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eSpot

 

[image]
홈페이지
1. 개요
2. 상세
3. 비판
4. 게임스팟 코리아


1. 개요


CNET 네트워크가 소유한 게임 정보 사이트.

2. 상세


IGN과 함께 북미지역 양대 게임리뷰 웹진이라 불리었다. 90년대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세계구급 인지도는 게임스팟쪽이 더 높았지만 2010년대 들어서는 쇠퇴 중.
1996년에 만들어졌으며 처음에는 PC게임 리뷰만 하다가 콘솔 게임을 따로 사이트를 만들어 리뷰했으나 1998년 둘을 합쳐 지금의 게임스팟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해외 웹진 중 가장 신뢰를 받고 있는 곳이며 현재 한국지부가 있는 거의 유일한 북미게임웹진. 다만 한국사이트는 한국 위주의 보도를 하기 때문에 해외 소식을 알려면 역시 영문사이트를 이용해야 한다. 한국 사이트 한정으로 엠엔캐스트에 VJ 리뷰/프리뷰 동영상을 올렸는데 2009년 4월경 엠엔캐스트가 페업하고 네이버 비디오 역시 서비스가 종료되면서 해당 동영상을 다시 볼 수 없다.
GameTrailers라는 걸출한 라이벌이 등장한 후로도 게임스팟 비디오 리뷰는 센스가 뛰어나기로 유명하다. 특히 1.0 평점의 전설적인 Big Rigs: Over the Road Racing 리뷰 영상에서 리뷰어가 멘탈붕괴하는 장면은 지금까지도 회자된다. 그리고 그 전설은 "라이드 투 헬 레트리뷰션"이라는 쓰레기 게임이 이어간다.
원래 IGN과 비교하여 재미 없는 게임에 대해서는 무자비한 난도질과 가차없는 평점으로 유명했다. [1] 물론 2007년 이후 평점의 최소 단위가 0.5점으로 바뀌면서 예전같은 날카로움을 많이 잃어버린듯 하지만,(2007년이전에는 IGN과 같이 최소 단위가 0.1점이었다) 여전히 만점을 매기는 게임은 적으며 재미없는 게임에 대해서는 IGN보다 비판의 강도가 강하다. 리뷰 자체는 아직까지 건재한 편으로 국내에서는 옆동네 웹진과 비교해 게임 팬들에게 있어서 더 큰 신뢰를 얻고있는 웹진이기도 하다. 물론 큰 회사가 만든 게임에 대해서는, 별로라도 무난하게 8.0정도를 주는 편이라 날카로움을 많이 잃은 듯하다는 의견들도 있지만, 그래도 유저평점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게임은 드문 편.
여담으로 ZDTV(현재 G4)에서 1998년부터 2013년까지 게임스팟TV[2]을 방영했었다. 한국에서는 케이블TV 방송국 'E채널'에서 방영. 한국 방영 당시에는 처음엔 더빙하여 방영해 왔었으나, 어느 시점에서 영어 음성에 한국어 자막으로 때우는 바람에 시청자들의 반발이 컷다. 현재는 종영된 상태다.위키피디아 한국어 문서, 위키피디아 영어 문서

