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안중학교

 



[image]
'''교명'''
경안중학교
'''개교'''
1994년
'''유형'''
중학교
'''성별'''
남녀공학
'''운영형태'''
공립
'''소재지'''
경기도 광주시
''홈페이지''
[image]
1. 학교전경
2. 개요
3. 학교 연혁
4. 상징
4.1. 교훈탑
4.2. 교기
5. 주요 행사
5.1. 학교비전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 특색 사업
8. 학교 시설
8.1. 도서실
8.2. 정진관
8.3. 교실
8.4. 운동장
8.5. 주차장
8.6. 컴퓨터실
8.7. 음악실
8.8. 교무실
9. 교복
10. 학교 생활
11. 사건사고
12. 여담


1. 학교전경



2. 개요


경안중학교는 경기도 광주시 장지1길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이다. 1994년 3월 1일에 개교했으며, 남녀공학이다.

3. 학교 연혁


1993.05.04
경안중학교 설립 21학급 인가
1994.03.01
초대 이정구 교장 취임
1994.03.05
개교 및 입학식
1997.02.17
제1회 졸업 347명
2011.02.01
제15회 졸업 412명 (누계 5,705명)
2011.09.01
제7대 황일선 교장 취임
2014.02.12
제18회 졸업 414명 (누계 6,798명)
2014.03.02
제21회 입학 396명
2015.02.10
제19회 졸업 382명 (누계 7,180명)
2015.03.01
제8대 이미자 교장 취임
2016.02.11
제20회 졸업 383명 (누계 7563명)

4. 상징


교훈
정진
교가
남한산 힘찬 맥박 바라보면서
옛터전 그 자리에 새꿈을 심고
꿋꿋한 우리기상 자랑하면서
나가자 씩씩하게 내일을 향해
의좋게 슬기롭게 힘써 배우며
이 나라 기둥되자 우리 경안중
교목
은행나무
교화
장미
교조
없음
[image]
운동장 앞쪽에 장미와 은행나무가 있다.

4.1. 교훈탑



4.2. 교기


[image]

5. 주요 행사


  • 경안제 : 2년에 한번
  • 체육대회 : 매년10월
2015.12.21 행복나눔 콘서트
[image]

5.1. 학교비전


꿈 (Dream) 열정 (passion) 감동 (emotion) 이 있는 경안교육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역명
버스노선
경안중학교

경기광주 버스 17-n
경기광주 버스 2-1
용인 버스 20
경기광주 버스 32
용인 버스 20
경기광주 버스 60
경기광주 버스 660
경기광주 버스 33-2
이 외에도 바로 다음(전) 정류장이 경기광주역이기 때문에 경기광주역을 지나가는 버스의 대부분은 이곳을 지나간다.

7. 특색 사업


여러 특색 사업이 운영되고 있다. 향토문화체험학습, 원어민과 함께하는 영어활용능력신장사업, 영어회화반, 워드자격반, 축구반, 농구반, 테니스반 제과제빵, 풍물반 등이 운영되고 있다.

8. 학교 시설


교지
12,091㎡
건평
5,101㎡
체육장
5,886㎡
보통교실
33개
교과교실 [1]
11개
관리실
11개
도서실
1개
방송실
1개
화장실
10개
창고
4개
수도
10개
보건실
1개
컴퓨터실
1개
wee클래스
1개
2020년 2학기 기준 학교 5층에 누수가 심해 5층을 부수고 다시 짓는다.[2] 이로 인해 5층에 있는 1학년 교실은 교과교실로 이동하고 위클래스는 4층 진로 상담실, 1학년 교무실에 있는 선생님들은 다른 교무실로 흩어졌다. 또한 태전동의 개발로 학생 수가 늘어 운동장쪽에 한층에 2학급이 들어가는 5층 건물을 새로 짓는다고 한다.[3]
2020년 본관 수도공사를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 물을 쓰려면 정진관 2층에서 써야 했었다. 11월 기준 공사 완료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8.1. 도서실


[image]
[image]
[image].
도서실은 시설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4]도서실 앞쪽에는 사서교사의 자리가 있고, 왼쪽에는 강의실로 보이는 공간이 있다. 뒤쪽에는 책장과 의자가 있고, 안쪽에는 따로 책을 볼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또, 중앙 소파에는 만화책들이 있다. 전반적으로 상당히 조용한 편이다. 소파의 자리는 2017년 기준 조금 바뀐 상태이다.

8.2. 정진관


[image]
1층은 급식실이고 2층은 체육관이다. 체육관 시설은 상당히 잘 되어 있다. 4개의 에어컨과 교무실, 방송실과 또, 배드민턴 라켓과 농구공 같은 기구들을 보관하는 창고가 2개 있다. 체육관은 시설이 좋고 넓은 편이다. 약 15년 전에는 현 체육관 위치에 테니스장이 있었고 그 오른쪽에 조그맣게 구멍이 나 있었는데 그 구멍은 학교 바깥의 문방구 겸 슈퍼가 있어서 쉬는 시간이나 점심 시간마다 학생들이 그 구멍에서 군것질거리를 사먹곤 했다. 그때는 주변이 정말 논밭 뿐이었어서...

8.3. 교실


1학년은 복도에 사물함, 교실 뒤쪽에 게시판이 있고 2,3학년들은 교실 뒤쪽에 게시판과 사물함이 있다. 앞쪽에는 칠판과 그 양옆에 게시판이 있고, 또 교탁과 모니터가 있다. 모니터는 2019년 교체 작업을 실시하였으나 일부 n.5층 교실은 자주 사용하지 않아 교체하지 않았다.

