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삼각함수

 




1. 개요
2. 상세
3. 성질
4. 미분법
5. 적분법
5.1. 특수 적분
6. 이변수함수 꼴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


삼각함수역관계 함수. 결과값이 으로 나오며, 호도법에서는 단위원을 기준으로 각의 크기가 곧 호의 길이가 되기 때문에 '호(arc)'를 의미하는 접두사 $$\rm arc$$-가 원래 함수의 명칭 앞에 붙는다.[1]

2. 상세


삼각함수는 모두 주기함수이므로 일대일대응이 아니기 때문에 역함수를 정의할 수 없다. 하지만 정의역을 제한하여 일대일대응으로 만들면 역함수를 정의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cos \theta$$의 치역은 구간 $$[-1,~1]$$인데 임의의 $$x\in\left[-1,~1\right]$$에 대하여 $$\cos \theta=x$$가 되는 $$\theta$$ 값은 무수히 많다. 그러나 $$\theta$$의 범위를 $$[0,~\pi]$$로 제한하면, $$\cos \theta=x$$을 만족하는 $$\theta$$는 단 하나로 정해진다. 이 $$\theta$$의 범위를 주요값(principal value)이라고 하며, 각종 삼각함수의 역함수를 정의할 수 있게 된다. 각종 삼각함수의 역함수에 대해 정의역과 주요값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역삼각함수'''
'''정의역'''
'''치역'''(주요값)
$$\arcsin x$$
$$-1 \le x \le 1$$
$$-\dfrac\pi2 \le \arcsin x \le\dfrac\pi2$$
$$\arccos x$$
$$0 \le \arccos x \le \pi$$
$$\mathrm{arccsc}\,x$$
$$x\ge1$$ 또는 $$x\le-1$$
$$-\dfrac\pi2 \le \mathrm{arccsc}\,x < 0$$ 또는 $$0 < \mathrm{arccsc}\,x \le \dfrac\pi2$$
$$\mathrm{arcsec}\,x$$
$$0 \le \mathrm{arcsec}\,x < \dfrac\pi2$$ 또는 $$\dfrac\pi2 < \mathrm{arcsec}\,x \le \pi$$
$$\arctan x$$
$$\left\{x|x\in\mathbb R\right\}$$
$$-\dfrac\pi2 < \arctan x < \dfrac\pi2$$
$$\mathrm{arccot}\,x$$
$$0 < \mathrm{arccot}\,x < \pi$$
참고로 수학자마다 표기가 제각각이다. 예를 들어 아크사인의 경우 $$\rm asin$$(MATLAB 문법에서 사용), $$\rm arcsin$$(가장 정확한 표기법), $$\sin^{-1}$$(제곱 표기[2]와 혼동되므로 수학계에서 그다지 권장하지 않는 표기법) 등의 표기가 난립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아예 다루지 않으나, 계산기를 사용하는 해외에서는 보통 중학교 3학년 정도에 배운다. 화학에서 용어는 사용하지 않으면서 언급하기도 한다. 정사면체이면각은 $$\arccos\left(\dfrac13\right)$$이다. 메테인의 결합각 약 $$109.5\degree$$가 사실은 $$\arccos\left(-\dfrac13\right)$$이다. 이 각도가 나오는 것은 벡터내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삼각함수는 오일러의 공식을 이용해서 복소평면상에서 정의할 수 있고, 이렇게 확장하면 역함수를 정의하기가 용이하다.
오일러의 공식 $$e^{ix}=\cos x+i\sin x$$를 이용한다. $$x$$에 $$-x$$를 대입하면 $$e^{-ix} = \cos\left(-x\right)+i\sin\left(-x\right) = \cos x-i\sin x$$가 되므로, 두 식을 이용하면 $$\cos x$$, $$\sin x$$를 $$e^{ix}$$, $$e^{-ix}$$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즉,
$$\begin{aligned}\cos x &= \dfrac{e^{ix}+e^{-ix}}2 \\ &= \dfrac{e^{2ix}+1}{2e^{ix}} \\ \sin x &= \dfrac{e^{ix}-e^{-ix}}{2i} \\ &= \dfrac{e^{2ix}-1}{2ie^{ix}}\end{aligned}$$[3]
