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물 수
'''부수
나머지 획수'''

水, 0획
'''총 획수'''
4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スイ
'''일본어 훈독'''
みず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shuǐ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image]
水의 필순
1. 개요
2. 상세 정보
3. 사용례
3.1. 일반
3.3. 인명
3.4. 지명

[clearfix]

1. 개요


'''물 수'''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 중 하나로, 을 의미하는 한자이다.

2. 상세 정보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물
'''음''' : 수
'''일본어'''
'''음독''' : スイ
'''훈독''' : みず
'''중국어'''
'''표준어''' : shuǐ
광동어 : seoi2/sui2
객가어 : súi
민둥어 : cūi
민난어 : chúi/súi
우어 : sr (T2)
'''베트남어'''
thủy(thuỷ)
유니코드에는 U+6C34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ㄕㄨㄟˇ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水(E)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가장 낮은 단계인 8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상형자로써, 물이 흐르는 모습을 본따서 만든 글자이다. 중간에 있는 가운데 획은 흐르는 물, 그 양 옆에 있는 획들은 물방울이 튀는 모습을 본뜬 것이다.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추상화되었다 :
[image] [image] [image] [image]
여담으로 (내 천) 또한 물이 흐르는 모습을 본땄지만 水와는 다르게 변화하였다.

2.1. 삼수변



[image]
氵의 필순. [1]
부수형태로 삼수변(氵)이 쓰인다. 삼수변은 가장 흔한 부수 중 하나로, 무려 '''1200여개'''에 달하는 한자들이 부수로 삼고 있어 단연 최다 빈출 변부수 중 하나로 손꼽힌다. 삼수변이 아닌 나머지 물수부도 300개나 있어서 다 합치면 '''1500개'''가 넘는데, 이는 초두머리에 이어 최다 수준이다.
삼수변과 비슷해보이는 부수로 冫(이수변)이 존재한다. 이수변은 氷(얼음 빙)의 변형이다.
삼수변 외에도 물수부발[2] 등의 부수가 존재한다.[3] 물수부는 강희자전에서 85번째로 분류되어 있다. 그리고 물이라는 의미를 가진 한자답게 물수부를 부수로 삼는 한자들 중 상당수는 액체 속성을 가진 물질이나 물과 관련된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진 액(液), 샘 천(泉), 얼음 빙(氷), 헤엄칠 영(泳), 깊을 심(深), 강 강(江), 물 하(河), 호수 호(湖), 바다 해(海), 큰바다 양(洋), 샘물흐를 필(泌), 도랑물내려갈 행(洐), 물아득할 묘(淼), 물 웅덩이 감(氹) 등등 여기에 다 적을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많다. 참고로 갑골문에서 水가 변(氵)으로 쓰일 경우, 주위의 물방울이 생략되고 주로 S 자 형태의 가운데 획만 남는다. 대표적으로 (물 하)가 있다.

3. 사용례


水는 기본적으로 '물'이라는 뜻이지만, 훗날 다양한 의미를 갖게 되면서 지금은 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중이다.

3.1. 일반



3.2. 고사성어


  • 교룡득수 (蛟龍得水)
  • 도천지수 (盜泉之水)
  • 산전수전 (山戰水戰)
  • 상선약수 (上善若水)
  • 아전인수 (我田引水)
  • 청산유수 (靑山流水)
  • 음수사원 (飮水思源) - 물을 마시면서 우물을 판 자를 생각한다는 말로, 어떤 혜택을 받을 때 그것을 제공한 사람에게 감사한다는 뜻이다. 이회창국회의원이 발언한 바 있다.

3.3. 인명


  • 미즈노(水野), 미즈시마(水島), 미즈키(水木), 미즈하라(水原[4]), 시미즈(清水), 코시미즈(小清水) 등의 성씨를 쓰는 일본인들.
  • 경흥 (憬興) - 신라의 승려. 성이 수(水)씨이다.
  • 금수현 (金水賢) - 성악가이자 금난새의 부친.
  • 김수녕 (金水寧)
  • 김수정 (金水正)
  • 박수동 (朴水東)
  • 수가윤 (水佳允) - 장렬왕 때 어사를 지낸 명나라인으로 고산수씨(高山水氏)의 시조이다.
  • 이수경#s-1 (李水京)
  • 이수경 (李水卿) - 허문도의 부인.
  • 이수자 (李水子) - 윤이상의 부인.
  • 장수원 (張水院)

3.4. 지명


  • 나고미 정 (和水 町)
  • 덕수리 (德水里)
  • 리수이 구 (溧水区)- 중국의 행정구역.
  • 미나마타시 (水俣市) - 일본의 행정구역. 위의 미나마타병이 발병된 곳이다.
  • 여수시 (麗水市)
  • 석수동 (石水洞)
  • 수동면 (水東面)
  • 수영구 (水營區)
  • 수원 (水原)
  • 수지구 (水枝區)
  • 시미즈 정 (清水 町) - 일본의 행정구역.
  • 진수이 구 (金水区) - 중국의 행정구역.
  • 타루미 구 (垂水 区) - 일본의 행정구역.
  • 톈수이 시 (天水 市) - 중국의 행정구역.

[1] 3번째 획을 위에서 아래로 긋는 사람이 많은데, 위의 gif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아래에서 위로 긋는 게 올바른 필순이다. [2] 氺. 물수부 또는 아래물수라고도 불린다.[3] 희귀하지만 물수 형상 자체를 변으로 삼는 한자도 있다. 이를테면 沀(도랑 서).[4] 瑞原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