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MP/역대 레이스 카 목록
1. 개요
2. LMP1, LMP (1994년~1999년)
3. LMGTP
3.1. 메르세데스-벤츠
3.1.1. 메르세데스-벤츠 CLR
3.2. 벤틀리
3.2.1. 벤틀리 EXP 스피드8, 스피드 8
3.3. 아우디
3.3.1. 아우디 R8C
3.4. 토요타
3.4.1. 토요타 GT-One
4. LMP900
5. LMP 675
6. LMP1 (2004년 ~ 2021년)
6.2. Dome
6.3. BR 엔지니어링
6.3.1. BR1
6.4. CLM
6.4.1. P1/01
6.5. 아우디
6.8. 롤라
6.10. 오레카
6.10.1. 오레카 01
6.11. 지네타
6.11.1. 지네타 G60-LT-P1
6.12. 토요타
7. LMP2
8. LMP3
1. 개요
역대 LMGTP, LMP900, LMP675, LMP1-H와 LMP1-L, LMP2, LMP3를 기술하는 문서다. 세부적인 디비전들은 시대순, 디비전 내의 메뉴팩처러 문서들의 기술 순서는 한글의 가나다 순으로 되어 있다. R8과 같이 여러 LMP 시대를 거친 차량들은 데뷔했을 당시의 디비전 아래에 기술한다. GT-One 처럼 LMP가 아닌 디비전에서 데뷔한 차량들은 해당 디비전의 /역대 레이스 카 목록 항목에 문서가 있을 경우 해당 문서로 리다이렉트하고, 문서가 없을 경우 해당 항목에 문서를 작성하거나 FIA 디비전 개편 이후의 소속 디비전에 기술한다.
2. LMP1, LMP (1994년~1999년)
2.1. BMW
2.1.1. BMW V12 LMR
1999년 르망 24시를 우승하고 BMW의 현재까지 유일한 르망 우승 컵을 선물해준 레이스카다. 하얀색 리버리와 당시 스폰서 델의 로고가 인상적인 레이스카이다.
3. LMGTP
3.1. 메르세데스-벤츠
3.1.1. 메르세데스-벤츠 CLR
[image]
메르세데스-벤츠에서 1999년에 야심차게 내놓은 1997년과 1998년 GT1 클래스를 지배했던 CLK GTR의 후속 차량으로, CLK GTR이 참가하던 GT1 클래스에서 변화한 LMGTP에 참가하려고 만든 차량.
3번의 사고 중 유일하게 영상으로 찍힌 피터 덤브렉의 사고. 불안정한 에어로 + 슬립스트림 + 울퉁불퉁한 노면의 삼박자를 갖춘 사고이다.
[image]
경기 전 웜업 중 일어난 마크 웨버의 두 번째 사고.
저 사고들로 특히나 유명하다. 차량의 성능 자체는 최상급이었으나 차량이 공기역학적으로 불안정해 차가 아예 자기 혼자 공중으로 떠서 공중제비를 돌 수도 있는 심각한 결함을 가지게 돼 버렸다.[2] 결과적으로, CLR은 '''르망 한 경기에서만 그런 사고를 3번이나 당하게 되었다.'''[3]
피터 덤브렉의 사고 이후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메르세데스는 마지막 남은 한 대까지 사고가 날 것을 우려해 마지막 한 대는 피트로 불러들여 리타이어시킴으로써 단 한 대도 완주하지 못하는 최악의 성과를 거두게 된다.
메르세데스는 제대로 망신을 당했고 그 이후로는 프로토타입 제작에 관심을 갖지 않게 된다.
3.2. 벤틀리
3.2.1. 벤틀리 EXP 스피드8, 스피드 8
[image]
2001년 부터 2003년 까지 르망 24시에 팀 벤틀리에서 출전 시켰던 차량이다. 당시 LMGTP 클래스 내의 유일한 차량이였고 R8에 의해 콩라인을 당하고 있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아우디 성애자들인 요스트 레이싱의 도움을 받아 아우디의 R8의 연속 우승을 2003년에 저지하였다. 다만 2003년의 R8은 매뉴팩쳐러 출전이 아니긴 했다.
