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 시내버스
1. 개요
경산시에서 인가하고 운영하는 시내버스의 총칭으로 경산버스, 코리아와이드 대화에서 운영한다. 경산시 전역을 포함하여 일부는 영천시 및 청도군 일부 지역으로 넘어간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상당히 많은 곳에서 이어져 있어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공동 배차하는 노선도 있으며 요금제도 완벽하게 통합되어 있다.
2. 상세
경산1(-1)번, 100번, 809번, 991번, 남산1번과 같은 소수의 노선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노선이 하나의 번호에 여러 분리 노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체계를 지닌다.[1] 사실 어쩔 수 없는 일이기도 한 것이, 도농복합시의 특색이 제대로 나타나는 경산시라는 도시의 특성상 농어촌버스의 역할도 겸할 수밖에 없다. 경산시장에서 자인면 방면으로 쭉 이어지는 원효로를 타고 대구미래대학이나 대구한의대학교 방면으로 가다 보면, 경산세무서 이후 전부 주변이 논과 밭이다. 그리고 자인정류장 이후로는 주변이 온통 산과 들, 그야말로 전형적인 시골의 모습을 보여 준다.
일부 버스(† 표시)는 원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로 대구 시내버스 회사와 공동 배차를 하기 때문에 경산시 버스 회사의 차량이 대구 시내 깊숙히 들어가는 기현상(…)도 발생한다. 실제로 대구광역시의 모든 행정구역에 경산버스와 코리아와이드 대화가 각각 들어간다. 남경산 지역을 맡는 경산버스는 주로 수성구 지역, 북경산 지역을 맡는 코리아와이드 대화는 주로 동구 지역을 맡는데 경산시 시내버스 중에 대구광역시 내로 들어오는 노선이 대구 시내버스와 공배하는 노선을 포함하면 10개 노선이 있다. 100번(수성구 지역), 100-1(수성구 지역), 399번(수성구 지역, 동구 지역), 대구 509번(수성구 지역, 중구 지역, 남구 지역, 서구 지역, 달서구 지역, 달성군 지역), 대구 708번(동구 지역, 중구 지역, 북구 지역), 대구 814번(동구 지역, 수성구 지역), 818번(동구 지역), 대구 840번(수성구 지역, 중구 지역), 대구 939번(수성구 지역, 중구 지역, 북구 지역), 990번(수성구 지역, 중구 지역), 991번(수성구 지역, 중구 지역)가 바로 그 노선들이다. 단, 공차거리가 멀고 서쪽 끝에 있는 달서구 지역과 달성군 지역의 경우 달서구는 성서 지역, 달성군은 다사 지역(서재리, 방천리)만 맡고 있다. 만약 991번이 계획대로 대구 649번과 통합할 경우 달서구 월배 지역까지도 진출하게 된다.
인접한 대구광역시와 달리 경산시는 천연가스버스가 의무화된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디젤차량도 혼용하여 운용하고 있다. 경산버스가 2003년 말에 BS106 천연가스 좌석버스 차량을 처음으로 도입하여 509번에 투입했고, 코리아와이드 대화는 와촌면 용천리에 있는 하양CNG충전소가 영업을 시작한 2008년 12월에 천연가스 차량을 도입하여 814번을 시작으로 본격 투입했다. 경산시 관내에는 신천동[2] 과 와촌면 용천리[3] 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어서 각각 남경산과 북경산 지역의 가스 충전을 맡고 있다. 다만 2018년 들어 경산시청이 CNG버스의 비중을 늘리라는 지시를 했다는 이야기가 들리고 있다.
