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환적분
1. 부정적분
1.1. 개요
복잡한 합성함수를 적분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다. 보통 합성함수를 적분할 때 먼저 치환적분을 해본 후 치환적분이 먹히지 않으면 부분적분법을 쓴다. 다만, 이 방법을 적용했을 때 초등함수로 결과가 나오지 않는 함수들이 있다. 단적인 예로 $$\dfrac{\sin x}{x} $$라거나 $$e^{-x^2} $$이라거나..[2] 만약 초등함수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급수로 나타내서 적분하거나 수치해석을 이용할 수 있다.
$$x=g(t) $$ 이고 $$g(t) $$가 미분 가능할 때, 치환적분법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고등학생이라면 '''분명 기호에 불과하다고 배웠던 $$\dfrac{\mathrm{d}y}{\mathrm{d}x} $$를''', 마치 분수처럼 계산해서 $$\mathrm{d}x = g'(t) \,\mathrm{d}t$$와 같은 식으로 $$\mathrm{d}x$$나 $$\mathrm{d}y$$라는 단독표현을 써서 치환적분법을 배웠을 것이다. 이것은 사실 $$\dfrac{\mathrm{d}y}{\mathrm{d}x} $$가 단순한 기호가 아닌 미분형식이라는 엄연한 연산자[4] 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미분형식은, 해당 문서를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여러 가지 미분 개념을 미리 마스터한 뒤에 배운다. 즉, 대학교를 가도 공업수학을 배우는 공대생이나, 수학과 신입생까지는 대게 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그냥 그런 게 있다 정도로만 알려준다. 이런 판국이니 고교 교육과정 입장에선 저 기호를 제대로 알려줄 수가 없는 것. 물론 지나치게 어려운 내용은 아니고 맘만 먹으면 고교 수준에서도 충분히 정의할 수 있는 개념이긴 하다. 여튼 교육 과정에는 벗어나는 방법이지만, 위 방법도 수학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추가로 치환적분법이 한 참고서[5] 에 따르면 '$$x=g(t) $$가 일대일 대응이어야 한다'라고 고교과정에서 배운다고 하는데, 이는 잘못된 내용이며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도 $$x=g(t) $$라는 말 밖에 없다. Thomas 미적분학 교재에서도 $$x=g(t) $$가 미분가능해야 한다고 설명하지, 절대로 일대일 대응 관련 이야기는 없다.
위와 같은 말이 나온 이유는, $$x=g(t) $$가 일대일대응이 아닐경우, $$x=g(t) $$의 증감에 따라 구간을 나눠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경우를 생각하여 오류 없이 구간을 잘 나눈 경우에는 $$x=g(t) $$의 일대일대응 여부는 치환적분과 상관이 없다.
1.1.1. 예제 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 일단 $$t=f(x) $$로 둔다.
- 그러면 $$f'(x)=\dfrac{\mathrm{d}t}{\mathrm{d}x} $$이다.
- 따라서 $$\displaystyle \int \frac{f'(x)}{f(x)} \,\mathrm{d}x = \int \frac1t \,\mathrm{d}t$$이다.
- 이것의 부정적분은 $$\displaystyle \int \frac{f'\left( x \right)}{f\left( x \right)}\,\mathrm{d}x=\ln\left| f\left( x \right) \right|+ \mathsf{const.}$$이다. (단, $$\mathsf{const.}$$는 적분상수이다.)
- 위에서 $$t=f(x) $$라 하였으므로, 그대로 대입하면 최종적으로 $$\ln{|f(x)|}+C$$이 된다.
$$\displaystyle \therefore \int \frac{f'(x)}{f(x)} \,\mathrm{d}x = \ln{|f(x)|}+C $$
1.1.1.1. 예제 1-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displaystyle \int \tan x \,\mathrm{d}x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 \tan x \,\mathrm{d}x &= \int \frac{\sin x}{\cos x} \,\mathrm{d}x \\
&= -\int \frac{(\cos x)'}{\cos x} \,\mathrm{d}x \\
&= -\ln{\left|\cos x\right|}+C
\end{aligned}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 \tan x \,\mathrm{d}x &= \int \frac{\sec x \tan x}{\sec x} \,\mathrm{d}x \\
&= \int \frac{(\sec x)'}{\sec x} \,\mathrm{d}x \\
&= \ln{\left|\sec x\right|}+C
\end{aligned} )]
1.1.2. 치환 적분을 두 번 이상하는 경우
1.1.2.1. 예제 2[6]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displaystyle \int \sqrt{1+e^{ax+b}} \,\mathrm{d}x $$
[6] 이 예제에서 $$a=2$$, $$b=0$$이면 $$e^x$$의 곡선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가 된다.
