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담 5호기

 

1. 제원
2. 개요
3. 모형화
3.1. 건프라
3.1.1. MG
3.1.2. HGUC
3.2.1. 액션 피규어
3.2.2. 식완
4. 게임에서의 건담 5호기


1. 제원


[image]
[image]
'''RX-78-5 Gundam Unit 5'''
[펼치기 / 접기]
형식 번호
RX-78-5
명칭
건담 5호기
ガンダム 5号機
타입
프로토타입 공간전 모빌슈트
제작
지구연방군
설계
소속
조종
흉부 콕피트에 파일럿 1명
파일럿
폴드 롬펠로
배치
UC 0079.07
전고
머리 높이
18.0 m
중량
건조
42.9 t
전비
80.5 t
장갑
루나 티타늄 합금
엔진
초소형 미노프스키 핵융합 엔진
출력
1480 kW
추력
70500 kg
가속력
0.88 G
시스템
6190m 감지 센서
마그넷 코팅
고정무장
60mm 발칸 건 x2
빔 사벨 x2
핸드 빔 건 x2
그레네이드 런처 x2
옵션무장
XBR-M-79H-2 하이퍼 빔 라이플
실드
자이언트 개틀링
[image]
[image]
노말 버전
BST 버전


2. 개요


건담 5호기는 세컨드 로트계에 속하는 5번째로 건조된 건담이며, 특히 건담형 모빌슈트의 5번째 사양으로 개수된 상태를 가리킨다. 코드 네임은 G-05다. 초창기에는 모빌슈트 바리에이션(MSV)에서 문자 설정만이 존재했고, 얼마 후에 오오카와라 쿠니오 콜렉션(M-MSV)을 통해 디자인이 공개되면서 단편 소설에만 등장했지만, 2003년에 발매된 PS2용 게임 기동전사 건담 해후의 우주에 나오는 사이드 스토리 "기동전사 건담 외전-우주, 섬광의 끝에..."에 제16독립 전대 기함 서러브레드(준화이트 베이스급)의 탑재기로 등장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파일럿은 폴드 롬펠로 중위다.

원래 5호기는 건담 4호기와 마찬가지로 프로토타입 건담의 초기 시작형으로 개발되었고, 자브로에서는 짐의 테스트베드로 사용된 후, 세컨드 로트 시리즈로서 4호기와 동일한 사양으로 개수되었다. 4호기와 5호기의 개수는 같은 개발 팀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주요 부분은 99% 공통이다. 1%의 차이는 흉곽의 열방출 덕트로, 4호기는 제너레이터 출력과 냉각성능이 충분해 덕트가 1개만 있지만, 5호기는 냉각성능이 떨어져서 보다 많은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덕트가 이중 연결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알려진 바에 의하면 5호기 사양이 4호기 사양보다 먼저 완성되었다고 한다.

4호기와 같은 우주전용으로 특화된 기체이며, 코어 블록 시스템과 지상용 장비를 생략한 대신에 기동성이나 가동시간 등은 보다 향상되었다. 고정 장비나 기본 무장도 4호기와 같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 4호기에 비해서 제너레이터 출력, 냉각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메가 빔 런처 대신 6연장 90㎜ 자이언트 개틀링 건[1]이 있으며, 4호기의 호위 및 엄호를 담당하는 공간 제압용 기체로 운용되었다. 경장 상태의 기본형과 어깨에 증가 스러스터 아머를 장착한 증가 장비형으로 환장이 가능하다.

작중에서는 일년 전쟁 말기에 달표면 도시 그라나다 근교의 전투를 마지막으로 무사 생환한다. 이것은 처음에 건담 8호기까지의 설정이 만들어지면서 '설계, 제조된 8기 가운데 가동 상태로 일년 전쟁 종결을 맞이 할 수 있던 것은 단 1기뿐이었다.'라는 해설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원작 소설 아 바오아 쿠 공방전에서는 지온군의 시작형 모빌아머 비그로改와의 전투에 대파하고 말았으며, 귀환 여부는 불명이다.
PS2로 나온 기동전사 건담 해후의 우주의 시나리오에서는 IF 스토리때 비그로改와 붙는 시나리오가 있는데, 여기서 패배하면 4호기가 귀환한게 된다.즉 소설판을 따라간다.(IF 분기점이 4호기가 대파했냐 안했냐.)
소설과 게임의 차이는 4호기가 귀환했느냐 5호기가 귀환했느냐의 차이인것 같다.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에서는 스피릿츠부터 등장했고, 퍼스트 건담 트리에 들어간다. [Bst]는 또 따로 개발해야한다.

3. 모형화



3.1. 건프라



3.1.1. MG


[image]
<colbgcolor=#e73e45><colcolor=white> 등급
Master Grade
스케일
1/100
발매
2003년 8월
가격
2,8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리뷰
달롱넷 리뷰 / 건담홀릭 리뷰
건담 4호기와 같은 시기에 MG로 발매되었다. 그 당시 MG 치고는 내부 프레임이 간소화되어 아쉬움이 있지만 중기 MG 중에서도 나름 괜찮은 가성비를 가진 킷이다. 기체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자이언트 개틀링 덕분에 4호기보다 높은 인기를 자랑한다.

3.1.2. HGUC


[image]
[ 자이언트 개틀링 장비 공식사진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e73e45><colcolor=white> 상품구분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등급
High Grade Universal Century
스케일
1/144
발매
2021년 3월 예정
가격
2,250엔
리뷰

HGUC로 프라모델화 되기 전에, 주무장으로 사용하는 자이언트 개틀링이 "빌더즈 파츠 1/144 시스템 웨폰 005"에 포함되면서 약간의 가능성을 보였으나, 당시에는 상품화로 이어지지 못했다.
이후, 2019년 건담 6호기, 2020년 건담 4호기가 HGUC화 되면서 HGUC 5호기 상품화의 가능성도 크게 열렸고, 마침내 2020년 10월 20일에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으로 발매되는 것이 공개되었다.
제공되는 제품 정보에 따르면, HGUC 건담 4호기를 베이스로 약간의 신규 조형[2] 파츠를 추가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자이언트 개틀링은 HGUC 페일라이더 공간전 사양에 부속된 자이언트 개틀링의 금형을 유용하지만, 포신부에 신규 조형 파츠가 추가된다. 다만, 설정상 6연장인데도 불구하고 기존 금형을 재활용하다보니 8연장으로 재현된 부분이 아쉽다는 지적이 있다.

3.2. 완성품



3.2.1. 액션 피규어


  • 2003년 10월, MIA(Mobile Suit In Acton!!) 건담 5호기가 1,500엔에 발매되었다.
  • 2004년 5월, Gundam Fix Figuration 건담 5호기가 3,980엔에 발매되었다.
건담 5호기뿐만 아니라 6호기 머드록으로 환장할 수 있는 파츠도 포함되어 있다.
두 제품의 공통사항으로 기체의 붉은색이 대체적으로 주황색 톤을 띄고 있다.#

3.2.2. 식완


  • 2019년 6월, 기동전사 건담 G 프레임 6탄에 건담 5호기가 포함되었다. 가격은 500엔.
아머 세트와 무장, 가동 프레임 세트가 분리되어 있어 총 1,000엔이 소비된다.

4. 게임에서의 건담 5호기



4.1. 기동전사 건담 온라인




4.2.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1] 무탄피식으로 탄창에 총 3,000발이 장탄된다. 반동이 너무 커서 1년전쟁에 투입된 기체 중 이 무기를 사용한 기체는 이 기체와 페일라이더뿐이다.[2] 흉곽의 덕트 부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