저상버스는 경산버스에서 2006년 10월에 처음 도입하여 840번에 투입했으며, 코리아와이드 대화는 2011년 진량2번을 시작으로 도입했다. 대구공배 노선에는 814번과 840번에 저상버스를 투입 중. '''두 업체 모두 저상버스에 장착하는 자동변속기는 순도 100% ZF만 이용 중이다.'''[4]
경산버스에서 천연가스버스와 저상버스를 경상북도 시내버스 최초로 도입했지만, 전기버스 및 수소버스 계획은 아직 없다.[5]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공동 배차하는 노선에는 무조건 가스차량만 들어간다. 대구 유출입 노선이어도, 대구와 공동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아닌 고유 노선에는 디젤차를 투입해도 상관없다. 경산버스가 이를 어기고 2012년 509번에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H300 디젤차량을 투입했다가 대구광역시청이 태클을 걸어 다시 가스차량으로 바꾼 사건이 있다. 그래도 해당 노선에 디젤차량이 보인다면, 그거는 예비차량이다.[6]
준공영제가 아니다 보니 대구와 달리 순수증차를 하고 있는데, 사동 및 신대리 등지에 여러 택지지구들이 개발되면서 양대 회사 모두 조금씩 순수증차했다. 신대부적지구 내 노선버스 증설을 위해 109번을 신설하면서 시외부 면허를 일부 말소하고 시내면허로 전환한 후, 2015년 들어 경산버스가 야금야금 순수증차를 하고 있다. 시외부였던 두에고 EX를 시내면허로 전환하여 남산2번 금천(동곡리)행에 투입할 정도다.
경산시가 도농복합시 성격이 뚜렷하다 보니 농어촌버스+시내버스가 합쳐진 형태이고, 경산 도심이 대구와 붙어있는데다 농촌 지역의 교통 불편 해소를 위해서 농촌 깊숙한 곳으로 부터 도심까지 운영하는 형태가 많은데 거기다 대구광역시 도심까지 끌고 가는 버스가 많다 보니 엄청난 길이를 자랑하는 노선도 꽤 많다.
일부 정류장의 형태와 명칭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양식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류장 명칭 뒤에 앞/건너를 붙이는 방식은 대구광역시와 경산시에서 유일하게 사용중인 표현이다.
3. 종류
2009년 개편 때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를 따라 버스를 3종으로 분류해 놓았다. 개편 전 일반버스와 좌석버스 노선으로 구성된 간선, 경산 시내 주요 지역을 순환 운행하는 순환과 오지노선 성격인 지선이 있다. 단, 도시 특성상 급행버스는 없다. 이는 급행이 있는 양산, 청주와는 달리, 인구가 적기 때문.[7][8]
3.1. 간선버스
[image]
경산버스 소속 100-1번[9][10]
3자리 번호로 구성된 노선으로, 다른 도시에서 운영하는 일반적인 버스이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달리 권역별 숫자를 따로 정해놓은게 없으며 어떤 노선은 개편 전 노선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있고 어떤 노선은 번호만 약간 변경한 노선도 있다. 다만 818번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 맞게 부여한 노선번호다. 990번도 대구 권역번호에 맞긴 하지만 우연의 일치...는 아니고 원래 99번이었는데 대구광역시 측에서 99번을 견제하려고 짝퉁(...)인 990번을 만든 적이 있다.
100번, 100-1번(황금동), 399번(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990번, 991번(서문시장)은 대구 시계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더불어 509번, 708번, 814번, 840번, 939번은 대구광역시 간선버스지만, 경산시 시내버스와 공배하는 노선이다.
3.2. 순환버스
[image]
코리아와이드 대화 소속 경산2(-1)번[11]
경산 시내의 주요 지역을 순환하는 노선으로, 2009년 1월에 신설하였다. 경산1(-1)번은 한의대~사동~백천동~옥산동~정평역~대평동U턴~경산시장~사동~한의대를 순환 운행하고 경산2(-1)번은 한의대~사동~백천동~옥곡동~경산시장~임당역~계양동~사동~한의대를 순환 운행한다. 원래 계획으로는 경산1(-1)번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야월역, 경산2(-1)번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사월역과 연계 환승을 하려는 게 목적이었으나, 대구 버스조합으로부터 거부당하면서 수요를 늘리기 곤란했다. 다행히 2012년 9월에 2호선의 경산 연장 이후 경산1(-1)번은 정평역, 경산2(-1)번은 임당역과 연계 환승이 가능하게 됐으나, 2014년 배차간격이 앞서는 109번이 개통되면서 원체 배차간격이 길어 수요가 적었던 수요가 더욱 떨어졌다.
