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초
[image]
poncho
기다란 천 가운데에 있는 구멍에 머리를 들이밀어 입는 옷. '판초'는 영어식 발음이고, 본래 스페인어 발음은 '폰초'이나, 널리 쓰이는 '판초'를 표준어로 삼았다.
등산이나 야영을 하기에 적합한 비옷이다.
일종의 망토로 페루 원주민들의 전통옷이었다는 주장, 마푸체 전통의상이었다는 주장이 있다. 오늘날도 원주민들은 이 옷을 입고 다니는데, 그들이 좋아하는 무지개빛 알록달록한 무늬를 수놓아서 굉장히 화려하다. 보통 알파카나 라마(llama)의 털에서 뽑은 실을 뜨개질하듯 직접 손으로 짜서 만드는데, 입으면 생긴것과 달리 굉장히 따뜻하다. 원주민들은 외출할 때는 입고, 잘 때는 벗어서 이불처럼 덮는다. 물건을 싸서 자루처럼 쓰거나 아기 포대기 용도로도 쓰는 듯하다.
이것이 스페인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져서 한때 판초를 입는다는 것은, 아메리카 태생의 백인. 즉 크리오요(criollo)의 상징이 되기도 했으며, 20세기에는 미국을 비롯한 나라에서 입기 시작해 히피 문화의 상징 아이콘이 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본래 남성용이었던 판초가 알게 모르게 여성용으로 바뀌었는데, 그 때문인지 한국에서도 판초는 주로 여성들이 가을, 겨울에 입는다. 근데 남성들도 입을 기회가 있긴 있다. 바로 군대(!)
[image]
최초의 군용 판초 도입은 1850년대 미군으로, 판초에 고무로 방수처리를 하여 비따위를 막을 용도로 사용하였다가 남북전쟁기에 공식적으로 판초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또한, 도입과 함께 판초의 모양이 기존 군용물자인 방수포의 모양과 유사함에서 착안하여 우의로 입을수 있음과 동시에 야전텐트의 바닥에 깔거나 야전들것 등으로 활용할수 있도록, 황동따위로 보강된 단추와 구멍이 달려나오게 되었다.[1] 곧 판초 겸용 셸터-하프의 개념은 전세계적으로 퍼지게되었고, 독일 등지에서는 첼트반으로 부르는 물건이 바로 이 셸터-하프다.
[image]
군대에서는 일명 '''판쵸''' 우의로 통한다. 한창 장마철인 6, 7월에 입소하는 사람들은 훈련소에서 거의 늘 입게 될지도 모른다. 자대배치 받고서도 짬 딸릴 땐 판쵸우의를 입지만, 부대 여건에 따라 간부용 우의를 입는 사치를 누릴 수도 있을 것이다.
입는 방법은 사진에서 보이다시피 그냥 뒤집어쓴 다음에 머리만 구멍으로 빼면 된다. 다만 훈련시엔 기동성 강화 등의 명목으로 팔 부분을 돌돌 말아서 전투복 어깨에 견장을 끼는 부분에 말은 판쵸우의를 끼워서 결과적으론 팔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입는 방법이 있는데 주로 '''피콜로'''로 통한다.[2] 그냥 입는것에 비해 좀 더 움직이기 편하나 가뜩이나 안되는 방수가 더 안 된다.
군인들은 대부분 판쵸우의를 싫어하는데, 제대로 세탁하지 않아서 냄새가 쩌는데다가 사실 폼도 왠지 어색하다. 자루푸대를 뒤집어쓴 사람들이 비 쫄쫄맞으며 걸어다니는 폼이 왠지 가련해 보이기도 하고 방수코팅 덕에 통기성이 최악이라 엄청나게 더운 것이 문제. 신병들이 제일 많이 하는 실수가 세탁기에 넣고 돌리는 것인데 절대 하지 말자. 우의가 세탁기 배수구를 막아 세탁기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3] 마른 걸레로 정성스레 닦아야 한다.[4]
또한 군대의 판쵸우의는 단순히 우의 뿐만이 아니라 다목적 도구(?)로 사용하는 편. 제설할 때 바닥에 펼치고 눈삽으로 눈을 퍼서 담아놓고 버리는 용도로 활용하거나 군용 A형 텐트 위에 덮어서 비가 들이치지 않게 한다거나 땅바닥에 물건을 놓을 때 흙 등이 묻지 않게 깔개로 쓴다거나 하는 등 자질구레한 쓰임새가 많다. 이정도면 우의가 아니라 다목적 방수천 수준. 또한 셸터-하프의 용도를 계승한 일부 판초우의는 조립을 통해 텐트등을 구성할 수 있다. 특유의 위장무늬 덕분에 작전시 위장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철조망을 극복할때 걸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공군에서는 판초우의를 입을 일이 없다. 훈련소부터 감색(진한 청색)으로 된 코트형태의 우의가 지급된다. 그러나 훈련소에서 쓰는 건 낡은 것인라 방수기능이 거의 없어져서 비 오면 홀딱 젖어버린다.(...) 또 총기가 있을 때는 총 위에 이 옷을 걸쳐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입고 움직이기 상당히 힘들어진다. 자대에 가면 너도나도 우산을 하나씩 들고다녀서 우의 입을일이 없다.[5] 코트 형태의 우의 말고 상하의로 나뉘어 있는 우의도 있다. 흔히 공병 우의라고 부르는데 시설 관련 보직이나 헌병들이 주로 입는다. 이건 그나마 좀 나은 편이다.