3. 비판


이들에게 있어서 흑역사가 있는데, 게임스팟에 광고하던 케인 앤 린치 : 데드맨에 박한 점수를 준 리뷰어 제프 거스트먼(Jeff Gerstmann)을 '''2007년에 해고하여 게이머들의 항의를 받은 일이 있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거스트먼의 동료들도 게임스팟에서 사표를 쓰고 나오게 되는데, 2008년에 라이언 데이비스와 거스트먼을 주축으로 Giant Bomb이라는 비디오 + 위키 중심의 게임 사이트를 차리게 된다. 아이러니하게도 이후 2012년에 CBSi[3]에 인수되어 결국 다시 게임스팟과 같은 지붕 아래서 살게 되었다. 회사가 인수된 것을 발표할때 거스트먼은 과거에 해고된 이유가 한 가지는 아니었지만 케인 앤 린치도 일부였다고 인정했다. 게임스팟의 신뢰도는 기본적으로 이 사건의 전후를 기점으로 쇠퇴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의 사건이기도 한데, 서양에서 웹진들이 퍼블리셔들에게 굽신거리는것을 게이머들이 직접적으로 알려주는 신호탄이 되었던 엄청난 사건이다.[4] 이때 거스트먼과 함께 나간 시니어 에디터들 대량이 게임스팟의 신뢰에 주축이 되었던, 이름만 들어도 알 정도의 인물들이라 이때부터 급신뢰와 인기 하락 후 계속 서서히 내려가서 요즘은 IGN 을 포함 후속웹진들에게도 많이 밀리게 되었다.
리뷰방식은 그래픽, 사운드 따로따로 평점을 주는 방식이 아니라 총 평점을 내리고 좋은 점, 나쁜 점을 추가로 쓰는 방식.
웬만하면 대형사고를 터트린 적은 없었는데[5], 2011년에 발매 이전부터 이미 수많은 사이트로부터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에게 평점 '''7.5'''[6]를 주어 폭풍비난을 받고 있다. 예전에도 황혼의 공주에게 8.8점[7]을 주어 비슷하게 찬물을 끼얹은 바가 있다.[8] 그러나 보면 알겠지만 8.8점이 '''절대 낮은 것이 아니다.''' 당장 형제격 시리즈인 슈퍼 마리오 시리즈도 게임스팟에서 8점대 점수를 받은 게임이 여럿 있다. 다만, 1UP의 스카이워드 소드 리뷰도 B+였고, 나중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 메타크리틱의 유저평점도 '''8.0'''이라 게임 스팟이 지나치게 낮은 점수를 준것까지는 아니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 (젤다 최고의 명작으로 꼽히는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같은 경우는 메타크리틱 유저평점도 9점대이다.)
포켓몬스터 같은 경우는 블랙/화이트에 7.5점을 주고 블랙/화이트 2에 7점을 주는 등 꽤나 짠 점수를 주더니만 6세대부터 XY든 울트라썬/울트라문이든 계속 일관성있게 8점을 주면서 신뢰성이 급격히 떨어졌다.
여담으로 최근엔 전처럼 가차없이 리뷰를 하려는 것인지, 배트맨: 아캄 나이트에 7.0점이라는 AAA 게임에 있어서는 다소 박한 점수를 주면서 팬보이들에게 유투브 리뷰해당글에서 테러를 당하기도 했으나, 이후 게임 본편의 문제점들과 PC판 포팅 등의 어마어마한 문제들이 드러난데다가 유명 유투브 리뷰어 앵그리죠가 해당 게임에 PC 4점, 콘솔판 6점을 매기자 이에 비교하여 '''"앵그리죠 리뷰는 신뢰하면서 왜 게임스팟 리뷰는 까대는건데?"'''라고 비꼬는 유저도 생길 정도였다.[9]
2016년 올해의 게임오버워치로 꼽았는데, 언차티드 4가 아니란 이유로 비공테러를 받았다. #
2017년 그란 투리스모 스포트 리뷰를 '''그란 투리스모 스포트는 증명할 가치가 있다''' 라는 이유로 리뷰를 한달 뒤로 미뤄 논란이 생겼다. 2017년 10월 26일 엠바고가 풀리며 올라온 어쌔신 크리드 오리진 평점에 7점을 주며 단점으로 기술적 문제와 버그를 지적했는데, 상기 언급된 이유와 전혀 맞지 않는 리뷰가 나왔다.
2017년에 발매된 프레이(2017)에 대해서는 10점 만점에 6점을 줬는데, 별 시덥지않은 게임에는 8점, 9점을 퍼주면서 높은 작품성을 가진 프레이에는 6점이라는 박한 점수를 준 것 때문에 게임스팟 유투브 공식계정의 리뷰영상에는 좋아요 1.3천, 싫어요가 2.9천 찍히는 등 압도적인 반대를 받았다.
또 전에 오버워치의 그래픽 비교를 의도적으로 PS4 버전을 좋게 보이게 하기 위해 PC 버전의 그래픽을 하옵으로 설정하고 비교했다는게 발각된 이후로 친플스 성향이 심하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4. 게임스팟 코리아


2000년 9월, 지디넷 코리아 산하 사이트로 운영을 시작했으나 2013년 말 소리소문없이 사라졌다.

[1] IGN은 웬만해서는 4.0이하의 평점을 주지 않는 편이지만, 게임스팟은 4.0 이하가 수두룩하다. Abysmal, Terrible같은 제작자가 보면 열받을 만한 단어도 거리낌 없이 사용한다.[2] 어느 시점에서부터 프로그램의 타이틀명이 익스텐디드 플레이(Extended Play), 엑스플레이(X-Play)로 두 번 변경되었다. 최종 변경된 프로그램명은 종영때까지 계속 사용되었다.[3] 이름대로 미국 방송국 CBS 소유. 게임스팟과 CNET 도 보유중.[4] 물론 이 전에도 웹진과 유통사가 손발맞춘다는 의심이 없는건 아니었다. IGN은 당시에도 이미 거의 물증만 없을뿐이지 유져들은 거의 기정사실화 했었다. 애초에 당시 IGN이 게임스팟보다 신뢰도가 낮았던 이유.[5] 이를테면 IGN풋볼 매니저 2009 평점'''(2.0점)'''이라든가, 1UP네버윈터 나이츠2 평점(C+)이라든가. 네버윈터 나이츠2 리뷰는 결국 1UP이 사과문과 함께 리뷰를 내려 버렸다.[6] 주요 이유가 Wii 리모트 컨트롤이 좋지 않고 불편하기만 하다는 점과 몇몇 던전에서의 지루한 요소, 그리고 특히 기존 시리즈에 비해 뭔가 혁신적인 것이 없다는 것이었다. 참고로 기존작과의 차별점이 없어서 팬들에게 까이는 모던 워페어 3도 8.5점은 받았다.[7] 게임큐브판은 8.9점.[8] 참고로 시간의 오카리나는 리뷰 중 최초로 10점을 주었다.[9] 실제로 앵그리죠의 아캄 나이트 리뷰 영상에 달린 덧글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