두 순환버스 모두 저녁 8시 이후로는 운행이 종료된다.
3.3. 지선버스
[image]
경산버스 소속 남천1번
2009년 개편 전 99번[12] , 200번, 200-1번, 222번[13] , 311번(갓바위)[14] , 399번이 운행하던 오지노선들을 지선버스로 분리시킨 노선이다. 단, 남천1번은 95번 버스를 그대로 지선지노선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완전히 분리된 것은 아니라서 109번이 압량면, 399번, 990번이 남산면과 용성면, 803번이 진량읍, 818번이 와촌면, 진량읍, 하양읍 오지노선을 '지원 운행'이라는 이름으로 일부 전담하고 있다. 사실상 남천면을 제외하면 간선버스가 예전처럼 오지노선으로 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각 지역명과 번호의 조합(지역명+번호)으로 이루어진 노선[15] 으로 주로 부여된 지역 내를 운행하고 오지 지역 및 대중교통 사각 지대에서 지역 중심까지 운행한다. 종류로는 남산(1~2), 남천1, 압량1, 와촌(1~2), 용성1, 진량(1~2), 하양1번이 있다. 하양-와촌1번의 경우 2009년 개편 당시에는 하양1번과 와촌1번으로 따로 소개되었다. 하지만 일부 연장 노선을 제외하면 두 노선의 구간이 거의 유사하고 코리아와이드 대화의 차량 보유댓수 문제로 인해 하양-와촌1번이라는 이름으로 행선판이 통합되어 운행 중이라 사실상 한 노선이다. 경산시장, 자인정류장, 하양정류장을 지역 중심으로 설정하고 남산면, 남천면, 압량면, 와촌면, 용성면, 진량읍, 하양읍 오지 지역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중형버스가 투입되는 노선들이 많다. 지선버스는 하양-와촌1번은 간선버스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시외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오지노선이긴 하지만 영천시 시계 구간을 운행하는데 신녕면, 청통면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4. 차량
5. 요금 및 교통카드
2016년 12월 30일,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도시철도 요금과 함께 인상되었다.
※ 교통카드는 선불교통카드로는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원패스, 캐시비, 티머니, 한페이, 레일플러스, 후불교통카드로는 KB국민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LG카드 포함), 하나카드(외환카드 포함), 롯데카드(M형, MT형), 현대카드(M형, MT형), 삼성카드, 씨티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 도시철도, 영천시 시내버스와 환승이 가능하며 대구광역시, 경산시, 영천시 전 구간은 단일요금이다.
6. 노선 목록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으로 대구 시내버스 회사와 공동 배차를 하는 노선은 번호 뒤에 †표시를 하고 본 목록에 기재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 대한 자세한 것은 대구 버스 목록을 참조하기 바란다.
- 본 목록에는 노선 내에 존재하는 분리노선을 모두 표기하기 곤란하므로 공통되는 구간만 간략하게 기재했다. 이들 분리노선의 상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해당 노선의 문서를 보거나 경산시 시내버스 안내 사이트를 참고하면 된다.
- 가지 노선이 많은 노선과 배차 간격이 긴 노선은 목록 내에 시각표를 기입했다.
6.1. 간선버스
100번, 100-1번, 814번, 803번, 809번, 840번, 939번, 991번을 제외하면 모두 분리 노선이 있다. 399번과 990번은 오지 지역을 일부 연장 운행해서 399번과 990번은 남산1번, 남산2번, 용성1번, 818번은 하양-와촌1번, 진량1번, 진량2번을 '''지원운행'''이라는 형태로 백업해 준다.
