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어

 



'''Tiếng Việt'''[1]
'''베트남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
'''베트남'''
소수사용국
체코, 캄보디아
원어민
'''약 1억 명'''
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
비에트므엉어군
베트남어'''
문자
라틴 문자(쯔꾸옥응으)
'''언어 코드'''
ISO-639
'''VI'''
'''주요 사용 지역'''
[image]
색칠된 지역 전부: 베트남어가 공용어
파란색: 베트남어가 주요 언어
하늘색: 베트남어가 제2언어
베트남어
tiếng Việt / 㗂越
체코어
Vietnamština
영어
Vietnamese language
중국어
越南语
태국어
ภาษาเวียดนาม
마인어
Bahasa Vietnam
일본어
ベトナム語
라틴어
Lingua Vietnamica
러시아어
Вьетнамский язык

베트남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13조[2]
1. 개요
2. 문자
3. 자음
4. 모음
6. 문법
7. 한자어
8. 한글 표기
9. 한국 내 학습
10. 베트남어를 할 줄 아는 인물
10.1. 서브 컬처에서 베트남어를 할 줄 아는 캐릭터
12. 회화
13. 들어보기

[clearfix]

1. 개요


'''Namuwiki, cây kiến thức mà các bạn có thể phát triển.'''[3]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오스트로아시아어족[4]에 속하는 언어. 베트남공용어이다. 사용자 수는 베트남내에서 8000만을 넘는 수준이고 해외의 베트남인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소수민족들까지 합하면 9000만을 넘는다. 베트남어에는 성조가 6개 있다. 오스트로아시아어는 보통 성조가 없거나 부실한데 베트남어 혼자서 압도적인 성조 개수를 자랑한다. 타이카다이어족 계열 언어의 영향을 받아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여타 언어와 달리 성조가 발달했다고 한다.[5] 인접 국가의 언어인 태국어, 미얀마어에도 성조가 있다. 크메르어는 성조가 없지만 같은 오스트로아시아어 계통에 속한다.
특이하게 체코의 소수언어로 지정되어 있다. 체코 공화국 정부 홈페이지 과거 냉전 시기부터 베트남인들이 체코슬로바키아로 일하러 들어왔는데, 체제전환 이후로도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남아서 베트남인들이 꽤 많이 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캄보디아의 톤레삽 호수에 살고 있는 수상가옥 사람들로 유명한 베트남계도 베트남어를 사용하는데, 이 사람들이 베트남전쟁 때 캄보디아로 피난을 온 피난민들이기 때문이다.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다시 고국으로 돌아가려니 고국에서는 배반자라고 받아주지 않고 캄보디아에서도 받아주지 않으니 할 수 없이 캄보디아 정부가 육지로 올라오지 않는 조건으로 수상에서만 살게 한 데서 이러한 상황이 비롯되었다고 한다.

2. 문자


원래부터 월족은 양쯔강 이남에 살고 있었고 백월족이라고 불렸다.[6] 대륙에 살던 백월족은 대부분이 한족에 동화되었지만, 베트남에 살고 있는 백월족은 독립된 국가를 발전시켰다. "베트남"이라는 국명부터가 남쪽의 월족 나라라는 뜻이다.[7]
한국과 일본과는 달리 대륙 왕조의 한족이 세운 국가가 베트남 영토를 오랜 기간 지배하면서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문자로서는 원래 한자를 사용하였다.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는 한자를 바탕으로 한 '쯔놈(字喃/𡨸喃)'이라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를 사용하였는데, 사실 한자의 제자 원리를 유지하여 표어 문자 방식으로 문자를 만들어낸 한자의 확장일 뿐이라 매우 어렵기는 마찬가지여서, 오히려 획이 많은 글자가 많아서 오리지널 한자보다 더 어렵다고도 볼 수 있다. 그것을 쓸 수 있는 사람들은 이미 한문 지식이 풍부한 지식인 계층뿐이었고 민중의 문자와는 거리가 멀었다. 유럽인들의 도래로 로마자에 의한 베트남어 표기가 시도되었으며, 식민통치 시대에 꾸옥응으가 공식 표기로 지정된 이후, 오늘날에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 쯔꾸옥응으(Chữ Quốc Ngữ)가 베트남어의 정식 정서법이다. 쯔꾸옥응으에는 모음자 12개와 자음자 17개가 있다.
베트남도 한자 문화권이라 한자어도 많고 이름도 한자로 짓는다. 현대 들어서는 그냥 순수 베트남어로 짓는 경우도 많이 보이지만 한자어로 된 이름일 경우도 있다.[8] 쯔꾸옥응으[9]를 쓰기 때문에 오늘날에 들여오는 외래어들은 중국어처럼 음차하지 않고 일본어한국어처럼 그대로 들여온다. 라틴 문자 중 베트남어에 쓰지 않는 글자가 네 개(F, J, W, Z) 있지만 외래어를 들여올 때는 그 네 개의 글자를 그대로 쓴다. 쯔꾸옥응으도 라틴 문자에서 파생된 만큼 적용해도 이상할 게 없기 때문.