해군 역시 훈련소에서 트렌치 코트에 후드를 달은 모습의 청록색 우의를 지급받기 때문에 판초우의를 입을 일이 거의 없다. 몇몇 육상부대가 아닌 이상엔 아예 구경도 하기 힘들 정도.
육군 한정인지는 모르겠으나, 햇빛이나 모래먼지, 심지어 방사능까지 다 막아도 비는 못 막는 것이 판초우의라는 농담도 존재한다 카더라.[6]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황야의 무법자에서 판초를 입고 나온 게 유명하다.[7] 세르지오 레오네 감독이 준건데, 시리즈 3부작 내내 한번도 안 빨았다고 한다. 영화 제작진 중 누군가 말한 바로는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자기가 쓰는 모자와 이 판초만은 절대 소품팀에게 맡기지 않고 다녔다고 한다. 이유는 잃어버리면 다시 옷 맞추기 힘들어지니까... 여담으로 판초 색이 빨간색인줄 사람들이 많은데 실제로는 녹색이다.
이후 다른 장르의 캐릭터도 서부극이 모티브일 땐 판초를 클린트 이스트우드와 비슷한 방식으로 쓰기도 한다. 낙원추방의 남주인공 딩고라던가. 믿기지 않겠지만 스타 워즈의 인기 캐릭터 보바 펫도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판초를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다고 한다.
백 투 더 퓨처 3에서 주인공 마티가 댄 가명이 클린트 이스트우드였고, 무법자 시리즈에서 이스트우드가 입은 것과 흡사한 판초와 모자를 쓰고 나온다.
식물 vs 좀비 2에서도 서부 시대의 좀비 중 하나가 이 판초를 입고 나오는데, 종종 판초 안에 철판을 덧대고 등장한다.[8] 그나저나, 안에 철판이 없는 판초도 마치 딱딱한 고체를 두들기는 것처럼 퉁퉁거리는 소리가 난다.(...)
LISA: The Painful RPG, LISA: The Joyful에서도 주인공인 브래드 암스트롱. 버디 암스트롱 등 많은 등장인물들과 NPC들이 맨 몸에 판초를 입고 다닌다.)
샤먼킹의 아사쿠라 하오와 부하 오파쵸가 입는 복장으로도 유명하다.
1. 개요
poncho
기다란 천 가운데에 있는 구멍에 머리를 들이밀어 입는 옷. '판초'는 영어식 발음이고, 본래 스페인어 발음은 '폰초'이나, 널리 쓰이는 '판초'를 표준어로 삼았다.
등산이나 야영을 하기에 적합한 비옷이다.
2. 역사
일종의 망토로 페루 원주민들의 전통옷이었다는 주장, 마푸체 전통의상이었다는 주장이 있다. 오늘날도 원주민들은 이 옷을 입고 다니는데, 그들이 좋아하는 무지개빛 알록달록한 무늬를 수놓아서 굉장히 화려하다. 보통 알파카나 라마(llama)의 털에서 뽑은 실을 뜨개질하듯 직접 손으로 짜서 만드는데, 입으면 생긴것과 달리 굉장히 따뜻하다. 원주민들은 외출할 때는 입고, 잘 때는 벗어서 이불처럼 덮는다. 물건을 싸서 자루처럼 쓰거나 아기 포대기 용도로도 쓰는 듯하다.