3.3. 아우디
3.3.1. 아우디 R8C
아우디 R8R과 함께 내구레이스 도전을 위해 제작된 클로즈드 콕핏형 레이스 카이다. 2000년대 초반 부터 시작된 21세기 아우디의 WEC 및 르망 신화의 첫번째 주역인 R8과는 이름만 비슷할 뿐 많이 다른 차다. 사실 R8C와 R8R은 차후 제작할 레이스카의 기술 실증형 모델이나 마찬가지였는데 R8C는 R8R에 비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우디는 이를 해결할 시간적 여유라던지 두 프로젝트를 한꺼번에 진행하기에는 비효율적이라는 판단 하에 결국 비교적 나은 모습을 보인 R8R을 채택하고 R8C는 흑역사로 남게 되었다. 이후 2011년 클로즈드 콕핏을 채택한 R18이 등장하긴 하지만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는점.
3.4. 토요타
3.4.1. 토요타 GT-One
[image]
GT1 시절에도 쓰였던 토요타의 프로토타입 차량이다. 1998년 르망 24시에서는 8위를 했다가 99년 대회에서 리드하다 경기 극후반에 일어난 펑쳐 때문에 뒤따르던 BMW V12 LMR에게 추월당해 1랩 차이로 2위를 한 차량이다. 80년대 부터 시작되는 토요타의 르망 도전기이자 쓰디쓴 실패담과 콩라인의 아픔의 한 축을 담당하는 차량이라 할 수 있다.
4. LMP900
5. LMP 675
6. LMP1 (2004년 ~ 2021년)
6.1. 닛산
6.1.1. 델타 윙[4]
6.1.2. GT-R LM Nismo
6.2. Dome
6.3. BR 엔지니어링
6.3.1. BR1
[image]
[image]
위는 SMP 레이싱의 BR1,아래는 드래곤스피드 레이싱의 BR1이다.
같은 차체를 쓰지만 SMP쪽은 2.4 L V6 AER 엔진,드래곤스피드쪽은 4.5 L V8 깁슨 엔진을 사용한다.
또한 2019년 르망 뮬산에서 350.1 Km/h라는 최고 속도를 갱신했던 LMP1이다.[5] LMP가 들어선 이후 최고 속도를 기록한 차량이다.
18년 르망에선 같은 논하이브리드내에선 상위권이었으나 아쉽게도 리벨리온에게 밀려 포디움은 못 올랐지만
19년 르망에선 SMP의 11번이 리벨리온의 R-13과 경합을 겨루어서 토요타에 이어서 3위를 차지하였다.
아쉽게도 SMP는 자금문제로 불참,드래곤스피드는 LMP2로 두대의 차량을 운용하기로 하여서 2020년엔 볼 수 없게 되었다.
6.4. CLM
6.4.1. P1/01
[image]
2019년 르망 당시 P1/01
14년부터 로터스로써 참가하다가 15년부터 이름을 변경한 오스트리아의 레이싱팀 바이콜레스 레이싱이 운용하고 있는 LMP1 차량이다. 로터스 시절부터 꾸준히 P1/01을 쓰고있지만 해마다 차량의 외관이 달라지고있다. 2020년에는 바이콜레스 레이싱이 리저브로만 등록되어 있어서 못 볼 뻔 했지만 GTE PRO부문의 콜벳과 포르쉐 IMSA팀이 엔트리에서 빠짐으로써 생긴 공석덕에 참가할수있게 되어 7년동안 르망을 개근할 수 있게 되었다.
15년때에 완주도 1번 했었지만 이마저도 실격돼서 르망에선 포디움은 커녕 완주도 버거워 하는데도 계속 참가하는것을 보면 토요타나 리벨리온 못지않은 대단함이다.
엔진 메뉴팩처러가 자주 바뀐다. 14~15년은 AER 엔진, 16~18년은 닛산 니스모 엔진[8] ,19년부터는 깁슨 엔진으로 갈아탔고 20년 르망에도 깁슨엔진을 사용할 예정이다. 또한 드라이버로 DTM 챔피언 브루노 스펭글러를 영입해 르망에 참가할 예정이다.