3. 자음


베트남 북부와 남부의 발음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가령 'Việt'을 하노이에서는 '뷔엣'이라 발음하고 남부에서는 '위익'이라고 발음한다.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프랑스와 포르투갈의 영향을 받아, 로망스어군의 철자법과 비슷한 점이 많다. /k/ 발음은 기본적으로 c로 적으나 e, i 앞에서는 k로 적으며, /kw/ 발음은 qu로 적는다. g는 i, e 앞에선 /z/ 발음이 나므로 /ɣɛ/, /ɣe/, /ɣi/ 발음을 쓰기 위해선 ghe, ghê, ghi라고 해야 하며, ng도 마찬가지다. 다만 베트남어에 /nz/ 발음은 없으므로 ngi, nge 등의 표기는 없다.
일단 북부 하노이 발음이 표준으로 간주되어 있는데, 하노이를 기준으로 한 자음은 다음과 같다.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nh
ng

파열음
p

th(유기음) t(무기음)
ch, tr
c, k, q

내파음
b

đ



마찰음

ph(무성음) v(유성음)
s, x(무성음) d, r(유성음)

kh(무성음) g, gh(유성음)
h
접근음


l[10]
y, i
u, o[11]

지역별 발음 차는 다음과 같다.
표기
하노이
호찌민
표기
하노이
호찌민
v
v
j
-t[12]
-t
-k
d, gi
z
j
-n[13]
-n

r
z
ɹ[14]
-ch
-k
-t
tr
c
ʈ͡ʂ[15]
-nh

-n
s
s
ʂ[16]



참고로 하노이와 호찌민 이외 지역에서도 발음은 또 다르게 달라진다.
현재 베트남어의 표기법이 처음 등장한 것이 17세기인 연유로 로마자 표기가 발음에 비해 보수적인 편이다. 가령 현대 베트남어에서는 남북을 막론하고 'ph', 'kh' 철자가 모두 마찰음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행복(幸福)을 뜻하는 베트남어 단어의 표기는 hạnh phúc이나 읽기는 /hajŋ fuk/ 비슷하게 읽는다. 현재는 'th'철자만이 유일하게 유기파열음으로 남아있는 셈. 이 세 발음은 과거에는 다른 인도차이나 반도의 언어들처럼 셋 모두 유기음이었다고 한다.
옛 베트남어에는 권설음 s /ʂ/, r /ɹ/, tr /ʈ/이 있었으나 현재 북부 발음 기준으로는 모두 사라지고 /s/, /z/, /c/ 발음으로 변해 버렸다. 따라서 베트남인 성씨 'Trần(陳)', 'Triệu(趙)'는 '쩐(cən)', '찌에우(/ciəw/)'에 가까운 발음이 되었다. 또한 d의 경우 /d/가 아닌 /z/ 음가를 나타내고 실제 'ㄷ'에 가까운 /ɗ/는 đ라는 글자를 사용해 표기하는데, 이 역시 원래 d의 발음이 /ð/에서 /z/로 변하면서 이렇게 되었다.
파열음 /p, t, k/가 종성으로 올 때는 불파음이 되어 /p̚, t̚, k̚/로 실현된다(하노이 발음 기준).