6.2. 순환버스
6.3. 지선버스
배차간격란에 ‘?’표시가 된 노선은 오지 노선이라 배차간격이 길고 분리노선이 많아서 시간표 운행을 하는 등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음을 뜻한다. 참고로 와촌1번과 하양1번은 노선 특성상 거의 한 몸이나 다름없어서 한 버스에 아예 '''하양-와촌1번'''이라고 되어 있다. 2009년 개편 때 기존에 일부 연장 운행하던 오지 노선만 지선버스로 독립시켰는데, '''지원운행'''이라는 이름으로 간선버스가 운행하는 경우가 많다. 경산시의 2읍 6면 중에서 자인면은 유일하게 지선버스에 이름이 없는데, 399번과 990번의 종점이기 때문이다.
6.4. 업체 목록
노선 번호 옆에 있는 †는 경산버스, 코리아와이드 대화가 공동 배차, ††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업체와 공동 배차하는 노선이다.
6.5. 경산 버스노선의 역사
6.5.1. 2009년 개편 이후 신설된 노선
7. 문제점
7.1. 불편한 안내 시스템
차내에서 출력되는 안내방송이 상당히 질이 좋지 않다. 성우 대신 TTS를 사용하기 때문에 억양이 많이 어색하며 LED 안내장치도 전무한 상황이다. 거기다 정류소도 노선 길이가 길다 보니 주요 정류소만 나오는 형태여서 처음 찾아오는 외지인 입장에선 시내버스로 목적지를 찾아가기가 굉장히 힘들다. 중소 도농복합시에 관광객이 찾아올 일이 많이 없다고 생각 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산시 시내버스 노선은 사실상 구간의 절반 이상이 관광객들이 많은 대구 도심 곳곳을 누비는 형태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대구 시내에서 경산시 시내버스를 탈 수도 있는 관광객들을 위한 배려가 요원한 상황이다. 최근들어 안내장비 개선에 들어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많은 비교가 되고있는 상황이다.
7.2. 쓸데없는 TV
코리아와이드 대화, 경산버스 일부 차량들은 GBUS TV처럼 내부에 TV를 달고 다니는데, 실용성이 엄청 낮다. 그냥 광고만 계속 나오며, 이것조차도 업데이트를 전혀 하지 않고 있다. 심지어 고장이 나서 화면에 녹색 줄이 여러 개 난 상태로 방치된 것도 존재한다. 차라리 여기에 정류장 안내를 표시하면 좋을텐데 왜 광고만 내보내는지 의문. 그나마 이 쓸데없는 차내 모니터는 신차를 도입하면서 철거되고 있는 추세이긴 하다.
7.3. 정류장 노선도
정류소 및 차량 내부에 부착된 노선도에서 전체가 아닌 일부 경유지만 적어놓아 논란이 생겼다. 이게 문제가 되는 이유는 노선도의 미흡한 표기 때문에 정류장을 헷갈려 잘못 하차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자신이 가야 하는 목적지가 시골 깡촌이라면? 노선도만 믿고 가다가 가차없이 낭패본다. 처음 기재한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외지인에게 큰 불편함을 주는 요소이다.
정류장에 부착한 노선도 중 하양읍과 진량읍의 급행5, 남경산의 509번처럼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당시 대구광역시 당국이 부착한 걸 제외하면 대구 구간으로 향하는 승객이 많음에도, 대구 구간의 정류소는 정말 간략하고 부실하게, 정류소 이름도 멋대로 바꿔 적어놓고, 경산 구간 정류소는 모두 적어 대구 구간보다 경산 구간이 같거나 길게 보이려는 꼼수를 부리기도 한다.
7.4. 대구시내버스 개편에 악영향
사실 경산시로 유출입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도 많다. 그런데 경산버스의 갑질로 담티역 동쪽 구간은 전혀 손을 못 대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대구광역시 서쪽 서구, 달서구, 달성군과 북쪽인 북구, 칠곡지구 버스 노선들이 매번 차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당연히 다수 시민들도 649번, 840번과 같은 도시철도 중복률이 과하게 높은 노선은 어떻게든 폐지하라고 혈안이 돼있다.
