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泣'''울 읍
'''부수
나머지 획수'''

, 5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ュウ
'''일본어 훈독'''
な-く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반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울 읍(泣).''' 울다, 걱정하다, 눈물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선 U+6CE3, 한자검정시험에선 3급에 배정되어있다.
뜻을 나타내는 (물 수)와 음을 나타내는 (설 립 → 읍)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울 읍' 말고도 ''''바람 빠를 립''''과 ''''원활하지 않을 삽''''이라는 뜻도 있는데 사실상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
泣자는 '소리 없이 울다'의 뜻으로 '흐느끼다'의 느낌이 강하다. 완전히 '펑펑 우는 모양'은 哭(울 곡)에 가깝다. (예: 통곡(痛哭/慟哭))

3. 용례



3.1. 단어


  • 감읍(感泣)
  • 곡읍(哭泣)
  • 비읍(悲泣)
  • 읍도(泣禱)
  • 읍소(泣訴)
  • 읍청(泣請)
  • 읍체(泣涕)
  • 읍혈(泣血)
  • 천읍(天泣)
  • 체읍(涕泣)
  • 통읍(慟泣)
  • 호읍(號泣)

3.2. 고사성어/숙어


  • 읍참마속(泣斬馬謖)[1]
  • 호사토읍(狐死兎泣)

3.3. 인명/지명/창작물


  • 원읍현(員泣峴)[2]

4. 유의자



5. 반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끌 랍)
  • (나란히 병)
[1] 泣이 들어가는 용례 중 가장 널리 퍼진 용례이다. 그런데 謖(일어날 속)이라는 한자는 너무 어려워서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제갈량이 아끼던 부하 마속(馬謖)이 제갈량의 지시를 어기고 다른 전략을 세웠다가 전쟁에서 대패하자 제갈량이 눈물을 머금고 규율에 따라 마속의 목을 베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2] 강원도 대관령 중턱에 있는 고개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