또한 바이콜레스가 LMH에 참여를 결정하면서 이 P1/01을 기반으로 차량을 만들것이라고 발표하였다.2015년 바이콜레스란 이름하에, 첫 참가 때부터 엔트리 번호는 4번을 사용했다. 심지어 스포일러에도 4번이 도장되어 있다.
또한 2020년 9월초, 르망 특전 리버리를 공개하였다
6.5. 아우디
6.5.1. 아우디 R10 TDi
6.5.2. 아우디 R15 TDi
6.5.3. 아우디 R18 TDi, Ultra, e-Tron Quattro
6.6. HPD
6.7. 로터스
6.8. 롤라
6.9. 리벨리온
6.9.1. 리벨리온 R-One
6.9.2. 리벨리온 R-13
[image]
2019년 당시 리벨리온. 특별 리버리가 적용되어있다
2018년에 LMP2 클래스로 잠시 내려가있었던 리벨리온과 TVR이 내놓은 LMP1이자 R-One의 다음세대 차량이다. 오레카 07을 기반으로 한 차량이다.
LMP1 논하이브리드 클래스의 비약적 성능 상향으로 타 팀보다 빠른 랩타임과 퍼포먼스를 보여주었으나 토요타 TS050에겐 여전히 밀렸었다.물론 이는 하이브리드와의 극명한 차이때문이지,옛날만큼 토요타에게 많이 밀리지 않을정도로 빨라진거다
2018년 르망에선 3위,2019년에는 4위를 기록하여 선방한편. 2020년 르망까지 참여하고 이후 철수하게 될 예정이었으나 알피느에서 2021년 르망에 남은 R13의 섀시 1대를 리벳징하여 출전한다고 발표하였다.
6.10. 오레카
6.10.1. 오레카 01
6.11. 지네타
6.11.1. 지네타 G60-LT-P1
[image]
CEFC의 지네타 G60-LT-P1
2018년에는 CEFC TRSM 레이싱이 이 차량으로 르망에 참가하였으나 5번만 완주하였고
2019년에는 미출전,2020년에도 코로나19로 인한 공장유지 문제로 인하여 또 미출전한다.
결국 지네타측에서는 2021년에 출전할 커스터머 팀을 찾고 있다.
팀이 바뀌면서 엔진도 바뀌었다.
CEFC당시에는 3.4 V6 메카크롬 엔진이었다가 LNT팀으로 바뀌면서 AER P60C 엔진으로 교체되었다.6.12. 토요타
6.12.1. 토요타 TS030 하이브리드
6.12.2. 토요타 TS040 하이브리드
6.12.3. 토요타 TS050 하이브리드
6.13. 페스카롤로
6.14. 포르쉐
6.14.1.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6.15. 푸조
6.15.1. 푸조 908 HDi FAP, 푸조 908
7. LMP2
7.1. 포르쉐
7.1.1. 포르쉐 RS 스파이더
7.2. 오레카
알피느와 아우르스도 오레카 기반의 차량이니 여기에 기술
7.2.1. 오레카 03
7.2.2. 오레카 05
7.2.3. 오레카 07
7.3. 리지에
7.3.1. 리지에 JS P2
7.3.2. 리지에 JS P217
7.4. 달라라
7.4.1. 달라라 P217
8. LMP3
8.1. 리지에
[1] ALMS에서는 P1 클래스로 출전 했음으로 여기에 분류[2] 당시 경기 영상을 봐도 다른 차들에 비해 CLR만 유독 수직 진동이 심하다. 육안으로만 봐도 꽤 문제가 보이는 수준.[3] 예선에서 한 번, 결승에서 두 번. 참고로 마크 웨버는 저 세 번 중에서 두 번이나 돌았다.[4] ALMS에서는 P1 클래스로 출전 했음으로 여기에 분류[5] smp 레이싱의 11번이 갱신, 드라이버는 스토펠 반두른[6] WEC 풀시즌 참전 때에는, 정상적으로 완주하는 경기도 있긴 했다[7] 대표적으로 18년과 20년, 18년은 GTE와의 추돌로, 20년은 혼자 스핀해서 벽을 들이박았다[8] GT-R LM 니스모에 쓰던 그 엔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