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개

 

1. 개요
1.1. 주인 없는
1.2. 한국의 들개
1.3. 들개의 종류
2. 들개속의 동물
3. 경찰을 1에 비유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 작품 하드보일드영화
4. 변요한, 박정민 주연의 한국 영화
5. 관련 문서


1. 개요


상당히 포괄적이고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로 통상적으로 주인 없이 떠도는 개를 의미한다. 세부적으로는 주인이 있었으나 버려진 유기견부터 주인 없이 민가 주변에서 살아가는 떠돌이개(pariah dog), 딩고처럼 처음부터 완전한 야생환경에서 살아가는 개, 아예 2번째 항목처럼 개(canis lupus familiaris) 이외의 다른 개과동물을 뜻하는 의미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개들이 가정에서 길러지는 서구권과 선진국의 입장에선 생소한 개념일 수 있으나 사실 지구상의 개들 중 70~80%, 약 2억 마리 이상이 들개일 정도로 개체수가 많다.

1.1. 주인 없는


본 항목은 들개의 많은 용례 중 주로 떠돌이개(pariah dog)를 기준으로 하여 작성되었다. 들개의 개념에 유기견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 경우 주인이 있었던 경우에 한정된다. 자세한 사항은 유기견 항목 참조.
도둑개라고도 하지만 도둑고양이와 달리 잘 쓰이지 않는다.
인간이 문명을 세울 무렵부터 거주지 주변에는 언제나 떠돌이개가 존재했을 정도로 들개와 인간사회는 고대부터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들개는 개의 가축화 과정을 보여주는 살아있는 화석으로 볼 수 있는데, 길들여진 초기의 개가 사람손을 떠났으나 완전히 야생으로 회귀하지 않고 민가주변에 눌러앉아 버린것이 시초라는 가설과 생존경쟁에서 처진 늑대들이 음식쓰레기 등 공짜먹이를 얻기 쉬운 사람 곁에 살면서 점차 야생성을 잃고 스스로 들개로 변화했다는 설 등이 있다.
실제로 각국의 떠돌이개를 조사하면 개량된 품종견에서 볼 수 없는 유전적 다양성과 고유의 형질을 지닌 경우가 있는데, 특히 개발도상국가의 들개에서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며 이를 통해 견종의 역사와 전파과정을 밝히는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기도 한다. 분석결과 가장 오래된 혈통의 들개집단은 인도와 아프리카에 있다고 한다.
들개는 완전히 길들여지진 않았지만 그렇다고 늑대처럼 야생동물도 아닌 문명사회와 야생의 경계선의 어정쩡한 위치에 있는데 먹이는 상당부분 사람이 버린 잔반과 쓰레기에 의존하지만 자발적으로 사람을 돕거나 부산물을 제공하지 않고, 거리를 두며 편리공생적인 관계를 유지한다.(가끔씩고라니도사냥)오히려 인위적으로 행동을 제한하려 들면 공격적으로 돌변할 수 있다! 물론 들개는 유전적으로 매우 다양한 집단이라 개체차가 심하며, 개 중에는 공격성이 적고 인간 친화적인 녀석들도 있는데 이런 사교적인 들개는 인간에게 다가오고 최종적으로는 사람의 보살핌을 받는 가축(집개)으로 변모하게 된다. 이렇게 가축화된 개가 들개무리와 격리되어 선택적 개량이 이뤄지면 품종견이 되고, 그렇지 않고 들개들과 자유로이 교배하여 자손이 들개의 형질과 별 차이가 없는 경우도 많다.[1] 아예 딩고처럼 민가를 떠나 자연으로 회귀하여 야생동물이 되기도 한다.
야생성이 남아있긴 하지만 늑대보단 개에 가까운 동물이므로 강아지를 데려와 충분한 훈련과 사회화 과정을 거친다면 사랑스러운 가정견으로 지낼 수 있다. 자연발생한 만큼 유전질환이 없고 매우 건강하며 장수한다는 것은 덤. 다만 개체별 외모와 기질이 천차만별인 만큼 고정된 외형과 품성을 따지는 견주에겐 적합하지 않으며, 대부분 중~대형으로 크게 성장하기 때문에 작은 집에서 키우기 어렵다는 것이 단점이다. 성견은 이미 야생화가 진행되어 사람을 따르지 않고 공격성을 드러내는 개체가 많기 때문에 길들이기 어렵다.
비록 집개와 매우 가깝고, 설사 외형적인 차이가 없을지라도 들개는 완전히 길들여지지 않았으며 인간에게 비협조적인 반야생동물로 생각하고 항상 조심해야 한다. 늑대는 완전한 야생동물로 기본적으로 사람을 피하는 습성이 있지만 들개는 사람을 꺼리지 않고 수틀리면 서슴없이 공격할 수 있으며, 개의 기본적인 신체구조와 습성=늑대라는 것을 감안하면 마주치기 힘든 야생늑대보다 들개쪽이 훨씬 위험한 동물이란 사실을 실감할 것이다. 인간가축들을 습격하기도 하며, 광견병 및 유해한 병균을 보유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습격을 당해 물렸다면 보복으로 잡아먹을 생각 따위 하지 말고 빠르게 광견병과 파상풍 주사부터 맞아야 한다.[2]
들개는 수천년간 사람과 공존하며 살아왔지만, 인간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거주지의 도시화, 현대화가 진행되면서 들개 무리는 길고양이처럼 점차 공중위생과 안전을 위협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특히 들개는 고양이보다 크고 공격적이며 심각한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길고양이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구제되는 경우가 많다. 2018년에 나온 넷플릭스의 다큐 "72 Dangerous Animals: Asia" 에 따르면 인도에만 6천만 마리의 들개가 살고 있는데 많은 수만큼 인간을 향한 공격도 빈번하게 보고되며 광견병을 옮기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1.2. 한국의 들개


우리 조상들은 가축의 계획적인 육종에 큰 관심이 없었고, 또한 개를 자유롭게 풀어 키우는 경우가 많았으며[3] 묶어 키우는 경우에도 대문으로 수캐나 암캐가 들어와 교배하는 식으로 들개와 집개간의 교류가 자유로웠기 때문에 한국의 견종중 토착견은 대부분 한반도 지역의 들개의 외형과 특성을 따르고 있다.

