디까지나 '상대적'이다.
행서와 기본 개념은 비슷하다. 기본 법칙과 형태를 가지고, 간략하게 쓴 것이라는 공통점은 있지만, 한 번 더 간략화한 것이 초서이다. 사실 행서에서도 쓰는 필자에 따라 글자 하나에도 강조되는 구조나 형태가 제각각이다. 그러나, 초서는 가뜩이나 제각각이고 축약된 행서에 더욱 형태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음으로써, 그것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해독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또한, 글자 형태가 매우 단순해지면서, 자칫 아예 다른 글자를 똑같은 글자로 해석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앞뒤 문맥과 글자를 파악해가면서 알고리즘 분석하듯 해석을 한다. 승정원일기의 해독이 지지부진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 초서를 행서, 혹은 예서와 같은 정자로 정서하는 작업을 탈초(脫草)라고 부른다.
현대 중국의 간체자가 이 초서체에서 유래한 것이 많다. 수레 차(車)를 간화한 车가 그 예. 장기알을 보면 초나라의 차가 车와 비슷한 모양으로 적혀 있는데 실제로 車의 초서체가 그렇게 생겼다.
또한 일본의 히라가나도 초서체를 약간 변형해서 만든 문자다. 예를 들면 '安'자의 초서체를 변형시킨 것이 바로 'あ'이다.
[image]
위 이미지는 文武(문무)를 초서체로 쓴 것이다. 武의 초서가 마치 む와 비슷해 보이는데, 실제로도 む가 武의 초서체에서 생겨난 글자다. 히라가나가 아니다! 다만 굳이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닌 이상 한문에서 초서체를 이렇게 정성들여 반듯하게 쓰는 경우는 드물다. 굳이 시간들여 이럴게 쓸거면 그냥 원래 형태로 쓰기 때문이다.
[image]
위의 표에서 상중하로 각각 히라가나, 원래 한자, 그 원래 한자의 초서체를 비교해 볼 수 있다.
초서 해독 전문가로는 《난중일기》를 완역한 노승석 교수가 유명하다.# #
[1] 다른 셋은 그 유명한 석봉 한호, 아름다운 예서체의 안평대군 이용, 인수체로 유명한 자암 김구다. *[2] 서예가이면서 한학자인 월천 권경상의 경우, 초서의 발생에 대해서 '장초' 때문에 초서가 예서에서 나왔다-는 주장을 소개한 바 있다. 영상 15분 6초부터[3] 세상이 좋아져서 어지간한 사료는 (국역은 아니더라도)전산화가 되어있어서 해서만 알아도 웬만한 연구는 가능하다. 다만 이두가 문제인데, 그래도 인터넷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