4. 모음


베트남어에는 모음 음소가 매우 많으며, 모음 종류가 지방마다 조금씩 다르다. 일단 하노이 지방의 모음은 기본적으로 9개이며, 이 중 ơ(ə)와 a(a)는 장단이 구별되어 â(ə̆)와 ă(ă)는 다른 모음보다 짧게 발음된다. 그러나 Kirby의 "Vietnamese(Hanoi Vietnamese)"라는 논문에 따르면, 중설 중모음 â(ə̆)와 ơ(ə)의 차이는 그렇게 두드러지지 않고 인지적으로 차이가 있는지도 불분명하다. 그리고 ư가 중설 고모음 /ɨ/보다는 한국어의 'ㅡ'와 같은 소리인 후설 고모음 [ɯ]에 더 가깝다는 주장도 있지만, 최근의 음향 음성학 연구에 따르면 중설 고모음 /ɨ/라는 것이 확정적이다. 모음 i, ư, u(i, ɨ, u)은 자음 /k/와 /ŋ/ 앞에서는 [ɪ, ɪ̈, ʊ]로 발음된다. 모음 표기가 일관적이었으면 좋으나 실제론 그렇지 않고 이중모음에서는 소리가 미묘하게 달라진다. 일단 하노이 지방 베트남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베트남어 알파벳 뒤 괄호 안에 IPA 음성기호를 표기하였다.[17]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
비고
고모음
i(i)
ư(ɨ)
u(u)

중고모음
ê(e)

ô(o)

중모음

â(ə̆) ơ(ə)

â(ə̆)는 짧게 발음한다.
중저모음
e(ɛ)

o(ɔ)

저모음

ă(ă) a(a)

ă는 짧게 발음한다.
이중모음일 때에는 발음이 또 달라진다.




-əɪ
-əʊ
i

iu
ia, iê

iêu
ê

êu



e

eo



ư
ưy
ưu
ưa, ươ
ưoi
ưou
â
ây
âu



ơ
ơi




ă
ay
au



a
ai
ao



u
uy

ua, uô
uôi

ô
ôi




o
oi





5. 성조


베트남어는 6개의 성조가 있다. 물론 지역마다 다 다르다(…). 베트남어 성조는 연음(ngang, huyền) - 굴절되는 경음(nga, hỏi)과 굴절되지 않는 경음(sắc, nặng)으로 나누기도 하며 높은 음역(ngang, ngã, sắc)과 낮은 음역(huyen, hỏi, nặng)으로 구변하기도 한다. 성조를 틀리면 현지인과 대화하기 곤란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18] 성조도 중국어 성조보단 다양한 편이다.[19]
성조 이름
하노이
북중부[20]
중부
남부
ngang
33
35, 353
35
33
huyền
21̤
33
33
21
sắc
35
13̰
13̰
35
hỏi
31̰3
31̰ʔ
312
214
ngã
3ʔ5
22̰
312
214
nặng
21̰ʔ
22̰
22̰
212
[21]

이는 성조언어로 유명한 중국어도 해당되는 것이지만 같은 계통의 언어인 캄보디아어처럼 베트남어 역시 고대에는 성조가 없었으나 어말의 마찰음이나 성문파열음이 사라지면서 성조가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6. 문법


문법적인 면에서는 성조가 어려워도 대체로 주어 + 동사 + 목적어순으로 쉬운 편이다. 그리고 태국어, 인도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베트남어도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는 명사의 뒤에 위치해서 수식하는 것이 흔하다. 그리고 문법적인 면에서 동사는 변화하지 않고 그대로 쓰는 경우가 많다. 시제의 경우에는 동사를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쓰되, 어제, 오늘, 내일 등을 나타내는 부사와 같이 써서 시제를 나타내는 경우가 흔하다.
어휘는 한자어계통의 어휘가 60%이상이지만, 프랑스의 지배를 받아서 베트남어에도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이 있다. 또한, 베트남이 베트남 전쟁당시에 남베트남북베트남으로 나뉘어진 적이 있어서 아직까진 일부 어휘가 북부쪽에서 쓰이는 어휘, 남부쪽에서 쓰이는 어휘가 다른 경우가 있고 발음도 남부 발음, 북부 발음이 다른 경우가 있다(예컨대, d라는 문자는 북부에서 z발음에 가깝고, 남부에선 j발음에 가까운 것 등).