8. 관련 문서
[1] 이 체계가 얼마나 복잡한지 감이 안 오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휴대폰으로 대구 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경산 버스 목록을 살펴보자. '''스크롤바의 압박'''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제대로 느낄 수 있다(...).[2] 압량면 당리리 경산버스 차고지 인근에 있는 동네다.[3] 808번 금호행이 다니는 코스에 있으며, 여기서 조금만 더 가면 영천시 금호읍이다. 그래서 영천교통 차량들이 용천리로 원정가서 충전한다.[4] 정작 앨리슨의 정비소는 하양에 있다는 게 함정이다. ZF는 성서산단에 정비소가 있다.[5] 경상북도 시내버스 전체로 봐도 전기버스를 도입한 곳은 구미시 시내버스의 세계 3번째 무선충전식과 포항시 시내버스의 도내 최초 플러그인식, 성주읍 순환버스밖에 없다.[6] 다만 경산버스와 코리아와이드 대화는 천연가스차량을 예비차로 보유하고 있고, 천연가스 정규차량이 고장이나 정비를 위해서 운행을 못할 시에는 CNG 예비차량을 우선 투입한다.[7] 정작 같은 경상북도인 안동은 경산보다 인구가 적은 주제에 '''급행버스가 있다!'''[8] 대신 2015년도 8월 개편으로 인해 하양읍과 진량읍 대구대학교 일대에 대구 급행5번이 운행중이다.[9] 100번에서 분리된 노선이라 대구 구간은 만촌역~황금네거리~만촌역 순환 구간이 100번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행되는 것을 제외하면 유사하다. 하지만 경산 구간은 옥산네거리에서 분기하여 완전히 달라지며, 펜타힐즈 개발로 100-1번이 사월초등학교 방향으로 들어가게 된 후에는 사월역이 분기점이다. 여담이지만 이 노선은 문명고에서 사동으로 연장되었다가, 2015년 사동 회차지의 사용 금지 후 대구한의대학교로 연장했다가 백천동으로 단축됐다.[10] 위 차량은 2017년에 현대 고상차량으로 대차됐다. 투입 노선은 그대로 100-1번이다.[11] 경산1(-1)번과 더불어 배차간격이 상당히 긴 노선이고, 수요도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니라서 중형버스가 투입되는 노선이다. 거기에 배차간격이 훨씬 앞선 109번이 사동에 있어서 수요에서도 더욱 밀린다.[12] 현재 990번[13] 이 세 노선은 모두 폐선되었다.[14] 현재 803번[15] 현재는 폐선되었지만 107번 버스는 예외였다. 간선버스 번호 형식이나 지선버스로 분류했다.[16]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17] 100번과 달리 길 건너편의 지산1동을 아주 약간 지나간다.[18]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19] 청도군 금천면 갈지리(乫支里)에 있으며, 또한 경산시 남산면에도 갈지리(葛旨里)가 있는데 두 갈지리는 경계를 이룬다.[20] 경산시 남천면 원리[21] 경산시 와촌면 동강리[22] 9번+11번 일부 구간 운행[23] 9번 일부 구간 운행[24] 입석버스 11번+좌석버스 311번 통합[25] 2009년 개편 때 진량읍 가지 노선 진량2번 분리[26] 1996년 대구 좌석버스 397번과 통합해서 708번으로 변경[27] 남산면 가지노선 남산2번 분리, 용성면 가지노선 용성1번 분리[28] 100번의 일부 구간을 변경해서 2005년 신설[29] 일부 구간 남산1번 운행[30] 일부 구간 남산1번, 압량1번, 진량1번 운행[31] 진량읍 가지 노선 진량2번 분리[32] 1999년 이전에는 입석버스 99번의 좌석버스, 2009년 개편 때 남산면 가지노선 남산2번 분리, 용성면 가지노선 용성1번 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