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원지간

 


'''고사성어'''
'''犬'''
'''猿'''
'''之'''
'''間'''
개 '''견'''
원숭이 '''원'''
어조사 '''지'''
사이 '''간'''

1. 소개
2. 실제로 개와 원숭이가 사이가 나쁜가
3. 관련 문서


1. 소개



직역하면 원숭이의 사이란 뜻. 개와 원숭이처럼 사이가 나쁜 관계를 일컬을 때 쓰는 말이다.
가끔 "개와 원숭이가 사이가 좋지 않던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사실 이 사자성어서유기에서 유래한 말이다. 이랑진군이라는 자가 개들을 데리고 천계의 골칫거리인 손오공을 잡으러 수렴동에 가서 개들을 풀어 손오공의 부하 원숭이들을 공격했는데, 여기서 유래한 말일 수도 있다.
현실에서도 이러한 관계를 심심찮게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일부 선후배 또는 상사와 부하 사이 등등이다. 또는 서로간에 소송전을 벌이는 경우, 갖은 비난과 비방을 일삼는 경우 등이 있다.
잘 사용되지는 않지만, 견묘지간(犬猫之間)이라는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말이 있다.[1] 개 VS 고양이의 사례[2]와 내용을 봐도 나름 잘 응용한 편.

2. 실제로 개와 원숭이가 사이가 나쁜가


실제 개와 원숭이는 물론 사이가 아주 좋지도 않지만 딱히 나쁜 관계까지는 아닌 경우가 많다. 그냥 주어진 상황 때문에 싸울 수는 있지만 원수지간이라고 할 만큼 나쁘진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인도나 동남아에서는 원숭이들이 농작물[3]을 훔쳐가는 일이 잦은데, 농민들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개들을 풀어놓고 원숭이를 쫓아내거나 잡는다. 떠돌이 개가 원숭이를 잘 잡아 농부에게 '''귀염'''을 받아 정식으로 입양되는 경우도 있다. 당연히 이런 환경에선 개와 원숭이는 사이가 나빠질 수 밖에 없다.
오히려 스펀지에서 실험해보니 원숭이는 개보다는 오히려 를 더 무서워한다고... 실험에서 개가 근처에 있음에도 음식을 가지러 갔고[4] 게를 보니 가까이 가기를 꺼려한다. 이는 털 때문인데 게는 털이 없다보니 원숭이 입장에서는 징그럽기 그지없는 외형으로 보인 모양. 게에게 가발을 씌우니 거리낌없이 음식을 가져갔다.

아프리카에서는 개코원숭이를 길들여서 원숭이 무리에 데리고 다닌다. 강아지를 먹이를 주면서 데리고 다녀 키운 뒤[5], 야간 보초로 써먹을 정도로 머리가 좋다. 영장류 특성상 인간처럼 개코원숭이도 밤에는 잘 안 보이기 때문이다.[6] 이렇게 길러진 개는 원숭이 무리를 따라다니면서 일원이 되고, 야생 들개로부터 원숭이들을 보호한다고.
반면 실제 원숭이와 개의 관계에서 유래했고 그걸 고대 중국인들이 보고 이런 사자성어를 만들었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자신보다 큰 크기를 가진 동물을 무서워하는''' 들개들에게는 원숭이만큼 적절한 먹잇감이 없었기 때문에, 예전에는 들개가 원숭이를 습격하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3. 관련 문서



[1] 다만 한자로는 잘 안 쓰여도 개와 고양이 사이라는 식으로 자주 표현한다.[2] 물론 예외가 없는 건 아니다.[3] 특히 바나나와 같은 과일류를 재배하는 과수원.[4] 개도 가만히 있다가 음식 가지러 간 것에 놀란다.[5] 당연히 사람이 아닌 개코원숭이인지라 강아지를 다리나 꼬리를 잡고 질질 끄는 식으로 거칠게 다루는 장면이 연속으로 나와서 개를 키우거나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보는 게 괴로울 수 있으니 주의. 실제 유튜브 댓글에서도 이와 같은 의견이 꽤 보인다.[6] 완전히 다른 종들끼리 공생 관계를 이루는건 자연에서 제법 자주 보이는 현상이나, 한 쪽이 작정하고 다른 쪽의 동물을 갖다가 길들이기를 시도하다 못해 성공시켜서 활용해먹는 사례는 썩 흔치 않다. 일단 다른 종임을 인식하고도 무리 내에 편입시키고 길들여 써먹겠다는 발상을 하고 실천할 수 있을 정도의 지능이 요구되는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