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識'''알 식
'''부수
나머지 획수'''

, 12획
'''총 획수'''
19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キ
'''일본어 훈독'''
''し-る''
'''간체자'''

'''표준 중국어 독음'''
shí, zhì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용례
3. 유의자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알 식/적을(기록할) 지/깃발 치'''
뜻을 나타내는 (말씀 언)과 음을 나타내는 (찰흙 시->식)가 합쳐진 모양이다. 원래는 자체가 여러 가지 뜻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나중에 言을 붙여 '말(言)을 듣고 안다'라고 하여 '알다'의 뜻으로 자리잡았다.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이 글자는 다음자이므로 나누어서 표기한다.
'''한국어'''
'''훈''' : 알다
'''음''' : 식
'''훈''' : 적다
'''음''' : 지
'''일본어'''
'''음독''' :シキ[1],ショク[2]
'''훈독''' : し-る
'''음독''' : シ
'''훈독''' : しる-す
'''중국어'''
'''표준어''' : shì
광동어 : sik1
객가어: sṳt
민동어: sék
민남어 : siak
오어 : seq (T4)
'''표준어''' : zhì
광동어 : zi3
객가어 : [좌동]
민동어: cé
민남어 : [좌동]
오어 : tsr (T2)
'''베트남어'''
thức
chí

2. 용례



2.1. 단어


  • 감식(鑑識)
  • 견식(見識)
  • 면식(面識)
  • 무식(無識)
    • 무식자(無識者)
  • 부지불식(不知不識)
  • 상식(常識)
    • 몰상식(沒常識)
    • 비상식(非常識)
      • 비상식적(非常識的)
    • 상식적(常識的)
  • 식견(識見)
  • 식별(識別)
  • 안식(眼識)
  • 유식(有識)
  • 의식(意識)
    • 목적의식(目的意識)
    • 무의식(無意識)
      • 무의식심리학(無意識心理學)
    • 선민의식(選民意識)
    • 의식심리학(意識心理學)
    • 의식화(意識化)
    • 자의식(自意識)
    • 자아의식(自我意識)
  • 인식(認識)
  • 지식(知識)
    • 지식경제부(知識經濟部)
    • 지식산업(知識産業)
    • 지식인(知識人)
  • 표지(標識)[주의]
    • 표지판(標識板)
  • 학식(學識)

2.2. 고사성어/숙어


  • 목불식정(目不識丁)[3]
  • 박학다식(博學多識)
  • 식자우환(識字憂患)

3. 유의자


  • (기록할 기)
  • (기 기/깃발 기)
  • (기록할 록)
  • (알 인)
  • (알 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오음[2] 한음[좌동] A B '식' 음에 흡수되었다.[주의] '표식'으로 읽지 않는다.[3]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와 비슷한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