각 식은 $$e^{ix}$$에 대한 2차 방정식과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변형한 뒤 근의 공식을 적용하고 자연로그를 취하면 $$x$$를 $$\cos x$$, $$\sin x$$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begin{aligned} \left(e^{ix}\right)^2 &- 2\cos xe^{ix} + 1=0 \\ e^{ix} &= \cos x \pm \sqrt{\cos^2x-1} \\ x &= -i\ln\left(\cos x \pm \sqrt{\cos^2x-1}\right) \\ \left(e^{ix}\right)^2 &- 2i\sin xe^{ix} -1 = 0 \\ e^{ix} &= i\sin x \pm \sqrt{1-\sin^2x} \\ x &= -i\ln\left(i\sin x \pm \sqrt{1-\sin^2x}\right) \end{aligned}$$
$$\cos x = z$$라 놓으면 $$x = \arccos z$$이며, 마찬가지로 $$\sin x = z$$라 놓으면 $$x = \arcsin z$$이므로
$$\begin{aligned} \arccos z &= -i\ln\left(z \pm \sqrt{z^2-1}\right) \\ \arcsin z &= -i\ln\left(iz \pm \sqrt{1-z^2}\right) \end{aligned}$$
각 식에서 부호가 2개씩 얻어지는데, 미분했을 때 우리가 알고 있는 도함수의 꼴이 나오는 쪽을 취한다. 즉 $$\dfrac{\mathrm{d}}{\mathrm{d}z}\arccos z = -\dfrac1{\sqrt{1-z^2}}$$, $$\dfrac{\mathrm{d}}{\mathrm{d}z}\sin z = \dfrac1{\sqrt{1-z^2}}$$이므로
$$\dfrac {\mathrm{d}}{\mathrm{d}z}\arccos z = \dfrac {\mathrm{d}}{\mathrm{d}z}\left\{-i\ln\left(z \pm \sqrt{z^2-1}\right)\right\} = -i\dfrac{1\pm\dfrac z{\sqrt{z^2-1}}}{z\pm\sqrt{z^2-1}} = -i\dfrac{\dfrac{\sqrt{z^2-1}\pm z}{\sqrt{z^2-1}}}{z\pm\sqrt{z^2-1}} = \mp i\dfrac1{\sqrt{z^2-1}}$$ (복부호 동순)
$$= \mp i\dfrac1{i\sqrt{1-z^2}} = \mp\dfrac1{\sqrt{1-z^2}} \qquad \therefore \arccos z = -i\ln\left(z+\sqrt{z^2-1}\right)$$
$$\dfrac {\mathrm{d}}{\mathrm{d}z}\arcsin z = \dfrac {\mathrm{d}}{\mathrm{d}z}\left\{-i\ln\left(iz \pm \sqrt{1-z^2}\right)\right\} = -i\dfrac{i\mp\dfrac z{\sqrt{1-z^2}}}{iz\pm\sqrt{1-z^2}} = -i\dfrac{\dfrac{i\sqrt{1-z^2}\mp z}{\sqrt{1-z^2}}}{iz\pm\sqrt{1-z^2}} = -i\dfrac{\pm i}{\sqrt{1-z^2}}$$ (복부호 동순)
$$=\pm\dfrac1{\sqrt{1-z^2}} \qquad \therefore \arcsin z = -i\ln\left(iz+\sqrt{1-z^2}\right)$$
이해가 안 된다면 근호의 부호가 $$+$$일 때랑 $$-$$일 때로 나눠서 각각 계산해보면 된다.
또한 복소수 $$z = re^{i\theta}$$에서 편각 $$\arg z = \theta$$의 범위를 구간 [math(\left(-\pi,~\pi\right])]로 잡으면 $$\ln i = \ln e^{\frac\pi2i} = \dfrac\pi2i$$이므로
$$\begin{aligned} \arccos z &= -i\ln\left(z+\sqrt{z^2-1}\right) = -i\ln\left\{i\left(-iz+\sqrt{1-z^2}\right)\right\} = -i\left\{\ln i + \ln\left(-iz+\sqrt{1-z^2}\right)\right\} \\ &= -i\ln i - i\ln\left(-iz+\sqrt{1-z^2}\right) = -i^2\frac\pi2 + i\ln\frac1{-iz+\sqrt{1-z^2}} = \frac\pi2 + i\ln\left(iz+\sqrt{1-z^2}\right) \\ &= \frac\pi2 - \arcsin z \end{aligned}$$
가 되어 실수 범위의 함수에서 성립하던 성질도 여전히 유효함을 알 수 있다.
$$\arctan x$$의 경우 도함수를 적분함으로써 유도할 수 있다.
