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 죽
팔 육
'''훈(訓)'''

팔다
'''음(音)'''


'''부수'''
(쌀미)
'''획수'''
12획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ュク''[A]
''イク''[A]
'''일본어 훈독'''
''かゆ, かい''[A]
''ひさ-ぐ''[A]

'''간체자'''
-
'''중국어 병음(표준어)'''
zhōu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죽 죽/팔 육(粥)'''. '죽', '팔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죽
'''음''' : 죽
'''훈''' : 팔다
'''음''' : 육
'''일본어'''
'''음독''' : ''シュク''
'''훈독''' : ''かゆ, かい''
'''음독''' : ''イク''
'''훈독''' : ''ひさ-ぐ''
'''중국어'''
'''표준어''' : zhōu
광동어 : zuk1
객가어: chuk
민북어: cṳ̆
민동어: cé̤ṳk
민남어: chiok
오어: tsoq (T4)
'''표준어''' : yù
광동어 : juk6
객가어: yuk
민북어: ṳ̆
민동어: ṳ̆k
민남어: io̍k
오어: hhioq (T5)
'''베트남어'''
chúc
dục
유니코드에는 U+7CA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FDN(弓火木弓)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특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 글자의 본자(本字)는 鬻(팔 육)[1] 자이다. 鬻 자는 (쌀 미) 자와 (솥 력) 자, 그리고 (활 궁) 자 두 개가 합쳐진 회의자로, 여기서 弓 자는 솥에서 김이 올라오는 모습을 본뜬 것이다. 즉, 솥에 쌀을 넣고 끓이는 모습을 본떠 '죽'이라는 뜻을 나타냈다. 그런데 이후 鬻 자가 가차되어 '팔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는 한편, 鬻 자에서 鬲 자를 생략한 粥 자가 나타나면서, 粥 자와 鬻 자의 의미가 분화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비록 두 글자 모두 매우 드물게 쓰이나) 오늘날에는 粥 자는 주로 '죽', 鬻 자는 '팔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한편 이 글자가 '팔 육'으로 쓰일 때는 𧶠 자와 통자(通字)이나, 𧶠 자는 형성자의 성부(聲符)로만 쓰일 뿐 실제로는 전혀 쓰이지 않는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지명/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도울 필)

[A] A B C D 상용독음 범위 밖[1] U+9B3B, 창일수입법: NNMRB(弓弓一口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