さん

 

1. 개요
2. 한국어 ''와의 차이
3. 다른 번역의 예


1. 개요


일본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호칭 형식명사이다. ''을 뜻하는 '사마(さま,様)'가 변한 말이다.
상대의 성별과 상관없이 사용된다. 상대방을 친근한 의미로 높여 부르거나 존중하는 의미로 이름이나 성 뒤에 붙여서 쓴다.
칸사이벤에서는 はん으로 변형되어 쓰인다.

2. 한국어 ''와의 차이


한국에서는 상은 로 번역되고 쨩은 음차하는 게 원칙화되고 있지만, 용례가 씨와 좀 다르기 때문에 가끔 의도치 않게 오역이 되는 경우도 있다. 따지고 보면 차라리 영어권의 미스터(Mr.)나 미즈(Ms.)에 가까운 뉘앙스이다. 한편 일본에도 ''()라는 호칭이 따로 있긴 한데, 웬만해선 잘 쓰지 않는다.[1]
이는 존대와 호칭에 대한 문화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일본은 한국에 비해 존칭을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예컨대 한국에선 동년배의 학생끼리는 대학생이나 대학원생이라도 되지 않는 한 존칭을 쓰지 않지만, 일본은 친하지 않는 한 가볍게라도 존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친해도 존칭을 쓰는 사람도 제법 된다. 따라서 동년배끼리 'さん'을 붙이는 문화에서 'さん'을 '씨'로 번역할 경우, 게다가 학원물이라면 더욱 어색하다. 특히 학원물의 경우 텍스트로 성격을 표현하려 하기 때문에 존댓말 캐릭터가 유난히 자주 등장한다.
사실 한국에서는 공적인 자리가 아니면 '씨'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방송에서는 상호 존대를 하면서 '씨'를 쓴다. 특히 나이 어린 인물이 연상인 사람에게 'さん'이라고 부르는 것은 일본에서는 일상적인 데다 써주는 것이 예의지만 한국에선 연하가 연상에게 '씨'를 쓰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
특히나 '-씨'가 붙어 파생어를 만드는 예는 '-さん'보다도 더 적다. 예를 들어 친하게 지내는 연장자 남성을 부를 때 사용한 'お兄さん'을 '형씨'라고 번역한다거나. 'お兄さん'을 '형씨'라고 번역할 수 있는 경우는, 호칭을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보다 연배가 위나 동년배고, 용례가 번역에 어울리는 경우에만 한정된다. 시비가 붙었을 때, 시비 붙는 상대방이 'お兄さん'이라고 표현하면 형씨(비꼬는 의미)라고 번역할 수 있고, 호객꾼이 'お兄さん'이라고 부를 때도 경우에 따라 '형씨'라고 번역할 수 있는 정도.
원피스 캐릭터인 브룩이 타인을 지칭할 때 이말을 쓴다.

3. 다른 번역의 예


이렇다보니 발음 그대로 ''이라고 음차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고유명사가 아닌 음차하는 걸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다.[2] 한편 영어권에서는 이런 호칭의 경우 뉘앙스가 다른 것을 인정하고 San으로 음차하는 경우가 많다.
초면이거나 격식적인 상황에선 '씨'로 번역하고,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할 경우 '님',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할 경우 ''(남성), ''(여성)으로 번역하는 비율이 높다. 친구 사이의 경우 아예 호칭 자체를 생략하고, 나이 차이가 아주 심하지 않은 경우 한국에서 친근한 사이에서 흔히 쓰는 '언니 / 누나 / 오빠 / ' 등의 표현을 사용한다.

[1] 슈타인즈 게이트의 등장인물 다루에서도 보듯이 오타쿠들 사이에서 예전에 유행하기도 했다.[2] 비슷한 이유로 ''(ちゃん)를 음차하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