$$\dfrac{\mathrm{d}}{\mathrm{d}x}\arctan x = \dfrac1{1+x^2} = \dfrac1{\left(x+i\right)\left(x-i\right)} = \dfrac1{2i}\left(\dfrac1{x-i}-\dfrac1{x+i}\right)$$
이므로
$$\displaystyle \arctan x = \int \frac1{2i}\left(\dfrac1{x-i}-\dfrac1{x+i}\right)\mathrm{d}x = \frac1{2i}\ln\left|\frac{x-i}{x+i}\right| + C$$
여기서 치역이 주요값의 범위를 취한다고 하면, $$\arctan 0 = 0$$이므로 절댓값을 벗겨서
$$\begin{aligned}\arctan x &= \dfrac1{2i}\ln\dfrac{i-x}{i+x} \\ &= -\dfrac i2\ln\dfrac{i-x}{i+x} \\ &= \dfrac i2\ln\dfrac{i+x}{i-x}\end{aligned}$$
$$\sec z = x$$라 놓으면 $$\cos z = \dfrac1x$$이므로 $$z = \mathrm{arcsec}\,x = \arccos\dfrac1x$$, 즉 $$\mathrm{arcsec}\,z = \arccos\dfrac1z = -\ln\left(\dfrac1z+\sqrt{\dfrac1{z^2}-1}\right)$$
같은 방식으로
$$\mathrm{arccsc}\,z = \arcsin\dfrac1z = -i\ln\left(\dfrac iz+\sqrt{1-\dfrac1{z^2}}\right)$$
$$\mathrm{arccot}\,z = \arctan\dfrac1z = \dfrac i2\ln\dfrac{i+\dfrac1z}{i-\dfrac1z} = \dfrac i2\ln\dfrac{zi+1}{zi-1} = \dfrac i2\ln\dfrac{z-i}{z+i}$$
$$\begin{array}{cc}\begin{aligned} \arcsin z &= -i\ln\left(iz+\sqrt{1-z^2}\right) \\ \arccos z &= -i\ln\left(z+\sqrt{z^2-1}\right) \\ \arctan z &= \dfrac i2\ln\dfrac{i+z}{i-z} \end{aligned} & \begin{aligned} \mathrm{arccsc}\,z &= -i\ln\left(\dfrac iz+\sqrt{1-\dfrac1{z^2}}\right) \\ \mathrm{arcsec}\,z &= -i\ln\left(\dfrac1z+\sqrt{\dfrac1{z^2}-1}\right) \\ \mathrm{arccot}\,z &= \dfrac i2\ln\dfrac{z-i}{z+i}\end{aligned}\end{array}$$
이 식은 삼각함수를 복소평면으로 확장해도 성립한다. 주의해야할 점은 $$\arctan z$$와 $$\mathrm{arccot}\,z$$인데
$$\begin{aligned} \dfrac\pi2 - \arctan z &= \dfrac\pi2 - \dfrac i2\ln\dfrac{i+z}{i-z} = \dfrac\pi2 + \dfrac i2\ln\dfrac{i-z}{i+z} \\ &= \dfrac i2\left(\ln\dfrac{i-z}{i+z} - \pi i\right) = \dfrac i2\ln\dfrac{i-z}{i+z}e^{-\pi i} = \dfrac i2\ln\dfrac{i-z}{i+z}\left(-1\right) \\ &= \dfrac i2\ln\dfrac{z-i}{z+i}\end{aligned}$$
이렇게 실수 함수에서 성립했던 성질을 유도하려면 편각 $$\arg z$$의 범위를 [math(\left(-\pi,~\pi\right])]에서 $$\left[-\pi,~\pi\right))]로 재조정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편각의 주요값 [math(\left(-\pi,~\pi\right]$$ 범위로는 저 관계가 유도가 안 된다. 그냥 $$\arctan z + \mathrm{arccot}\,z$$를 계산만 해줘도 알 수 있는데 결과값 $$\dfrac i2\ln\left(-1\right)$$에서 주요값 범위로는 $$\ln\left(-1\right) = \pi i$$이므로 식의 결과가 $$\dfrac\pi2$$가 아닌 $$-\dfrac\pi2$$가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외의 사실로 저 정의를 통해 유리수 삼각비[4]에 대응하는 각도를 구할 수 있다. 물론 실제로 구해보면 한없이 너저분한(...) 값이 나온다는 게 문제지만.