7. 한자어


베트남어에는 한자어가 많다. 베트남어의 한자어는 한국어에서 쓰이는 한자어와 공통된 경우가 있지만, 중국과 가깝다보니 중국어와 비슷한 어휘도 일부 보이고 있다. 기본어순은 중국어, 태국어, 영어와 같은 주어+동사(서술어)+목적어 어순이다. 다만 프랑스어처럼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놓인다. 예를 들면 베트남어로는 이동전화는 전화이동(電話移動, Điện thoại di động; 뎬톼이 지동)이다. 다만 백마(白馬, Bạch mã; 바익마)처럼 예외도 있다.
여담으로 일본,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현재의 대한민국 자체를 가리키는 게 아니라, 한반도의 문화권 및 역사, 민족, 일련의 국가 체계를 가리키는 'Korea'로서의 한국)을 '''조선'''(베트남어로는 Triều Tiên, 찌에우띠엔)이라 부른다. 그래서 한반도를 '반도조선(Bán đảo Triều Tiên, 반다오 찌에우띠엔)', 한국 전쟁(6.25 전쟁)을 '전쟁조선(Chiến tranh Triều Tiên, 치엔짜잉 찌에우띠엔)'이라 부른다. 마찬가지로 위에서 언급했듯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놓이는 특성상 '조선반도', '조선전쟁'이 아닌 '반도조선', '전쟁조선' 식으로 쓰는 것.
과거 베트남에서도 한시를 많이 지었고 한시를 베트남식 한자 발음으로 읽는 것이 가능하다. 난후도곤산감작 항목 참조.

8. 한글 표기


이웃나라 언어인 태국어, 말레이어와 함께 표기 세칙이 마련되어 있다.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유기음/무기음 음소 구분이 있는 언어이기 때문에 다른 언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에는 잘 쓰이지 않는 쌍자음이 자주 쓰인다. 이는 태국어, 중국어도 마찬가지.
외래어 표기법/베트남어 참조.