$$\displaystyle \int \sqrt{1+e^{ax+b}} \,\mathrm{d}x = \frac1a \int \frac{\sqrt{1+t}}t \,\mathrm{d}t $$
셋째줄에서 넷째줄로 넘어갈 때 부분분수분해법을 사용했다.
1.1.3. 삼각 치환
변수를 삼각함수로 치환하여 적분하는 방법이다.
대개 $$\displaystyle \int \sqrt{a^2-x^2} \,\mathrm{d}x$$는 $$x = a\sin t$$로, $$\displaystyle \int \sqrt{a^2+x^2} \,\mathrm{d}x$$는 $$x = a\tan t$$로 치환하여 적분한다.
$$\displaystyle \int \sqrt{x^2-a^2} \,\mathrm{d}x$$는 $$x>0$$일 땐 $$x = a\sec t$$로, $$x<0$$일 땐 $$x = a\csc t$$로 치환하거나 아크시컨트, 아크코시컨트의 도함수를 이용하여 적분한다. 삼각치환을 할 때는 범위를 지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1.3.1. ∫ √(a²-x²) dx 꼴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displaystyle \int \sqrt{a^2-x^2} \,\mathrm{d}x $$
일단 $$\displaystyle x = a\sin t$$로 두고, $$t$$의 범위는 $$-\dfrac{\pi}2 \le t \le \dfrac{\pi}2$$로 둔다. 양 변을 $$t$$에 대해서 미분하면 $$\dfrac{\mathrm{d}x}{\mathrm{d}t} = a\cos t$$이고, 이 식을 $$\mathrm{d}x = a\cos t \,\mathrm{d}t$$로 바꾸어 본래의 적분에 대입하면 아래처럼 진행할 수 있다.$$\cos\biggl( \arcsin \dfrac xa \biggr) $$를 구하기 위해 $$\sin^2t+\cos^2t=1$$에 $$t=\arcsin{\dfrac xa} $$를 대입하면
이 식을 위의 적분 결과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1.1.4. ∫ f(lnx)/x dx 꼴
1.1.4.1. 예제 4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displaystyle \int \frac{\sin{(\ln x)}}x \,\mathrm{d}x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 \frac{\sin{(\ln x)}}x \,\mathrm{d}x &= \int \frac{\sin{(t)}}{e^t} \cdot e^t\,\mathrm{d}t \\
&= \int \sin t \,\mathrm{d}t \\
&= -\cos t + C
\end{aligned} )]
$$\displaystyle \therefore \int \frac{\sin{(\ln x)}}x \,\mathrm{d}x = -\cos{(\ln x)}+C $$
2. 정적분
2.1. 개요
닫힌 구간 $$\left[a,\,b\right] $$에서 연속인 함수 $$f(x) $$에 대하여 미분가능한 함수 $$g(t) $$ 의 도함수 $$g'(t) $$가 닫힌 구간 $$[\alpha,\,\beta] $$에서 연속이고 $$a=g(\alpha),\,b=g(\beta) $$이면
$$\displaystyle \int_a^b f(x) \,\mathrm{d}x = \int_{\alpha}^{\beta} f(g(t)) \,g'(t) \,\mathrm{d}t $$
2.1.1. 예제 1
다음 정적분을 구하시오.
$$\displaystyle \int_0^a \sqrt{a^2-x^2} \,\mathrm{d}x $$
참고로, 이 정적분 값은 반지름이 $$a$$인 사분원의 넓이와 같으므로[7] , 이를 4배하면 반지름이 $$a$$인 원의 넓이가 $$\pi a^{2}$$이 됨을 알 수 있다.
[7] $$\displaystyle y=\sqrt{a^2-x^2} $$이라고 두고 양변을 제곱하면 $$x^2+y^2=a^2 \, (y\ge0) $$이 되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