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歸'''돌아갈 귀
'''부수
나머지 획수'''

, 14획
'''총 획수'''
18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かえ-る, かえ-す
'''간체자'''

'''표준 중국어 독음'''
guī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3.1. 단어, 고사성어
3.2. 인명, 지명, 캐릭터명, 작품명 등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歸는 ''''돌아갈 귀/돌아올 귀''''라는 한자이다. '돌아가다', '시집 가다', '따르다, 붙좇다(존경하거나 섬겨 따르다) ', '(몸을)의탁하다' , '맡기다, 위임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상세


[image]
歸의 자형
[image]
歸의 획순
의 윗부분, , 帚로 이루어진 글자다. 여기서 帚는 빗자루를 의미하고 보통 '멈추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止는 여기서는 발의 모습을 본뜬 모양의 글자로 '가다'를 의미한다. 옛날에 남자는 장가를 들고 여자는 시집을 갔다. 이 때 남자는 신부의 집에서 3년 동안 딸을 준 것에 대한 보답을 해야 했다. 이 때 신부는 3년 동안 부모님의 품에서 살다가 3년이 지나면 신랑의 집으로 가야 했다.
따라서 歸의 전체적인 의미는 신부의 주된 역할이 빗자루(帚)를 들고서 가는(止) 것인데, 시집을 간 신부는 좀처럼 다시 부모님 품으로 돌아갈 수 없어 시댁의 풍토에 적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신부의 집의 흙(阜[1]의 상단)을 가져가서 물에 타서 마시는 풍속이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결혼 풍속 때문에 歸는 '돌아가다', '시집 가다', '돌려보내다' 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유니코드는 U+6B78에 배정되어있고, 한자검정시험에서는 4급으로 분류된다.

3. 용례



3.1. 단어, 고사성어


  • 귀가(歸家)
  • 귀경(歸京)
  • 귀국(歸國)
  • 귀부(歸附)
  • 귀성(歸省)
  • 귀소본능(歸巢本能)
  • 귀향(歸鄕)
  • 귀환(歸還)
  • 복귀(復歸)
  • 회귀(回歸)
    • 회귀선(回歸線)
    • 회귀성(回歸性)

'''고사성어'''
  • 사필귀정(事必歸正)
  • 시사여귀(視死如歸)
  • 의금귀향(衣錦歸鄕)[2]

3.2. 인명, 지명, 캐릭터명, 작품명 등


지명

'''작품명'''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阜는 흙으로 되어 있는 언덕을 나타낸다.[2] 금의환향과 같은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