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피르 하와트

 

[image]
듄(1984)의 하와트
Thufir Hawat. 소설 의 등장인물.[1]
아트레이드멘타트로 암살의 대가(Master of Assassin). 최고의 능률을 자랑하는 멘타트 중 하나로 유명하며, 오랫동안(약 3대라는 세월 동안) 아트레이드 가문을 섬겨왔다. 나이가 상당히 많으며 그 때문에 멘타트 능력이 전성기에 비하면 저하된 상태이다. 그러나 레토 아트레이드 1세는 이를 알면서도 이러한 사실은 그에게 멘타트로서 수치심을 안겨줄거라 생각해 그를 해임하지 않았다.
거니 할렉, 웰링턴 유에, 던칸 아이다호와 함께 의 스승이었으며 그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었다.[2] 이 덕택에 폴은 교모를 뛰어넘는 능력에 멘타트의 판단과 연산능력을 지니게 된다.
아트레이드 공작 레토 아트레이드 1세의 측근에 배신자가 있다는 것을 알고 레이디 제시카를 의심했다.[3] 그러나 제시카의 기세에 눌려[4]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했고, 아트레이드가 멸망하자 역시 제시카가 배신자였다고 생각하고는 미연에 방지하지 못한 죄책감과 함께 제시카에 대한 앙심을 품는다.
블라디미르 하코넨 남작에게 잡힌 그는 겉으로는 남작을 섬기며 제시카와 하코넨에 대한 복수의 기회를 노리기로 한다. 남작은 그에게 파이터 드 브리즈가 개발한 독약[5]을 먹여 계속해서 해독제를 먹지 않으면 죽는 몸으로 만든다. 그는 숙부를 죽이고 남작이 되려는 페이드 로타 하코넨에게 귀띔을 해주기도 하고, 검투경기에서 페이드와 짜고서 멋진 상황을 연출해 페이드가 사람들의 인기를 얻게 만들기도 한다.[6]
하와트는 아트레이드 멸망 후, 밀수업자로 일하던 거니 할렉에게 제시카가 배신자라고 말한다. 덕분에 거니는 제시카를 재회했을 때 칼로 그녀를 죽이려 했지만 폴로부터 사실을 전해듣고는 칼을 거두었다.
그는 코리노 가문의 황제 샤담 4세가 패배할 때 그 옆에 있었으며 그들이 폴과 협상을 하러 나타났을 때, 앞으로 나와 폴과 재회한다. 그리고 그 직후에 사망했다. 그가 폴을 재회했을 때 잠복성 독약의 해독제를 복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죽은 것이다.
영화 듄(1984) 극장판에선 폴이 샤담 4세와 협상을 하러 나올 때 황제 곁에 있는 모습을 보인체, 폴과 직접 대면하지는 않고 죽는 장면도 따로 없다.
하지만 '''무삭제 영상'''을 보면 폴과 황제의 협상자리에서 하코넨에게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모습으로 나오는데 일전에 블라디미르 남작이 "투퍼도 이제 하코넨이다."라는 발언을 했던 것을 보면 자기가 누군지도 제대로 인지 못하는 것처럼 세뇌당한 듯이 보이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졸개가 되어 페이드에게 해독제를 빌미로 은밀히 단검을 받고 폴을 죽이라는 명령을 받게 된다.
하지만 정상적이지 못한 그의 마음을 알아챈 폴은 아트레이드 가문과의 긴 우정을 다시 되새겨주면서 그에게 지난 잊어버렸던 믿음을 깨우치게 해주고 정신을 차린 그는 자신의 행동에 비관하여 스스로 가슴에 달린 하트 플러그를 뽑고 폴의 품속에서 죽음을 선택한다.

가문 3부작에선 비교적 젊은 시절이라 본작에서 늙은 탓에 삽질만 하는 모습이 아닌 날카로운 두뇌를 보여준다. 젊은 레토와 롬버의 전투술 스승이기도 했으며 파울루스 노공작의 사망 이후 던칸 아이다호가 누명을 쓰게되자 마부의 거짓말을 행동거지와 표정 등으로 분석해서 진실을 알아낸다.

[1] 초기 풀빛에서 나온 번역판에서는 서퍼 하와트로 번역이 되어있으나 실제로는 "튜-"로 시작한다.[2] 그 중 두드러지는 것 중 하나는 "문을 등진 채로 앉아 있지 말라"는 가르침이었며, 그가 폴과 재회할 때 폴은 자신은 문을 등진 채로 있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3] 남작의 메세지를 포로에게서 받았는데, 여기서는 공작이 사랑하는 주변 사람이라고 했기에 유에 박사는 여기에 해당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해서(이건 수크 의사가 지닌, 어떤 형태로든 환자에게 위해를 줄 수 없는 특성을 감안한 것이기도 하다) 제외, 제시카는 부모가 분명하지 않아 아트레이드 가문에 앙심을 품은 집안의 딸일지도 모른다고 추리했다. 제시카가 배신자라는 사실은 틀렸지만 다른 추리는 맞았다.[4] 이건 정확히는 '목소리(Voice)'로 불리는 베네 게세리트들이 지니는 일종의 암시 능력 탓이었다.[5] 잠복성 독약(Residual Poison). 일단 몸 속에 들어가면 이후 지속적으로 해독제를 먹어야 하고, 해독제를 복용하지 않으면 중독자는 곧 죽게 된다. 하코넨 남작은 해독제를 그의 음식에 계속 넣어주었으며, 하와트는 이러한 독약 및 해독제를 복용한 사실을 죽을 때까지 알지 못했다.[6] 다만 이 '연출'이 의도적으로 약에 취하지 않게 한 아트레이드 출신 검투사와 페이드를 싸우게 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던지라, 하와트가 누구를 검투사로 세우느냐에 따라 페이드를 죽이기 위한 음모가 될 수도 있었다. 페이드도 이런 리스크를 감안하고 했던 도박이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