9. 한국 내 학습


한국베트남인의 증가와 더불어 베트남어 학습자가 늘고 있고 거기에다 경제적으로 중국 외 베트남과의 비중이 확대됨으로 인해 중국어대신 베트남어를 배우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수능에서도 제2외국어로 베트남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쪽 언어들중에선 인도네시아어 책, 태국어 책과 함께 베트남어 책도 많이 있고 지금도 발행중이다. 그리고 베트남과의 교류신남방정책이 진전되면서 중요한 언어로도 각광받고 있고, 베트남 여행을 가는 한국인 관광객들도 증가하면서 베트남어를 배우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베트남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은 영어외에도 베트남어도 중요시하고 있다. 거기에다 한국에서도 특수외국어에 포함되어 있다.
국내에 베트남어학과가 있는 학교는 서울대(아시아언어문명학부 동남아전공), 단국대(외국어대학 아시아중동학부 베트남학전공)[22], 한국외대부산외대, 청운대[23], 영산대 여섯 곳이 있다.[24]
네이버 사전다음 사전에서 베트남어 사전을 지원한다. 그중에서 네이버 사전에 수록된 베트남어 사전수가 매우 많은 편이다. 두사전 모두 한자표기까지 포함되어 있지만, 한자검색이 가능한 쪽은 다음사전이고 네이버 사전은 한자검색이 안되는 경우도 있다.
학위 과정 외에는 여러 온/오프라인 강의를 들 수 있는데, 국내기업들의 베트남 진출이 증가하며 인터넷으로 온라인 강좌를 제공하는 사이트들도 함께 생겨나고 있다. 유튜브에는 몇몇 회화 강의 시리즈들이 업로드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기초 과정을 닦을 수도 있다. ECK교육에서도 베트남어 유료 강좌를 제공중이다.# 그 외에도 베트남어 무료 강좌도 존재한다.
오프라인에서는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에서 매학기 개설하는 동남아시아 언어 강좌들이 있다. 베트남어를 포함해 마인어, 캄보디아어, 타갈로그어, 태국어, 버마어가 개설되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초급과 중급으로 나뉘어 매주 1회(서강대 시험기간에는 휴강), 한 학기에 12~13회 정도로 강의가 진행된다. 연구소 사업으로 수강료가 '한 학기'에 10만 원에 불과하므로 오프라인에서 강의를 들으며 조금이나마 회화, 발음 등을 연습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움이 된다. 특히 베트남어는 학습 초기에 성조 및 발음을 조금이라도 더 연습해 제대로 잡고 가는 게 좋으므로 나름대로 큰 효용을 볼 수 있다. 강의들은 직장인들이 수강할 수 있도록 평일 저녁(7시 이후)에 개설되며, 주 수강생은 서강대와 연세대, 이화여대 등에서 온 지역학 전공학생, 동남아 언어를 필요로 하는 직장인, 기타 일반인 등이다. 학기말에는 출석시수를 채운 학생에게 수료증을 발급하지만, 수강료가 워낙에 저렴한 데다가 직장인, 대학원생의 경우 바쁜 일상으로 인해 중도에 포기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중급, 고급 베트남어를 가르치는 곳은 대학 뿐이고 시중에 판매하는 책도 없어서 깊이 공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시판되는 책에 중급이라고 적힌 것은 실제로 초급 수준인 경우가 많다. 유일한 중급 책이라고 볼 수 있는 한국외대 교재는 mp3 파일과 한글 해석이 없어 독학하기 어렵다. 중급 이상 학습을 하려면 원서와 vsl을 사는 방법이 있다. vsl은 베트남에서만 판매하지만 한국에서 개인이 중고로 판매하기도 한다. 그러나 잘 안 쓰는 표현과 단어를 사용하는 교재라서 호불호가 있다. 책 없이 유튜브나 인터넷 글로 공부하는 방법이 있고 온라인 서점에서 한국 도서 베트남어 판을 사는 경우도 있다.
베트남어 시험도 한국에서 실시되고 있다. 이중 FLEX에도 베트남어가 포함되어 있지만, 특수시험에 포함되어 있어서 일반인의 경우에는 치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대개 베트남어 FLEX는 특수시험이다보니 가이드를 뽑을 때에 한해서만 치뤄지는 경우가 있다. 부산외대에선 베트남에 가서 응시해야했던 베트남어 능력 인증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최근 OPIc평가 어종으로 추가되어 2018년 10월 31일에 첫 시행되었다. #
2010년대 말에 이르러,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IGSE)에서 한국어-베트남어 통번역학과(석사)를 개설했다.

10. 베트남어를 할 줄 아는 인물


※모어가 베트남어인 인물 제외
  • 비와이[25] - 대한민국
  • 송영주 - 대한민국[26]
  • 안성기[27] - 대한민국
  • 앤더슨 쿠퍼[28] - 미국
  • 이강우[29] - 대한민국
  • 이시다 유미[30] - 일본
  • 최고아라 - 대한민국
  • 코이티비 - 대한민국[31]

10.1. 서브 컬처에서 베트남어를 할 줄 아는 캐릭터


단순히 주문이나 마법 스킬명을 베트남어로 외치는 것은 제외, 베트남어권 출신 캐릭터는 제외. 단 하프나 쿼터인 경우 등재. 하프나 쿼터인 경우 '''볼드체'''로 표기

11.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외래어 단어


한국어의 외래어/기타 참조.

12. 회화


안녕하세요.
xin chào. 씬 짜오.
안녕.
chào. 짜오.
또 만나요.
Hẹn gặp lại. 헨 갑 라이.
환영합니다!
chào mừng! 짜오 믕!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Anh tên là gì? 아잉 텐 라 지?
제 이름은 _입니다.
Tên tôi là _. 텐 또이 라 _.
당신은 어느 나라 사람입니까?
Anh Hùng là người nước nào? 아잉 훙 라 응으어이 느억 나오?
나는 (한국/베트남)에서 왔어요.
Tôi là người (Hàn Quốc/Việt Nam). 또이 라 응으어이 (한꾸옥/비엣남)
예.
Vâng. 벙.
아니요.
Không. 꽁

13. 들어보기



베트남 국가 Tiến Quân Ca - "진군가"

한류물을 좀 많이 먹은 요즘 베트남 노래 Sơn Tùng M-TP의 Em Cua Ngay Hom Qua [32] [33]

그리고 이건 베트남 민요를 현대식으로 편곡한 노래 Bèo Dạt Mây Trôi. 감미롭다.

