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버스 경산2
1. 노선 정보
2. 개요
경산시 순환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경산2번, 경산2-1번), 노선도(경산2번, 경산2-1번)
3. 역사
- 2009년 1월 17일 경산시 시내버스 노선 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동년 2월 21일에 시간표가 조금씩 바뀌면서 제 역할을 하게 되었다. 경산2-1번의 경우 옥곡동화프라임빌아파트을 지나면 수요가 거의 없었지만 사동휴먼시아아파트 1·2차 분양 후 승객이 늘어났다. 경산1(-1)번보다는 굴곡이 조금 적지만 임당역을 경유하게 되면서 굴곡이 생겼다. 노선 개편 초기 계획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사월역과 환승 연계할 예정이었으나, 대구버스조합의 반대로 대구 시계 내로는 접근할 수 없었다.
- 2011년 11월 11일에는 평산동(붕디미마을) 노선이 추가되어 1일 2회(오전 10:00, 오후 14:50)[1] 평산동(U턴)-경산시장-백천동-사동 구간을 운행했다. 그러나 2014년 3월 3일 109번이 신설되어 17분마다 평산동을 풀 타임으로 경유하게 되면서 이 노선의 폐선이 유력해졌다. 하지만 109번은 경산시장에 가지 않기 때문에 유지되는가 싶었다.
- 2014년 4월 10일에 기종점이 사동부영5차아파트 남편에서 사동부영6차아파트 정문 앞의 사동회차지로 변경되었으며, 평산동 노선은 결국 폐지되었다. 그러나 2015년 3월에 공원부지로 허가되어 있었던 사동회차지 부지를 경산시청에서 불법 전용한 사실이 드러나 시민들의 반발로 회차지가 폐쇄됐고, 2015년 4월 29일에 대구한의대학교로 연장되었다.
- 2017년 9월 1일부터 옥산동, 옥곡동, 경산중고등학교 학생 통학 개선을 위해 시외버스터미널-경산네거리-임당역-경산시청 구간이 폐지된다. 이때 임당역 구간은 경산1(-1)번이 대체운행하게 되었다.
- 2019년 3월 4일부터 경산2-1번 노선이 사동부영6차A - 사동휴먼시아1차 경유에서 경산1-1번처럼 사동중학교 - 사동부영1차A - 사동휴먼시아2차 건너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20년 2월 3일부터 경산2-1번 노선 대구한의대 출발차량이 한의대학교 현수관을 경유한다.
4. 특징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사월역과 환승 연계를 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대구버스조합의 반대로 대구 시계 내로는 접근할 수 없게 되어 수요를 늘릴 수 없었다. 다행히 2012년 10월 6일 개편으로 경산오거리에서 시청으로 직진하던 것을 경산네거리로 돌려 임당역과 환승 연계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경산2(-1)번은 경산1(-1)번보다 수요가 비교적 많으며 사동지구가 점차 개발되면서 점점 수요가 늘고 있다. 따라서 차후 사동2지구 수요가 늘어나면 차차 증차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 2014년 3월 3일 109번이 이 노선보다 더 빨리 사동에서 임당역으로 환승 연계가 가능해져서 다시 수요는 애매해졌다. 2017년에는 임당역 구간마저 폐지되어 수요가 더 줄었을 것이다.
- 차량의 경우 한때는 대차되기 직전 차량들이 운행하는 무덤 노선이었다. 코리아와이드 대화에서는 2006년식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차량이었으나 현재는 대차되어 708번에 투입 중이었던 2011년식 대우 BS106 좌석형이 운행 중이고[2] 경산버스에서는 2005년식 BS090을 투입했으나 해당 차량을 교체하고 시외부 그린시티에 내리는 문(중문개조)을 만든 후, 로얄시티 하차벨과 손잡이를 달고 운행하고 있었다. 그 차량은 경산1(-1)번을 거쳐서 시외부로 돌아갔고 현대 카운티 2대가 들어왔으며, 이 노선에는 경산1(-1)번에서 운행했던 BS090 2대가 운행중이다.
4.1. 시간표
4.2.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5. 연계 철도역
- 일반 철도역 : 경산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