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군

 


'''카자흐스탄군'''
[image]
[image]
[image]
[image]
1. 개요
2. 군별 군사력
3. 바깥 고리
4. 관련 문서


1. 개요


[image]
(카자흐스탄의 지역 사령부)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의 맹주국(盟主國)[1]으로 지역 내에서 가장 강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 2014년 2월 1일, 지역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의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과 아딜벡 자크시베코프 카자흐스탄 국방장관은 회담을 마쳤다고 한다. 회담에서 러시아는 상당한 양의 S-300 지대공 미사일을 카자흐스탄 군대에 공급한다고 밝혔다. 러시아 언론들에 따르면 러시아는 카자흐스탄군에 5개 대대 물량의 S-300이 제공할 것이라고 한다.
카자흐스탄은 기본적으로 징병제를 취하고 있으나 대한민국과 같이 무지막지한 수준은 아니다. 2016년에 모병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자녀가 있거나 학생이거나, 취업중인 회사가 '이사람은 우리 회사 (우리나라 산업에) 필요한 인재다.' 정도의 공문을 써주면 면제가 가능하다. 사실상 군대 가기 싫으면 얼마든지 안 갈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그것을 문제 삼지 않는다. 할 일 없고 대학도 못 가는 시골 사람들이나 가는 곳이 군대라고 인식한다.[2] 다만 군대를 다녀오면 경찰이나 소방관 등의 채용에 확실한 가산점이 있기 때문에 젊은이들의 입대가 끊이지 않고 지속된다고 한다. 육군력은 좀 부족해도 공군력은 러시아 공군을 제외한 독립국가연합 중 가장 강하다.

2. 군별 군사력



2.1. 육군력


카자흐스탄은 소비에트 연방 공화국 중에 하나였다. 소비에트 내에서 카자흐스탄의 국토는 러시아 다음의 크기를 자랑했다. 총 45,000명의 병력 중 30,000명이 지상 병력이다.
카자흐스탄 육군의 전차
종류
수량
출처
T-72/B
300
IISS 2013, 221.
카자흐스탄 육군의 APC[3]
종류
수량
출처
BMP-2
500
IISS 2013, 221.
MT-LB
150
IISS 2013.
BTR-50/BTR-60
300

BTR-70/BTR-80
190

BTR-80A/BTR-82A
100
IISS 2013.
BRDM-2
40
IISS 2013
BRM
140

BPM-97
80

Otokar Cobra
30

HMMWV
51

GAZ-2330
130

BTR-3E
2

BTR-4
0(100대 주문)

BMPT
30


2.2. 공군력


[image]
Kazakhstan Air Force tribute
카자흐스탄 공군의 전투기
종류
수량
기타
MiG-29, UB
39

MiG-31B
30

Su-27, UB
26
10여기 다목적기인 Su-27BM2/Su-27UBM2로 업그레이드 중.
Su-30SM
4
소련의 대독승전기념 70주년 퍼레이드에서 4기 포착.
카자흐스탄 공군의 공격기, 폭격기
종류
수량
기타
Su-24M
25
폭격기
Su-25, UB
14
공격기
MiG-27M
12
공격기
MiG-23UB
3
전투훈련기

2.3. 해군력


[image]
카스피해가 있지만 수도를 포함해 인구 대부분이 내륙에 거주하는 관계로 다른 연안국들에 비해 해군력이 미약하다. 카스피 해에 석유가 많다보니 카스피 해 접안국과 영토 분쟁이 있다.
[image]
카자흐스탄 해군의 참수리급 고속정 (현재는 퇴역)
한국 해군의 오래된 군함 혹은 경비정 등을 제3국에 파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명목상 1달러에 파는 것으로 무상지원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외교력 확대를 꾀하는 것이다.
지난 2006년 (2005년 일수도 있지만) 카자흐스탄 해군에 참수리급 고속정을 척당 100달러에 3척을 팔았다. 카스피해에서 운용되다 부품등이 부족하여 방치되어 있다가. 2012년에 카자흐스탄에서 자체 건조한 카자흐스탄급 미사일 초계정 4척을 들여왔고 2015년에는 샬다그급 고속정 6척을 이스라엘에서 인수해 자연스럽게 참수리를 퇴역시켰다.#

3. 바깥 고리



4. 관련 문서





[1] 일정한 지역이나 관련이 있는 여러 나라 중에서 우두머리가 되는 국가.[2] 다만 한국과 카자흐스탄은 군사적으로 처한 환경이 다른 만큼 양국의 징병제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건 문제가 있다. 카자흐스탄 주변에는 군사 대치중인 주적도 없고 파탄 국가라고 할만한 나라가 없다.[3] 출처: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II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