3. 성질


역사인, 역탄젠트, 역코시컨트, 역코탄젠트는 원점 대칭인 홀함수이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arcsin x = -\arcsin \left(-x\right) \\ \arctan x = -\arctan \left(-x\right) \\ \mathrm{arccsc}\,x = -\mathrm{arccsc} \left(-x\right) \\ \mathrm{arccot}\,x = -\mathrm{arccot} \left(-x\right)$$
[1] 참고로 역쌍곡선 함수에서도 이 접두사를 쓰는 '''틀린 용법'''을 꽤 자주 접할 수 있는데 역쌍곡선 함수의 접두사는 $$\rm ar$$-이며 넓이(area)에서 유래했다.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 참조[2] 보통 함수의 거듭제곱은 함수의 시행 횟수를 뜻하지만, 삼각함수와 로그함수만은 예외적으로 결과값의 거듭제곱을 뜻한다.[3] $$\sin x$$에 관한 식에 $$i$$가 있음에 주의.[4] $$\{3,4,5\}$$ 같은 피타고라스 세 쌍으로 나타낼 수 있는 유리수
반면에 역코사인, 역시컨트는 원래 함수가 짝함수인 관계로 음함수가 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x$$축 아래를 버렸으므로 홀함수도 짝함수도 아니다.

4. 미분법


  • $$\dfrac {\mathrm{d}}{\mathrm{d}x} \arcsin x = \dfrac1{\sqrt{1-x^2}}$$
  • $$\dfrac {\mathrm{d}}{\mathrm{d}x} \arccos x = -\dfrac1{\sqrt{1-x^2}}$$
  • $$\dfrac {\mathrm{d}}{\mathrm{d}x} \arctan x = \dfrac1{1+x^2}$$
  • $$\dfrac {\mathrm{d}}{\mathrm{d}x}\,\mathrm{arcsec}\,x = \dfrac1{\left|x\right|\sqrt{x^2-1}}$$
  • $$\dfrac {\mathrm{d}}{\mathrm{d}x}\,\mathrm{arccsc}\,x = -\dfrac1{\left|x\right|\sqrt{x^2-1}}$$
  • $$\dfrac {\mathrm{d}}{\mathrm{d}x}\,\mathrm{arccot}\,x = -\dfrac1{1+x^2}$$
미분 형태를 보듯 제곱근 함수의 역수꼴이라 삼각치환에서 자주 볼 수 있다.

5. 적분법


  • $$\displaystyle \int \arcsin x\,{\mathrm{d}x} = x \arcsin x + \sqrt{1-x^2}+C$$
  • $$\displaystyle \int \arccos x\,{\mathrm{d}x} = x \arccos x - \sqrt{1-x^2}+C$$
  • $$\displaystyle \int \arctan x\,{\mathrm{d}x} = x \arctan x - \frac12\ln\left(x^2+1\right)+C$$
  • $$\displaystyle \int \mathrm{arcsec}\,x\,{\mathrm{d}x} = x\,\mathrm{arcsec}\,x - \mathrm{sgn}\,x \ln\left(x+\sqrt{x^2-1}\right)+C$$
  • $$\displaystyle \int \mathrm{arccsc}\,x\,{\mathrm{d}x} = x\,\mathrm{arccsc}\,x + \mathrm{sgn}\,x \ln\left(x+\sqrt{x^2-1}\right)+C$$
  • $$\displaystyle \int \mathrm{arccot}\,x\,{\mathrm{d}x} = x\,\mathrm{arccot}\,x + \frac12\ln\left(x^2+1\right)+C$$
여기서 $$\mathrm{sgn}\,x$$는 부호 함수이다.