우리나라는 식용으로 키우기 위해 살이 잘 오르도록 핏 불 테리어이나 도사견과 토종개와의 잡종이 이루어졌는데, 이 개들이 개값 하락으로 버려지면서 꽤 문제가 되고 있다. 이 견종들이 원래 투견으로 길러질 정도로 투쟁성이 강한데, 인간과 지내면서 인간에 대한 공격성도 가진 녀석도 간혹 등장하기 때문. 꼭 식용견만이 아니라 애완용으로 길러지던 중대형견들도 심심찮게 유기되어 야생화되는 바람에 상당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동물보호법상 원칙적으로 유기견으로 분류되어 사살하거나 덫/올가미로 잡을 수 없다.
한 예로 서울 북한산 일대에 버려진 유기견들이 들개가 되어 북한산 생태계를 교란시킴은 물론 인근 주택가까지 내려와 주민들과 등산객들을 위협하여 당국에서 포획조치에 나서기도 했고, TV동물농장 2014년 6월 22일자 방영분에서는 성북동의 한 주택가를 전전하며 일대의 길고양이들을 닥치는 대로 물어 죽이는 3마리의 들개들의 사례가 방송되기도 했다. 이후 북한산 인근 지역에서는 들개에 대한 포획 및 살처분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제주도에서도 마찬가지로, 이쪽은 더 오래된 이야기다. 양계장을 집단 습격해서 500마리를 몰살시키거나, 목장을 습격하여 염소를 물어죽이고, 노루를 잡아먹는다.[4] 인명 피해가 나날이 늘자 야생동물 피해 대상에 들개가 추가되는 등 이야기가 많다.
특히 한국은 중-대형 포식동물이 서식지 파괴와 밀렵 등으로 거의 멸종된 상태라 들개나 유기견 등이 완전한 야생개로 돌아가도 이를 막을만한 생태적 지위를 가진 동물이 없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 전체 개체수는 줄었지만 들개로 인한 사회문제가 더욱 부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포식자의 부재로 급속도로 늘어난 초식동물 역시 야생으로 돌아간 들개에게 좋은 사냥감이 되어준다. 2017년 충북 옥천군에서도 사살방안을 고려하다가 동물보호단체로부터 비난받기도 했다. 하지만 개빠나 동물보호단체들이 들개의 살처분을 반대하다가 피해액을 자신들이 보상하고 저 들개들을 잡아다가 돌볼거냐는 비아냥만 실컷 듣었다.

1.3. 들개의 종류



2. 들개속의 동물


[image]
'''들개'''
Bush dog
이명: 숲개
'''Speothos venaticus''' Lund, 1842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개과(Canidae)

들개속(Speothos)

'''들개(S. venaticus)'''
[image]
학명: ''Speothos venaticus''
영어: Bush dog
다른말로는 숲개라고 부른다. 남아메리카 북부에서 아마존에 걸쳐 분포하는 종으로, 멸종위기등급은 NT(취약근접)이다.
물가에 살고 낮에 주로 활동하며, 10여마리가 무리생활을 한다.
크기는 몸길이 57~75cm, 꼬리길이 12~15cm, 키 20~30cm, 무게 5~8kg 이다.
그리자이아 시리즈에서 언급되는 '''야부이누'''라는 뒤로 달리는 개가 이 개다.

3. 경찰을 1에 비유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 작품 하드보일드영화



[image]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로, 미후네 토시로 배우 주연이다. 경찰(형사)이 총을 잃어버려서 총을 훔쳐간 소매치기를 잡는다는 내용이다.
태양을 향해 짖어라 등의 일본형사물에 굉장히 영향을 주었다. 굉장히 세밀한 묘사가 인상적이고, 가난하게 변장하기 위해 구 일본 육군 군복을 입는 것이나, 쌀배급 통장 등 1949년 당시 일본의 상황을 알 수 있다. 빗속에서 달아났던 용의자를 찾기 위해 사람들을 둘러봤는데 바지에 진흙이 묻어있는 걸로 알아내는 등 당시로서는 놀라운 묘사가 많다.

4. 변요한, 박정민 주연의 한국 영화


들개(영화) 문서 참조.

5. 관련 문서



[1] 견종 중 인위적인 교배를 거치지 않고 탄생한 소위 '자연견종'이라 불리는 품종의 상당수가 여기에 해당한다.[2] 광견병의 사망률은 99%이며 파상풍의 사망률은 11%이다.[3] 옛날 집개의 일과는 주인이 차려준 아침밥 먹고 산이나 들에 나가서 사냥으로 점심을 해결한 뒤(가끔 꿩이나 토끼같은 사냥감을 주인과 공유하기도 했다), 저녁에 들어와서 주인이 차려준 저녁밥 먹고 밤에 선잠자면서 도둑으로부터 집을 지키는 것이었다. 주인은 식사와 잠자리를, 개는 경비를 제공했으며 서로에게 그 이상을 바라지 않았다. 물론 군견 등 특수목적으로 키우는 집개는 이야기가 달랐지만.[4] 본토의 들개들도 비슷하게 고라니 사냥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