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쉿츠
'''세상에서 가장 영적인 음악가.'''
- 알프레드 아인슈타인(1928년)
1. 개요
바로크 초기에 루터교의 음악을 쓴 작곡가 중에서도 가장 위대한 인물이다. 그의 업적은 독일양식과 해외에서 익힌 이탈리아 양식을 자연스럽게 혼합하기도 했지만, 음악에 가사를 붙이는 능력이 대단하기도 했다. 요한 헤르만 샤인, 사무엘 샤이트와 함께 초기 독일 바로크 3S로 손꼽히는 대음악가이다.
2. 생애
2.1. 초기
작센에서 여관을 운영하던 아버지 밑에서 유복하게 자랐다. 하지만 가족은 쉿츠가 음악을 하는 것에 반대했지만, 이미 재능이 뛰어나 카셀의 영주가 그를 궁정으로 불러들였으며, 나중에 베네치아에서 조반니 가브리엘리 문하에서 공부하도록 경비를 지원하기도 했다. 쉿츠는 베네치아에서 4년간 머무르면서 마드리갈 곡집을 출판하고[1] , 가브리엘리가 1612년 생을 마감하자 독일로 돌아왔다.
1617년 작센 선거후국의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가 드레스덴 궁정의 악장으로 쉿츠를 초대했고, 궁정 관리의 딸과 결혼했다. 죽을때까지 쉿츠는 60년이나 더 이 자리를 지내고, 400 플로린이라는 후한 연봉도 받았다.
2.2. 생애 중기
1625년 결혼한 지 5년 만에 아내가 죽으면서[2][3] 쉿츠는 한번 더 베네치아로 여행을 갔고, 거기서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를 만나 그의 극음악을 듣고 감동 받아 직접 음악을 써보기 했다. 작센 선제후의 딸이 결혼할때 쓸 오페라 《다프네Dafne》(1627)[4] 이 그 결과인데, 이 작품은 소실되었고, 쉿츠의 무대 음악은 남아 있는 게 별로 없다.[5][6]
그래서 덴마크의 황태자가 결혼식 작품을 의뢰하자 1633년부터 1644년까지 쉿츠는 코펜하겐의 악장으로 있었다. 1645년부터 다시 선제후가 일을 맡겼다. 60세였던 쉿츠는 퇴직을 요구했으나 거부당했지만 대신 1년에 반만 일하라고 궁정은 허락했다. 그후 쉿츠는 온갖 핑계를 대며 세번이나 은퇴를 요청했다. 후에 1656년에 선제후가 죽고 나서야 쉿츠는 비로소 자유로워지게 된다. 그 후 말년에 쉿츠는 여러 곡의 수난곡과 오라토리오 등 굵직굵직한 작품들을 쏟아냈고, 1672년 87세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3. 음악세계
쉿츠는 종교음악에 복합창의 콘체르타토의 양식을 도입했으며, 후기 마드리갈의 열정적 표헌기법을 도입하였다. 두 번째 베네치아 여행에서 쉿츠는 모노디 기법과 대위법 두가지 스킬을 배우고 왔으며, 이것으로 리누치니 대본의 다프네를 썼으나 남아있지 않다. 또한 레치타티보를 독일에서 처음 사용한 작곡가라고 한다.
그는 두 권의 '''《작은 종교 콘체르토(Kleine geistliche Konzerte)》'''에서 모노디 양식을 독일 음악에 적응시켰다.[7] 이 곡들속에서는 이야기풍의 양식을 사용한 독창곡이 조금 보이는데 선율적인 서법이 사랑받고 있다. 또한 이중창 같은 경우에는 대위법의 새로운 양식과 반음계적 수법이 결합되고 있다.
또한 세 권으로 이루어진 '''《신성 교향곡(Symphoniae sacrae)》'''에는 확대된 대편성이 사용되고 여기에는 기악 파트가 보강되어있다. 이 작품집의 형식은 전통적이지만 양식은 전혀 다른 새로운 것이었다. 새로운 대위법 양식과, 기악의 서법, 반복진행등은 쉿츠의 음악이 완전히 시대가 넘어간 작품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4. 오라토리오, 수난곡
쉿츠의 무대음악들은 전부 소실됐지만 '''《예수 그리스도 탄생의 이야기(Historia der Geburt Jesu Christi, SWV 435)》[8] 는 그래도 남아있는 작품중 가장 '오페라'적인 것이다. 레치타티보는 성서 이야기의 서술 부분이며, 인물들의 대사는 각각 독립된 곡으로 작곡되어 있다. 특히 곡들은 제각기 명확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성격은 악기법에도 바탕을 두고 있다. 예를 들면 양치기에 플루트, 빌라도에 트럼펫 이런 식으로. 이 작품은 쉿츠의 말년의 작품 중 하나이지만 새로운 이탈리아 양식보다는 쉿츠 자신의 이전 양식들이 나타난다.
또 말년에 쉿츠는 3개의 수난곡을 작곡하는데, 이곡 역시 쉿츠가 그간 사용한 새로운 기법들을 버리고, 절제되고 엄격한 양식을 사용하는데, 르네상스 음악을 연상시키는 무반주 모노디와 무반주 합창 등이 그러하다. 아마도 쉿츠는 자신이 독일에 들여온 이탈리아 양식들에 대해 후회에 가까운 기분을 갖고 있었다는 소리도 있고, 예수의 수난과 죽음이라는 무거운 주제에 화려한 음악을 붙이고 싶지 않았다는 설도 있다.[9]
[1] 최후의 가장 위대한 마드리갈로 손꼽힌다.[2] 아내를 많이 사랑했었는지 쉿츠는 다시는 결혼하지 않았다.[3] 슬하에 두 명의 딸이 있었지만 첫째 딸은 16세에 둘째는 31세에 사망한다.[4] 선제후 딸의 결혼 축하를 위해 쓴 곡이다.[5] 종교음악은 전례에 맞게 땜빵 하면서 계속 써야 하는데, 이런 축하성 오페라들은 일회용이기 때문에 많이 소실되었다는 게 정석이다.[6] 또한 베네치아와 달리 작센 내에서 오페라의 대우는 좋지 못했는데, 극장이 별로 없었고 시간 상으로는 30년 전쟁으로 엄청나게 재정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7] 사실 이 곡의 편성이 작은 이유는 30년 전쟁당시의 상황 때문이었다.[8] 보통은 편하게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이야기 등으로 불린다.[9] 실제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요한수난곡이 격정적이어서 들어 보면 슬퍼지는 것과 대조적이게도, 쉿츠의 요한수난곡은 너무 담담해서 들어 보면 도리어 가슴이 먹먹해진다. 일례로, 같은 코랄이 바흐 요한수난곡에서와 쉿츠 요한수난곡에서 어떻게 다르게 표현되고 있는지 비교해서 들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