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엔 주화

 


一円硬貨 (いちえんこうか)
一円玉 (いちえんだま)
1. 개요
2. 역사
3. 애물단지 1엔
4. 시한부 인생 1엔


1. 개요


[image]
일본 조폐국에서 발행하는 일본화폐로써 2019년 11월 8일 기준 원 단위로 약 10.58원. 1엔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졌으며, 무게 1g, 지름 2cm, 두께는 약 1.5mm이다.

2. 역사


첫 발행은 1870년이며, 1870년과 1874년부터 1914년까지는 26.9그램의 묵직한 은화로 발행하였다. 1871년과 1874년에서 1880년 까지는 금화로도 발행하였다. 둘을 함께 발행한 이유는 당시 일본이 금본위제은본위제 사이에서 꾸준히 줄타기를 했기 때문이다. 1915년부터 1945년 이전까지 1엔 주화는 따로 발행되지 않았다.
[image]
그러다가 제2차 세계대전GHQ 통치 시기를 겪어 엔화 자체의 가치가 폭락하였고, 1948년에 황동화를 발행하였다. 지금의 1엔 주화와 크기는 동일했으나 톱니가 있었다. 당시 5엔 주화와 함께 발행 되었는데 5엔도 구멍이 없고 톱니가 있는데다 크기까지 비슷해서 1엔 황동화와 혼동을 주었다. 결국 다음 해인 1949년에 5엔에 구멍을 넣고 톱니를 없애버렸다. 일본의 구멍 뚫린 5엔 탄생에 큰 기여를 한 셈이다. 1953년 법률이 바뀌면서 이전까지의 황동화와 은화, 금화의 법적 공식 주화로서의 효력이 사라지며, 이후 1955년에 위 사진과 같은 알루미늄 화로 바뀌었다.
[image]
원래는 한국의 1원 주화처럼 황동화의 효력은 그대로 유지하되 재질만 변경하고 황동화와 디자인은 그대로 하여 유통시킬 예정이었다. 황동화와 동일한 도안으로 1950년에 알루미늄 시주화까지 만들어놓은 상태였다. 하지만, 해당 계획은 백지화되고 당시 전후 인플레이션과 6.25 전쟁의 영향으로 원자재값이 급상승하면서 1953년부로 유통을 금지시켰다. 원자재값이 급상승한 점을 악용하여 황동화를 녹여서 쓰이는 것이 우려되어 폐기처분 하였다고 한다.[1]
만약 해당 시나리오대로 진행되었다면, 5엔처럼 도중에 신자체로 바꾸어서 발행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3. 애물단지 1엔


1엔의 사용빈도는 10원의 사용빈도보다 높다고 예상된다.
편의점을 비롯하여 일본에서 쇼핑을 할 때에는 소비세의 영향으로 1엔 단위까지가는 물품이 많다. 심지어 100엔 숍에서도 세금이 붙기 때문에 1엔이나 5엔 쓸 일이 많다. 이 말은 잔돈을 잘 정리 및 주머니에서 유통(...)시키지 못하면.... 나중에 답이 없다.
특히 여행자 입장에선 거스름 돈으로 받는 1엔이 많이 생길텐데 제때제때 처리해주자. 그렇지 않는다면 동전에 1엔짜리들이 무수히 섞여 정작 필요한 100엔, 500엔 같은 동전을 걸러내기 위해 뻘짓을 할 수도 있다. 일부 가게에서는 가격이 1엔 단위로 끝나는데 1엔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서 카운터에 1엔을 한바가지 비치해둔다. 계산할때 가져다 쓰라고....[2]

은근히 많이 유통되지만 지하철 표 발매기에서와 여러 기계에서는 1엔과 5엔은 안 받는 실정. 그렇다고 모인 1엔을 음식점이나 기타 장소에서 한꺼번에 처리하자는건 매너가 아니다. 결국 제때제때 편의점 같은 1엔을 취급하는 곳에서 계산 전에 개수를 잘 맞춰 지불하는 것이 답. 실제로 편의점이나 음식점에서 1엔을 처리하고자 다른 동전들과 같이 지불하게 되면 점원이나 알바가 곤란해 하는 경우가 많다. 정 처리할데가 없으면 편의점 내의 기부함에 넣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된다. 편의점에서는 각 기부단체가 설치해놓은 기부함이 향시 계산대 앞에 있다. 만약 일본의 은행 계좌가 있다면 ATM에 몽땅 입금하자. 일본은 원칙적으로 지점에 설치된 ATM은 동전 입출금이 가능하다.
실제로 국내 은행 창구에 동전을 보게 되면 1엔이 대량으로 남게 되어 있는데,만약 사게 될 경우 시중에선[3] 곤란하나 완전히 처리할 수 있는 팁이 있는데 바로 포켓 체인지 라는 키오스크 에서 처리가 가능하다. 스이카 등 교통카드(IC교통계),나나코(세븐일레븐),와온,라쿠텐 에디,일본 아마존 기프트카드,애플 기프트카드 등 다양한 곳에 해결할 수 있으며[4] 티머니,문상,티몬 등 국내것도 교환이 가능하다. 이는 5엔도 해당된다.

