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탈로니아 찬가

 

Homage to Catalonia[1]
1. 개요
2. 내용
3. 대중 매체


1. 개요


조지 오웰스페인 내전에 참가했던 경험을 기록한 르포르타주[2]. 1938년 1월에 탈고하여 4월에 출간되었다.

2. 내용


스페인 내전 당시 마르크스주의통일노동자당, 약칭 통일노동자당과 어울리던 오웰이 파시스트들과 싸우고, 총도 맞아 보고, 그러다가 같은 편이었던 스탈린주의자들의 배신[3] 때문에 아내와 함께 스페인을 탈출해 프랑스를 거쳐 영국에 도착하기까지의 과정을 담고 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와 같이 스페인 내전을 다룬 작품이지만 그 성격과 내용은 전혀 다르다. 애초에 싸운 세력과 전선의 차이를 고려하면 당연한 일이기는 하지만. 반공논객으로 유명한 조갑제 같은 사람들은 전자(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는 픽션으로, 후자(카탈로니아 찬가)는 논픽션으로 규정하며 헤밍웨이를 가루가 되도록 깠다.
초반부에 시작될 때 정의감과 자신감에 넘쳐 "내가 과연 몇 명이나 죽일 수 있을까?"라고 생각해보던 전쟁 초기의 자세가 후반부에 들어서는 "아이고, 맙소사! 난 여길 빠져나가야겠어!"로 바뀌는 실감나는 과정이 굉장히 인상적인데, 오웰은 자신의 특기인 '철저히 무미건조한 접근' 대신 '철저하게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이야기를 진행해 나간다.
왜냐하면 오웰 자신이 책에서 밝혔듯이 이 책이 쓰여진 이유는 바로 '''분노'''이기 때문이다. 스페인의 부패상과 반파시스트 세력들 간의 내부 분열, 소련의 힘을 등에 업은 스탈린주의자들이 같은 반파시스트 세력인 비스탈린주의자들이나 아나키스트들을 비난하고 공격해서 결국 불법단체로 만들어 버리는 상황이나, 후방에만 가만히 앉아서 왜곡된 이야기를 신나게 지껄이는 기자들을 보면서 참전용사로서 분노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 분노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인지 이 책에는 곳곳에 오웰 특유의 비꼬기와 시니컬한 유머가 깊게 스며들어 있다. 배꼽을 잡고 웃을 만한 유머들도 많기 때문에 보는 동안 지루할 일은 없으나, 도중에 등장하는 '서류적인 반박' 챕터가 약간 거슬리는 면이 적지 않아 있다.[4] 실제로 읽다 보면 한 챕터가 뭔 알아듣지도 못할 당대의 칼럼과 잡지들의 논박-당대의 키보드 배틀(!)-과 그에 대응하는 오웰 본인의 키배질을 수록하고 있다. 르포 작가로써의 자기관이 뚜렷한 오웰이 자기 르포를 활용해가면서까지 키배질을 하는 것을 보면 당시 오웰이 얼마나 빡쳐있었는지 알 수 있다(...).
카탈루냐 독립운동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다시피 카탈루냐는 스페인 내전 직전까지도 계속하여 독립을 기도하는 등 스페인 내부에서 위험요소로 간주되는 반란지역에 가까운 취급을 받고 있었다. 이에 따라 카탈루냐에서 조직된 공산당이나 반파시스트 운동은 마드리드의 좌파 정부와 거리를 둔 독립적인 정당을 구성하고 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책에서도 묘사되듯 소련의 지원으로 좋은 무장상태를 가지고 있던 타 부대들과 달리 제대로 된 보급이나 지원을 받지 못하고 언론에 의한 음해의 대상이 되곤 하였다. 결국 이러한 내분 상태는 스페인 내전이 한참 진행되는 와중에 수만명의 카탈루냐 계열 의용군이 같은 편인 스페인 좌파정부군과 시가전을 벌이는 끝에 해산되고 투옥되어 적잖은 숫자가 옥사하는 황당하고 비참한 결과를 가져온다. 카탈루냐 계열 의용군으로 자원하여 스페인으로 온 조지 오웰 역시 카탈루냐의 공산당과 아나키스트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이 벌어지는 와중에 체포될 뻔했다가 영국인이라는 신분과 부상으로 전선에서 떠나있었던 천운으로 간신히 스페인을 빠져나올 수 있게된다.
이 작품은 "스페인 정부를 비롯한 유럽 각국의 정부 및 외부 언론이 펼친 통일노동자당과 반파시스트 세력에 대한 음해 "+ "자신들에 대한 비판을 거부하는 스탈린주의자들의 음해"의 양면공세 때문에 출간 당시에는 별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출간 당시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기 직전까지 9백 부 정도밖에 팔리지 못했으며, 1951년 사후 재판을 찍어 낼 때도 초판 1500부가 모두 팔리지 않은 상태였다고 한다. (그의 생애 이 작품이 번역된 언어는 이탈리아어가 전부였다.) 반면 참전도 하지 않고 아바나에서 쓴 헤밍웨이의 작품은 큰 대박을 쳤다(...)[5] 그래도 오웰은 애착을 가진 이 작품의 오류를 계속 수정하고 재판을 내려고 했다고 한다. 죽을 때까지도.
이 책에서 오웰은 사그라다 파밀리아 대성당을 왜 안 폭파시키냐고 깠다고 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딴건 잘도 폭파시키면서 저 괴상하게 생긴건 남겨뒀네'라는 식의 비꼬기.
오웰은 의용군에 있으면서 비록 잘 먹지도, 씻지도, 입지도 못했지만 진정으로 자유롭고 인간냄새나는 이들과 함께 있을 수 있었기에 행복했다고 한다.

3. 대중 매체


켄 로치 감독의 1995년작 영화 랜드 앤 프리덤(Land and Freedom)이 바로 오웰의 카탈로니아 찬가를 베이스로 영화화한 작품이다. 실패한 혁명에 대한 향수와 좌파 세력 내부 분열에 대한 비판을 그대로 필름에 옮겨내었다.

[1] homage는 찬가, 찬미라는 뜻이며 프랑스어 homage('''오마주''')에서 온 말이다.[2] 몇몇 책 소개문에 소설이라고 되어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소설이 아니다.[3] 아나키스트들과 가까이 지내던 통일노동자당이 소련에 의해 '''트로츠키파'''로 낙인 찍힌다.[4] 오웰 자신도 스페인 내전이 끝난 지 10년 정도 지나면 이 챕터의 가치가 완전히 없어질 거라고 인정했지만 일단은 고발과 분노의 분출을 위해서 감수하고 넣었다고 한다.[5] 헤밍웨이는 군인으로서는 아니지만 특파원 신분으로 스페인에서 활동하다 돌아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