이것이 스페인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져서 한때 판초를 입는다는 것은, 아메리카 태생의 백인. 즉 크리오요(criollo)의 상징이 되기도 했으며, 20세기에는 미국을 비롯한 나라에서 입기 시작해 히피 문화의 상징 아이콘이 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본래 남성용이었던 판초가 알게 모르게 여성용으로 바뀌었는데, 그 때문인지 한국에서도 판초는 주로 여성들이 가을, 겨울에 입는다. 근데 남성들도 입을 기회가 있긴 있다. 바로 군대(!)
[image]
최초의 군용 판초 도입은 1850년대 미군으로, 판초에 고무로 방수처리를 하여 비따위를 막을 용도로 사용하였다가 남북전쟁기에 공식적으로 판초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또한, 도입과 함께 판초의 모양이 기존 군용물자인 방수포의 모양과 유사함에서 착안하여 우의로 입을수 있음과 동시에 야전텐트의 바닥에 깔거나 야전들것 등으로 활용할수 있도록, 황동따위로 보강된 단추와 구멍이 달려나오게 되었다.[1] 곧 판초 겸용 셸터-하프의 개념은 전세계적으로 퍼지게되었고, 독일 등지에서는 첼트반으로 부르는 물건이 바로 이 셸터-하프다.
3. 군대에서
[image]
군대에서는 일명 '''판쵸''' 우의로 통한다. 한창 장마철인 6, 7월에 입소하는 사람들은 훈련소에서 거의 늘 입게 될지도 모른다. 자대배치 받고서도 짬 딸릴 땐 판쵸우의를 입지만, 부대 여건에 따라 간부용 우의를 입는 사치를 누릴 수도 있을 것이다.
입는 방법은 사진에서 보이다시피 그냥 뒤집어쓴 다음에 머리만 구멍으로 빼면 된다. 다만 훈련시엔 기동성 강화 등의 명목으로 팔 부분을 돌돌 말아서 전투복 어깨에 견장을 끼는 부분에 말은 판쵸우의를 끼워서 결과적으론 팔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입는 방법이 있는데 주로 '''피콜로'''로 통한다.[2] 그냥 입는것에 비해 좀 더 움직이기 편하나 가뜩이나 안되는 방수가 더 안 된다.
군인들은 대부분 판쵸우의를 싫어하는데, 제대로 세탁하지 않아서 냄새가 쩌는데다가 사실 폼도 왠지 어색하다. 자루푸대를 뒤집어쓴 사람들이 비 쫄쫄맞으며 걸어다니는 폼이 왠지 가련해 보이기도 하고 방수코팅 덕에 통기성이 최악이라 엄청나게 더운 것이 문제. 신병들이 제일 많이 하는 실수가 세탁기에 넣고 돌리는 것인데 절대 하지 말자. 우의가 세탁기 배수구를 막아 세탁기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3] 마른 걸레로 정성스레 닦아야 한다.[4]
또한 군대의 판쵸우의는 단순히 우의 뿐만이 아니라 다목적 도구(?)로 사용하는 편. 제설할 때 바닥에 펼치고 눈삽으로 눈을 퍼서 담아놓고 버리는 용도로 활용하거나 군용 A형 텐트 위에 덮어서 비가 들이치지 않게 한다거나 땅바닥에 물건을 놓을 때 흙 등이 묻지 않게 깔개로 쓴다거나 하는 등 자질구레한 쓰임새가 많다. 이정도면 우의가 아니라 다목적 방수천 수준. 또한 셸터-하프의 용도를 계승한 일부 판초우의는 조립을 통해 텐트등을 구성할 수 있다. 특유의 위장무늬 덕분에 작전시 위장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철조망을 극복할때 걸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공군에서는 판초우의를 입을 일이 없다. 훈련소부터 감색(진한 청색)으로 된 코트형태의 우의가 지급된다. 그러나 훈련소에서 쓰는 건 낡은 것인라 방수기능이 거의 없어져서 비 오면 홀딱 젖어버린다.(...) 또 총기가 있을 때는 총 위에 이 옷을 걸쳐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입고 움직이기 상당히 힘들어진다. 자대에 가면 너도나도 우산을 하나씩 들고다녀서 우의 입을일이 없다.[5] 코트 형태의 우의 말고 상하의로 나뉘어 있는 우의도 있다. 흔히 공병 우의라고 부르는데 시설 관련 보직이나 헌병들이 주로 입는다. 이건 그나마 좀 나은 편이다.
해군 역시 훈련소에서 트렌치 코트에 후드를 달은 모습의 청록색 우의를 지급받기 때문에 판초우의를 입을 일이 거의 없다. 몇몇 육상부대가 아닌 이상엔 아예 구경도 하기 힘들 정도.
