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동상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허동상'''
'''許東相'''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족보명'''
허동훈(許東薰)
'''자 / 호'''
화중(和重) / 춘정(春庭)
'''본관'''
하양 허씨[1]
'''출생'''
1908년 7월 6일
경상북도 하양군 마양면 부호동
(현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2]
'''사망'''
1951년 4월 8일
'''상훈'''
대통령표창
1. 개요
2. 생애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2. 생애


허동상은 1908년 7월 6일 경상북도 하양군 마양면 부호동(현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에서 아버지 허관(許禾+官)과 어머니 문화 류씨 류용하(柳龍河)의 딸 사이의 무녀독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5촌 당숙 허훤(許禾+萱)에 입양되었다.
그는 18세 때부터 족숙 허병률[3]을 따라 군자금을 모금한 바 있으며, 1930년 1월 경산군 하양서당의 훈장으로 있으면서 1929년 11월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전국적 확산에 자극을 받고 때마침 허병률의 권유에 대구부에서도 학생들과 총궐기하여 항일시위운동을 전개할 것을 촉구하는 격문을 작성하였다.
같은 달 14일과 15일 새벽에 그는 격문을 대구고등보통학교, 대구여자고등보통학교, 대구상업학교 등 대구부내 각급 공·사립학교 및 시내 각처의 담장에 부착하거나 따로 발송하기도 했으며, 동지 규합에도 힘썼다.
이 일로 인해 사흘 후인 18일, 그는 대구부 명치정(현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에서 체포되어# 대구경찰서에 구류당했으며, 1930년 2월 28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8개월을 선고받았으며#, 이에 공소하였으나 그해 7월 9일 원심 판결이 적용되어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며, 1951년 4월 8일 별세하였다.
199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1] 문경공파(文敬公派) 21세 동(東) 항렬. 하양 허씨 32세.[2] 인근의 대곡리와 함께 하양 허씨 집성촌이다.[3] 굳이 촌수를 따지자면 17촌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