4. 시한부 인생 1엔


지금은 천덕꾸러기 신세를 못벗어나고 있지만, 1엔 동전은 머지않아 우리나라의 1원 주화5원 주화처럼 민트세트에서나 볼 수 있는 동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 꾸준히 신용카드교통카드, 전자화폐가 널리 보급되고 있고, 2019년 10월 1일부로 소비세가 10%로 인상된 것이 결정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여타 선진국에 비해 현금 거래가 많은 일본이라지만 대세는 피할 수 없어서, 수요가 줄어들은 1엔과 5엔 주화의 발행량이 1990년대부터 꾸준히 줄어들기 시작하더니, 2000년대에 들어서 급감하기 시작하였다. 1999년부터 발행량이 반 이상 감소하였으며, 2000년대 내내 발행량이 바닥을 기었다.[5] 더군다나 2011년~2013년 중에는 민트세트용으로밖에 발행되지 않았다.[6] 그나마 일본 소비세가 5%이다보니 일반적인 거래에서 끝자리수가 0, 5로 끝나는 경우가 많아 5엔 동전은 사정이 나았다. 특히 100엔샵 등지에서 수요가 나와 자주 목격되곤 했지만, 1엔 주화는 그렇지 않았다.
그 와중에 1엔에게 희망의 빛줄기가 내려왔다. 2014년 4월에 소비세를 8%로 인상한 것이다. 정부에서도 이를 대비하여 2014년부터 통용목적의 1엔 생산을 재개하였다. 그러나, 전자화폐의 발달과 세금 포함 가격(税込)을 끝자리수 0에 맞추는 관행이 늘어나면서 생각보다 통용량이 많이 늘진 않았고, 기존의 발행된 1엔으로도 커버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는지 2016년부터는 다시 민트세트용으로만 발행하고 있다.
더군다나 2015년 기준으로 1엔 주화 1개당 제작비용이 '''3엔'''정도 든다고 한다.[7] 생산하면 할수록 더욱 손해인 것이다. 실제로 캐나다호주, 뉴질랜드, 스위스 등 일부 국가도 비슷한 이유로 1엔과 비슷한 액면가를 지닌 동전을 없애버렸기 때문에, 이를 따를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이런 안습한 지위에 있기에, 만약 1엔 동전이 있다면 한두개 쯤은 기념으로 갖고 있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이다.
그러나, 2019년 10월 1일부터 소비세를 10%로 인상하게 되면서 웬만한 거래에서 1엔 주화를 찾아보기 정말 어려워졌다. 이전과는 달리 대부분의 거래는 끝자리수가 0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물론 십의자리 가격이 1~4, 6~9라면 1엔을 받을 수는 있겠지만, 5%, 8%이던 시절보다는 나오기 힘든 편이다. 당장 100엔샵에서도 거의 모든 상품이 110엔이기 때문이다. 다만 술과 외식을 제외한 식료품[8]은 경감세율이 적용되어 8%로 유지될 예정이어서 씨가 마르는 수준까진 아니다. 게다가 모든 상품이 100엔 단위로 끊어지는 것도 아니기에 1엔이 당장 퇴출될 정도는 아니다.[9]
또한 일본에서도 비닐봉지 무상 제공을 금지하려는 추세이며, 비닐봉지 값으로 2~3엔을 받는 곳도 있기 때문에 언제 본격적으로 퇴출될지는 미지수이며, 향후 10여년 정도는 현역 동전으로 사용될 것 이다.

[1] 한국의 구 10원 주화도 비슷한 이유로 녹여서 황동괴 만드는 범죄가 일어나곤 했었다.[2] 대표적으로 돈키호테가 있다[3] 지하철 이나 자판기는 최소 10엔 동전부터 받아서 골치이고 입금은 중장기체류 외국인만 되니 단기여행자 한테는 엄청 난감하다.[4] 단, 애플은 최소금액이 500엔 부터다.[5] 2007년에 그나마 발행량이 2억개가 넘었고, 2003년,2006년,2008년,2014년에 발행량이 1억개를 넘겼던 것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천만단위 이하로 발행되었으며, 민트로만 발행된 해를 제외하고도 2001,2002,2010년의 발행량은 백만 단위에 그쳤다. 천만 단위라고 하면 엄청나게 많아보이지만 헤이세이 10년 이전에는 발행량이 10억개를 안넘었던 해가 더 드물었고 1990년 한해만도 '''27억개'''를 발행한 것을 생각해보면 거의 사용하지 않는 수준으로 줄어들은 셈이다.[6] 5엔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민트세트용으로만 제작되었고,2014년 이후로는 리즈시절인 1980~1990년대만은 못해도 어느 정도 발행되고 있다.[7] 대한민국의 구 10원짜리 동전 또한 1엔 주화와 비슷하게 제작비용이 약 30원 정도 필요했었다.[8] 테이크 아웃도 8%가 적용된다.[9] 예를 들어, 가격이 110엔인 상품이 세금 포함된 금액으로는 121엔이라서 1엔 주화의 사용은 여전히 계속될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