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날레디
'''Homo naledi'''
[image]
[image]
'''호모 날레디''' (''Homo naledi'')는 사람속(''Homo genus'')에 속하는 멸종된 화석 인류의 한 종이다.
날레디(Naledi)라는 종명은 소토어로 "별"(Star)이라는 뜻으로, 학명은 "별의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이명은 없다.
이 종은 남아프리카 일대에서 발생하여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 후기인 약 20만 년 전에서 30만 년 전까지 오늘날의 남아프리카 전역에서 주로 남아프리카 지대를 무대 삼아 살았다.
2013년 화석 유골들이 인류의 요람 부분인 라이징 스타 동굴(Rising Star Cave) 생태계 안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가우텡(Gauteng) 지방에서 발견됐다.
2015년 9월 10일, 최소 15명의 화석 1550개가 그 동굴에서 발굴됐다.
2015년 인류학자에 의해 처음으로 분류되어 사람속으로 지정받았다.
2017년 생존 시기가 당초 추정했던 200~300만 년 전이 아니라, 그보다 훨씬 빠른 20~30만 년 전인 것으로 추정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본문
[image]
[image]
1. 개요
'''호모 날레디''' (''Homo naledi'')는 사람속(''Homo genus'')에 속하는 멸종된 화석 인류의 한 종이다.
날레디(Naledi)라는 종명은 소토어로 "별"(Star)이라는 뜻으로, 학명은 "별의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이명은 없다.
이 종은 남아프리카 일대에서 발생하여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 후기인 약 20만 년 전에서 30만 년 전까지 오늘날의 남아프리카 전역에서 주로 남아프리카 지대를 무대 삼아 살았다.
2. 화석
2013년 화석 유골들이 인류의 요람 부분인 라이징 스타 동굴(Rising Star Cave) 생태계 안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가우텡(Gauteng) 지방에서 발견됐다.
2015년 9월 10일, 최소 15명의 화석 1550개가 그 동굴에서 발굴됐다.
2015년 인류학자에 의해 처음으로 분류되어 사람속으로 지정받았다.
2017년 생존 시기가 당초 추정했던 200~300만 년 전이 아니라, 그보다 훨씬 빠른 20~30만 년 전인 것으로 추정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