겨울왕국의 <Love Is an Open Door> 베트남어 더빙판 - Hát cho tính yêu bừng sáng

[1] 띠앵 비엣이라 발음한다 [2] 한국어 해석: 1. 모든 사람은 자국내에서 이동 및 거주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 2. 모든 사람은 자국을 포함하여 어떠한 나라를 떠날 권리와 또한 자국으로 돌아올 권리를 가진다.[3] 번역이 잘못되었거나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수정하기 전에 이곳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면 좋습니다.[4] 오스트로'''아시아'''어족(동남아 대륙부에서 주로 쓰임: 베트남어, 크메르어 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동남아 도서부와 폴리네시아에서 주로 쓰임: 대만원주민, 말레이-인도네시아, 타갈로그, 마다가스카르, 하와이, 마오리, 이스터섬)은 엄연히 다른 어족이다.[5] 출처: 유인선,『베트남의 역사 (고대에서 현대까지)』, (이산, 2018)[6] 다만 백월족 자체는 당시 중국 중남부 일대의 다양한 종족들을 싸잡아서 부르던 명칭이었다.[7] 그래서 베트남어의 성조는 중국 남부 지방의 성조와 비슷한 점이 있다.[8] 한 예로 호치민의 한문 이름은 胡志明이다.[9] 이 명칭이 잘 와닿지 않을 수 있는데, 한자로 쓰면 字國語이고 이를 수식-피수식 구조로 고치면 '''국어자'''가 된다.[10] 설측접근음[11] 양순접근음[12] i, e, ê를 제외한 모음의 뒤[13] i, e, ê를 제외한 모음의 뒤[14] 영어의 r 발음이다.[15] 중국어의 zh 발음이다.[16] 중국어의 sh 발음이다.[17] 단, 베트남어의 발음에 관해서는 자음도 그렇지만 연구자에 따라 이견이 갈리므로 다른 표도 있다.[18] 베트남어 외에도 중국어의 여러 하위 방언들, 태국어, 라오어, 버마어, 기타 중국 남부 소수민족 언어들, 라싸에서 사용되는 표준 티베트어 등이 성조를 갖고 있다.[19] 기본적으로 6개 성조가 있지만, 베트남어 발음에 따라서 성조발음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고 6개 이상으로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20] 하띤 기준.[21] 1은 가장 낮은 소리, 5는 가장 높은 소리로 나타나며 중간에 ʔ 발음이 들어가거나 기성(氣聲, 밑의 점 2개), 성문음화(밑의 물결)도 표시했다.[22] 천안캠퍼스[23] 외국어대학 글로벌학부 베트남어학과[24] 2년은 한국, 2년은 베트남에서 공부할 수 있는 외대도 일부 있다. 여담으로 한국외대 베트남어과 출신 유명 인사 중 배우 안성기가 있다. 래퍼 비와이도 청운대 베트남학과 출신이다.[25] 청운대 베트남어학과 출신이다.[26] 관광통역안내사 활동 별명은 박신양.[27] 한국외대 베트남어학과 출신이다.[28] 1990년에 베트남에서 1년동안 하노이 대학교에 다녔고 베트남어를 전공했다.[29] 한국외대 베트남어학과 출신이자 교수이다.[30] 베트남어를 조금 구사할 줄 안다.[31] 부산외대 베트남어학과를 졸업했다.[32] 실제로 한국 아이돌 특히 빅뱅을 롤모델로 삼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Sơn Tùng M-TP 문서를 참조.[33] 현재 베트남 음악은 팝과 케이팝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있다. 그래서 스타일이 케이팝 느낌이 물씬나는 가수들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