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 사나이

 

1.1. 가사
1.2. 여담


1. 군가



대한민국 육군대한민국 해병대[1]에서 부르는 군가 중 하나. 작사 이동영, 작곡 김강섭.
이른바 10대 군가에 포함되지만, 곡조가 그렇게 우렁차지는 않고 박자도 4/4박자라고 하기에는 변박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애창되지는 않는다. 애초에 노래가 농가(農歌) 스타일이다 보니. 게다가 불러도 1절만 부르다 보니 3절까지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도 많다. 무엇보다 이 군가는 절대로 원음 그대로 불러지는 경우가 없이 변형 된 음으로 부르는 군가중 하나.
그러나 이 군가의 진가는 바로 뜀걸음 때 나타난다. 뜀걸음 중에는 인솔자가 계속 구령을 넣던가[2] 아니면 군가를 불러야 하는데, 인솔자 혼자서 계속 구령을 넣으면 힘들기 때문에 보통은 군가를 자주 부르게 된다. 그런데 이 군가를 박자 맞춰서 부르려면 굉장히 빠른 템포로 불러야만 하기 때문에, 뛰면서 부르면 '''숨이 엄청나게 가빠진다'''. 한마디로 뜀걸음 때 이 군가를 부르기 시작하면 갑자기 난이도가 상승하는 것이다.

1.1. 가사


1절
보람찬 하루 일을 끝마치고서 두 다리 쭈욱 펴면 고향의 안방
얼싸 좋다 김일병[3][4] 신나는 어깨춤[5] 우리는 한 가족 팔도 사나이
2절
뜨거운 전우애로 뭉쳐진 우리들 하늘땅 바다에 널리 깔려서
얼싸 좋다 조국은 굳게 지키리 우리는 한 가족 팔도 사나이
3절
한마음 한뜻으로 나라를 위해 힘차게 일어선 겨레의 간성
얼싸 좋다 자유와 번영의 나라 우리는 한 가족 팔도 사나이
후렴
힘차게 장단 맞춰 노래 부르자 정다운 목소리 팔도 사나이

1.2. 여담


이병주제에 김일병이라고 했다고 갈군 김일병도 있는 모양. 보러가기 갈구려면 온갖 수를 다 써서 갈굴 수 있는게 군대라는걸 알게 해준다...
기상 ~ 아침점호 전까지 군가를 틀어놓도록 하는 부대도 있는데, 상급부대에서 며칠간 검열을 오더니 이제 일과가 시작해야 하는데 보람찬 하루일을 끝마치고서~ 라는 가사가 들어가 있다고 이 군가를 틀지 말라고 한 경우도 있다.
또봇 탐험대 18기 '카고와 테라클'에서 주인공 아이들과 또봇들이 가끔씩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물론 다 부르는 건 아니고 1절 도입부의 '보람찬 하루 일을 끝마치고서'와 후렴구인 '팔도사나이'를 반복하는 정도.
80년대에는 군부대 및 지역에 근무하는 방위병들이 퇴근시에 위병소까지 줄 맞춰 행진해 가며 부르는 노래이기도 했다. 이들은 1절 가사대로 퇴근 후 집에 가서 두 다리를 쭉 펴면 고향의 안방이 되는 것이다.
이경규가 진행하던 몰래카메라에서 자주 나오던 노래이기도 했다.

2. 영화


[image]
1969년에 개봉한 김효천 감독이며 박노식, 장동휘, 황해, 허장강, 독고성, 오지명 등이 출연하였다. 당시 관객수는 서울 10만 명 이상을 동원하여 흥행에 성공하였다. 김두한의 일생을 모티브로 한 영화로 사실상 김두한 신화만들기의 시발점이 되는 영화였다. 살아생전 김두한은 이 영화를 보고 매우 흐뭇해 했다고 한다. # 당시 경동고등학교에서 촬영이 진행되었다.
[1] 후술하겠지만 약간 단어를 바꾸어 해병대에서도 부르는 몇 안되는 육군 군가이다.[2] 이것은 발을 맞추기 위해서이다.[3] 참고로 육군 뿐만이 아니라 해병대에서도 팔도 사나이를 부르는데, 이 경우 '김일병' 대신에 '해병대'로 바꿔 부른다.[4] 근데 여기서 얼싸 좋다를 얼싸가 좋다라고 발음하는 실수를 할 수도 있다.[5] 이 부분은 그때그때 김일병 대신 다른 장병을 넣는 개사가 가능하다. 가령 훈련소에서 훈련병들이 부를 땐 “얼싸좋다 훈련병”이라고 부르도록 가르쳐 준다. '얼싸좋다 전우애 꽃피는 내무반'이라고 나온 것도 있다. 학사장교 후보생들 사이에서는 "얼싸좋다 후보생 신나는 어깨춤" 으로 바꿔부르기도 했다.하지만 가사에 '김일병'이라고 써있는 내용 때문인지 훈육장교의 재량에 따라 군가임에도 불구하고 금지곡이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