5.1. 특수 적분


  • $$\displaystyle \int \frac{\arcsin x}{x} \,{\mathrm{d}x} = -\frac{1}{2} \left(2 \ln \left(-e^{2i \arcsin x} + 1 \right) - i \arcsin x \right) - \frac{i}{2} \mathrm{Li}_2 \left(e^{2i \arcsin x} \right) +C$$
  • $$\displaystyle \int \frac{\arccos x}{x} \,{\mathrm{d}x} = -\frac{1}{2} \left(2 \ln \left(e^{2i \arccos x} + 1 \right) - i \arccos x \right) - \frac{i}{2} \mathrm{Li}_2 \left(e^{2i \arccos x} \right) +C$$
  • $$\displaystyle \int \frac{\arctan x}{x} \,{\mathrm{d}x} = \frac{i}{2} \left( \mathrm{Li}_2 \left( -ix \right) - \mathrm{Li}_2 \left(ix \right) \right) +C$$
  • $$\displaystyle \int \frac{\mathrm{arcsec}\,x}{x} \,{\mathrm{d}x} = \frac{i}{2} \mathrm{arcsec}\,x \left(2i \ln \left(e^{2i\, \mathrm{arcsec}\,x} + 1 \right) + \mathrm{arcsec}\,x \right) + \frac{i}{2} \mathrm{Li}_2 \left(-e^{2i \,\mathrm{arcsec}\,x} \right) +C$$
  • $$\displaystyle \int \frac{\mathrm{arccsc}\,x}{x} \,{\mathrm{d}x} = \frac{i}{2} \mathrm{arccsc}\,x \left(2i \ln \left(-e^{2i\, \mathrm{arccsc}\,x} + 1 \right) + \mathrm{arccsc}\,x \right) + \frac{i}{2} \mathrm{Li}_2 \left(e^{2i\, \mathrm{arccsc}\,x} \right) +C$$
  • $$\displaystyle \int \frac{\mathrm{arccot}\,x}{x} \,{\mathrm{d}x} = -\frac{i}{2} \left( \mathrm{Li}_2 \left( -\frac{i}{x} \right) - \mathrm{Li}_2 \left(\frac{i}{x} \right) \right) +C$$
여기서 $$\mathrm{Li}_2$$는 폴리로그함수이다.

6. 이변수함수 꼴


ffff00>
$$\displaystyle \mathrm{atan2}(x,\, y) =\begin{cases}\displaystyle 2 \arctan \left(\frac{y}{\sqrt{x^2 + y^2} + x} \right) & \mathsf{ if } \ x>0 \\ \displaystyle 2 \arctan \left(\frac{\sqrt{x^2 + y^2} + x}{y} \right) & \mathsf{ if } \ x\leq 0, \, y\neq 0 \\ \displaystyle \pi & \mathsf{ if } \ x< 0, \, y=0 \\ \emptyset & \mathsf{ if } \ x=0,\, y=0\end{cases} $$
역삼각함수 중 이변수함수로 정의되는 함수도 있다. 현재는 $$\arctan$$에 대응하는 함수만 정의되어 있다.
이 함수의 결괏값으로 복소수 $$x + iy$$의 편각을 얻을 수 있다.

7. 기타


  • 위에서 구구절절 설명이 길었지만, 사실 개념 자체는 삼각비를 배울 때부터 함께 따라다녔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단적인 예가 삼각방정식인데, 직각삼각형의 변 길이가 모두 주어졌을 때 각도[5]를 구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는 무엇인지 아직 모르는 상태이지만) 역삼각함수를 생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8. 관련 문서




[5] 교과과정상 $$30\degree, 45\degree, 60\degree$$만 다루기는 하지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