육군 한정인지는 모르겠으나, 햇빛이나 모래먼지, 심지어 방사능까지 다 막아도 비는 못 막는 것이 판초우의라는 농담도 존재한다 카더라.[6]
4. 기타 매체에서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황야의 무법자에서 판초를 입고 나온 게 유명하다.[7] 세르지오 레오네 감독이 준건데, 시리즈 3부작 내내 한번도 안 빨았다고 한다. 영화 제작진 중 누군가 말한 바로는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자기가 쓰는 모자와 이 판초만은 절대 소품팀에게 맡기지 않고 다녔다고 한다. 이유는 잃어버리면 다시 옷 맞추기 힘들어지니까... 여담으로 판초 색이 빨간색인줄 사람들이 많은데 실제로는 녹색이다.
이후 다른 장르의 캐릭터도 서부극이 모티브일 땐 판초를 클린트 이스트우드와 비슷한 방식으로 쓰기도 한다. 낙원추방의 남주인공 딩고라던가. 믿기지 않겠지만 스타 워즈의 인기 캐릭터 보바 펫도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판초를 모티브로 디자인되었다고 한다.
백 투 더 퓨처 3에서 주인공 마티가 댄 가명이 클린트 이스트우드였고, 무법자 시리즈에서 이스트우드가 입은 것과 흡사한 판초와 모자를 쓰고 나온다.
식물 vs 좀비 2에서도 서부 시대의 좀비 중 하나가 이 판초를 입고 나오는데, 종종 판초 안에 철판을 덧대고 등장한다.[8] 그나저나, 안에 철판이 없는 판초도 마치 딱딱한 고체를 두들기는 것처럼 퉁퉁거리는 소리가 난다.(...)
LISA: The Painful RPG, LISA: The Joyful에서도 주인공인 브래드 암스트롱. 버디 암스트롱 등 많은 등장인물들과 NPC들이 맨 몸에 판초를 입고 다닌다.)
샤먼킹의 아사쿠라 하오와 부하 오파쵸가 입는 복장으로도 유명하다.
[1] 단 이 당시엔 오리지널 판초의 디자인 처럼 후드가 없고, 머리가 들어갈 수 있게 트임을 만들어준 형태이다.[2] 판초우의를 처음 보는 훈련병 뿐만 아니라 조교들도 대놓고 훈련병들에게 피콜로라 하는 경우가 있다.[3] 물론 맞선임이 정신나간 게 아닌 이상 제대로 관리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기는 한다. 중대 전체가 사용하는 세탁기를 고장내면 군생활 끝날때까지 고문관으로 찍히는데다 판초우의도 물 속에 푹 들어간 셈이 되므로 방수 기능이 사라진다.[4] 일단 물로 세탁하면 큰일난다. 상술된 세탁기에 집어넣는건 당연히 안되고, 바닥에 깔고 물을 들이부으며 솔로 닦는 방법이 있기는 한데, 이럴 경우 세탁이 빨리 되기는 하지만 '''판초우의의 방수기능이 사라진다.''' 걸레만으로 수입(손질)한 판초우의와 물로 세탁하다시피한 판초우의는 비가 오는 상황에서 입어보면 확실하게 다르다. 물로 세탁한 판초우의는 비가 올 경우 훨씬 빨리 젖는다. 걸레로 수입한 판초우의는 훈련하며 비를 몇시간을 들이맞아도 괜찮지만, 물세탁을 해버릴 경우 잠시 취사장에 식사하려 몇분 왕복했을 뿐임에도 젖어버리고, 전투복까지 젖는 것을 걱정해야 할 정도다. 당장 몇 시간뒤에 사단장이 사열하는데 할일이 많은 답없는 상황이 아닌 이상에야 장마철 내내 물에 젖은 생쥐꼴로 살고싶지 않다면 절대 물로 세탁하지 말자.[5] 다만 헌병은 제외다. 초소근무를 하는 헌병은 근무특성상 우의를 지겹도록 입게 된다.[6] 실제로 MOPP상황에서 판초우의 사용법을 군에서 가르치기 때문이다. 화생방 보호의 라는게 대단한게 아니라 그냥 비옷수준으로도 대개의 상황에서 어느정도 차폐가 가능하기 때문이며 방수가 되는 판초우의는 낙진이나 액체상으로 분사되는 작용제를 막을 수 있다.[7] 판초 자체를 얻는건 스토리 상 프리퀄에 해당되는 석양의 무법자에서다.[8] 황야의 무법자 패러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