8.4. 운동장


운동장은 상당히 큰 편이다. 축구 골대와 한쪽 구석에 농구골대가 나란히 2개 있다.

8.5. 주차장


2015년에 지어졌으며, 교직원들이 사용한다. 또한 주차장에는 자전거수납장과 우유 냉장고가 있다.

8.6. 컴퓨터실


컴퓨터의 사양은 항상 좋은 사양으로 구비되어있다.[5]
그리고 40개정도의 컴퓨터와 스크린 보관실이 구비되어 있다. 앞쪽에는 컴퓨터에 대한 포스터가 있다. 컴퓨터의 CPU는 i5-6500을 사용하고 램은 4gb[6]SSD ( ADATA의 SP580), 내장그래픽, 보드는 ASUS의 H110m-C/HDMI. OS는 윈도우10을 사용한다.
3D프린터 3대가 배치되어 있지만 현재 사용 가능한 건 1대뿐이다.[7]

8.7. 음악실


음악실은 제1음악실, 제2음악실이 존재하였으나 제2음악실은 2019년 여름방학에 고쳤다. 현재는 1,2음악실 모두 5층 공사로 교실로 사용하는 중이다

8.8. 교무실


특히 2층 교무실은 상당히 넓어서 대형 사무실을 연상시킨다. 교실열쇠와 가져갈 수 있게 안내문을 보관하는 수납장이 있다.
2020년부터 각 학년 층에 학년 학년 교무실이 생겼다. 각 학년 담임선생님들이 모여 있다.

9. 교복


검정색 바지, 체크무늬 치마, 흰색 와이셔츠 위에 검정색인 듯. 남색같은 조끼, 넥타이 검정색 마이[8] 하복은 청색 반팔티 흰색 반팔티와 검정색 바지 그리고 알 수 없는 색깔이 섞인 체크무늬 치마[9]
그러다 순간 2020년에 1학년만 하복이 생겼다.
체육복은 학년마다 색깔이 다르다. 생활복은 2020년 기준으로 1학년은 파란색 , 2학년은 흰색, 3학년은 연두색이다.[10]
2020년 교칙 변경으로 체육복 상,하의를 다 입는 경우에는 등교가 가능하다. 하의만 입으면 불가.[11]

10. 학교 생활


  • 에어컨은 행정실에서 켜 준다.
  • 탈의실이 있었지만 지금은 없고 대부분 화장실에서 갈아입는다.
  • 운동장 앞쪽에는 큰나무들과 벤치가 있어서 누워서 쉴 수도있다.
  • 도난 사건이 잦다.

11. 사건사고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하시기 바랍니다.

12. 여담


학교에 실내화를 신고 등교하거나, 실내화가 없이 등교를 하면 가차없이 신발을 뺏어 학교 밖이든 안이든 맨발로 걸어 다녀야 한다. 비가와서 축축한 땅을 걷기도하고, 2020년기준 공사로인해 바닥에 유리조각이나, 석회가루 등 위험한 물질들이 있어서 학생들이 밟는 사건이 있다.[12]
4층 계단의 옆의 통로의 교실 철문의 손잡이가 이미 고장나 있으며 손잡이는 이미 행방불명된 상태이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잔고장이 많아서 처음엔 불편하나 많이 익숙해진다.[13]
워낙 오래된 학교기는 하나 주변에 더한 학교가 많아서 오래됐다고는 말할 수는 없다.
예전에는 한학년에 12학급이 넘어갈 정도로 많아서 5층 증축을 진행하였으나 매양중학교, 광남중학교의 신설로 현재는 8~10학급 정도이다. 최근 태전동의 개발로 예상 입학생 수가 늘어 증축공사를 진행하고 2021학년도 예상 신입생 학급 수는 12학급 정도이다.

[1] 과학실 음악실 미술실 기술가정실 등[2] 5층을 증축할 때 부실공사가 있었다는 이야기도 있다.[3] 정진관, 본관 5층, 계단 옆 2학급 별관(n.5층이라 부름)에 이어 4번째 증축이다.[4] 원하는 자리에 앉으면 가끔씩 친구냐고 하면서 강제로 다른 자리로 보내기도 한다.[5] 가끔씩 고장난 것들도 있다.[6] 컴퓨터실에서 CPU-Z를 돌렸지만 상세정보는 안나온다[7] 그나마도 망가져서 2018년 이후에는 일반 학생들의 사용이 제한되었다. 그러나 2,3학년 IOT 자율동아리 학생 사용을 위해 한대를 대여하였다. 사용하려면 동아리에서 3d프린터 부서 신청 경우 쓸 수 있다.[8] 예전에는 넥타이를 안 매야 됐다. 이젠 매든 안매든 상관없다.마이도 안해도 된다. 그래서 학부모들 사이에선 교복지원 시에 마이 말고 체육복을 지원해달라는 민원이 많은 편[9] 흰색 반팔티(하복 와이셔츠),하복 긴바지,하복치마는 2017년 1학년 기준으로 사라졌다.[10] 3학년 졸업 후에 다시 신입생이 초록색이고 그다음에는 파란색이고 이런 식으로 3년마다 색이 돌아온다.[11] 다만 초록색은 눈에 많이 튀어서 잘 안 입는다. [12] 자기잘못이니 선생님은 상관 안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부모님께 바로 전화한다고 해서 지레 겁먹고 혼자서 화내면서 끝나는 경우가 많다.[13] 사실 체념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