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우와 직녀
1. 개요
'''牽牛 織女'''
[image]
《고구려 덕흥리 고분의 견우와 직녀가 그려진 벽화》
동아시아의 전설로 칠석날만 오작교 위에서 만난다는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
2. 줄거리
하늘에서 소를 치는 것에 최고인 견우와 하늘에서 베를 짜는 데에 최고인 직녀는 일에만 빠져서 결혼도 안 하고 살았다. 이를 딱하게 여긴 옥황상제가 둘을 직접 맺어주었는데 그 뒤로 두 사람은 달콤한 신혼생활에 빠져 일은 내팽개치고 둘이 탱자탱자 놀기만 열심히 놀면서 지낸다.
이를 지켜본 옥황상제는 그러라고 맺어준 부부의 연이 아니라며 분노했고, 결국 둘은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각자 하늘의 동쪽 끝, 서쪽 끝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옥황상제는 7월 7일, 즉 칠석날 하루만 둘을 만날 수 있게 했다. 문제는 은하수에는 다리가 없어 이를 건널 길이 없기에 강가에서 서로 바라보며 눈물만 지을 뿐...
두 사람이 이리도 하염없이 울다 보니 그 눈물이 비가 되어 지상에 홍수가 날 지경이 되자 지상에 살고 있는 까마귀와 까치가 하다 못해 하늘로 올라가 은하수에 다리를 놓는데 이것이 오작교다. 이 날 저녁에 비가 오면 두 사람이 흘리는 기쁨의 눈물이요, 다음날 동틀 무렵 비가 오면 서로 헤어져야 하는 것을 아쉬워하는 슬픔의 눈물.
한편 오작교를 만드느라 이 날 까마귀, 까치의 머리가 벗겨진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칠석날에도 지상에 있는 까마귀, 까치는 몸이 허약하여 은하수까지 날아가지 못해 남았다는 그럴싸한 뒷이야기도 있다.[1]
대한민국의 견우와 직녀에서는 대부분 견우와 직녀의 게으름과 등한시 때문에 벌을 받는 것으로 나온다.
3. 상세
여름 하늘의 견우성, 직녀성[2] 과 은하수가 모티브가 된 것으로 보이는 전설. 기원은 중국으로 추정되며 무려 기원전 5세기에 중국에서 쓰인 시에 이 이야기가 언급되고 있다. 한편 한국에는 광개토대왕 시절 축조된 고분의 벽화에 견우, 직녀를 묘사한 그림이 있다. 또한 일본에도 '''가장 오래된 시집'''에 이것과 관련된 이야기가 있다. 즉 매우 오래 전부터 한, 중, 일에 퍼진 설화.[3]
조선시대 풍습으로 칠석날 여성들은 길쌈 솜씨가 좋아지길 빌고 아들은 견우와 직녀를 소재로 시를 지었다. 칠석이 지나면 볕이 약해진다 하여 옷과 책을 말리는 날이기도 했다. 명절 음식으로는 밀국수, 호박부침 등이 있다.
중국의 경극 중에는 선녀와 나무꾼이 짬뽕된 내용도 있다. 즉, 견우는 하계의 인간이며 직녀의 옷을 훔쳐 부부가 되나 이후 직녀는 천계로 달아난다. 견우는 천계까지 직녀를 쫓아오나 직녀의 어머니인 서왕모에 의해 은하수를 건너지 못한다는 내용.[4]
한국에서는 칠석우를 견우와 직녀의 만남과 이별의 눈물로 여긴다. 즉, 비는 견우와 직녀가 만난 증거이며 천상은 지상에 영향을 미치는 별개의 세계다. 일본에서는 칠석날 비가 오면 은하수가 범람하여 견우와 직녀가 만나지 못한다 여기며 같은 날씨에 영향을 받는 같은 공간의 세계다.
어느 어린이용 과학 서적에는 "'''견우성과 직녀성이 광년 단위로 떨어져서 까마귀, 까치 가지곤 오작교 택도 없음 ㅋ'''"라는 동심을 무자비하게 짓밟는 내용이 적힌 적이 있으며 실질객관동화에서도 비슷한 에피소드가 있다.
중국 민담에선 후일담이 있다. 견우와 만나지 못하게 된 직녀는 너무 외로워서 지상으로 내려온다. 이 때 곽한이라는 남자에게 모습을 드러내는데 곽한이 실도 없고 바느질 자국도 없는 그녀의 옷을 보고 놀라자 '하늘의 옷은 실과 바늘을 쓰지 않고도 만들 수 있다'라고 말해준다.[5] 직녀는 1년 간 곽한과 잠자리를 함께 하다가 남편과 만날 때가 되자 훌쩍 떠나버렸다. 곽한은 직녀를 잊지 못하고 상사병으로 시름시름 앓다가 결혼도 못하고 아이도 남기지 못한 채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또는 둘이 같이 산 지 1년이 지나 옥황상제의 부름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또는 그냥 누워있던 곽한의 앞에 나타나 천계의 옷은 이런 것이라는 자랑만 하고 돌아갔다는 버전도 있다.[6]
베트남의 견우와 직녀에서는 직녀는 하늘의 공주로, 견우는 땅의 목동으로 나온다. 이들은 사랑에 빠졌는데, 사실 이 사랑은 무단 연애였고 신들은 매우 화가 나서 이들을 떼어놓고, 1년에 한 번 음력 7월 7일에 은하수 다리에서 만나도록 허용했다.
4. 그 외
서정주 시인이 이 이야기를 따와 지은 시가 있다. 견우의 노래 참조.
일본 J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팀 중 베갈타 센다이가 이 견우와 직녀 설화에서 이름을 따 왔다.
호시아이는 이 설화를 모티브로 작곡된 음악이다.
JOYSF 사이트에서 견우와 직녀를 분석한 게시글이 올라왔다.
[1] 일부 판본에서는 까치와 까마귀가 오미자 덩굴로 다리를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있다.[2] 직녀성(베가)은 알타이르, 백조자리의 데네브와 함께 여름의 대삼각형을 이룬다.[3] 여름의 대삼각형과 은하수는 1년의 별자리 중에서도 가장 눈에 잘 띄고 화려한 편이다. 마찬가지로 겨울의 오리온자리 역시 동서양을 통틀어 온갖 설화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4] 남자가 옷을 숨겨서 선녀나 요정 등을 자신의 아내로 맞아들인다는 설화는 유럽에도 퍼져있을 정도로 전세계급 소재.[5] 이 이야기에서 천의무봉이라는 고사성어가 유래했다고 한다.[6] 엄밀히 말하면 이건 불륜이기 때문인지 만화로 보는 중국 신화에서는 직녀가 아니라 직녀의 후배 격인 또다른 선녀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