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광주 버스 60
1. 노선 정보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광주시와 수원역을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경남여객과 신원여객에서 공동배차 하던 노선으로 35~40분의 나쁜 배차간격으로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1998년 3월, 경남여객 운행분을 KD 운송그룹(대원고속)이 인수하였고 이후 신원여객이 공동배차에서 빠진 이후로 대원고속이 오리역 왕복 경유 추가 등 일부 조정을 거쳐 노선을 키워서 현재까지 큰 변화없이 운행중인 노선이다.
- 수지로112번길이 폐쇄되면서 2016년 6월 11일부터 이마트수지점 경유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운행경로를 단순하게 설명한다면 광주~모현~죽전~오리~수지~수원을 지나는 노선이다. 상현동, 오리역, 모현 투어를 하기 때문에 굴곡이 상당히 있는 편이기에 장거리 수요는 660번이 노선 단축이전까지 수원~수지~죽전~광주를 급행격으로 운행했고 보조했었다.
- 수지에서 광주로 넘어가려는 탑승객 입장에선 뫼비우스의 오리역 투어가 빡칠 만도 하지만, 수요를 위해 죽전사거리에서 오리역까지 왕복운행을 한다. 즉, 죽전사거리에서 오리역으로 갔다가 다시 죽전사거리로 내려온다는 이야기이다. 이러다 보니 해당 구간에서 행선판을 제대로 보지 않고 탔다가는 낭패보기 쉽다. 경남여객 운행 시절에는 오리역을 경유하지 않았지만, 대원고속에서 인수 이후 수지지구가 입주하면서 승객을 더 모으기 위해 불법으로 노선 변경한 것이 정식으로 인정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현재 60번은 오리역 수요도 굉장히 많아서 쉽게 못건든다.
- 300번과 함께 광주~오리역 노선 중 하나이다. 단, 중간경유지가 상당히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시간은 300번이 훨씬 빠르다.
- 수지구 구간 굴곡이 적은 편이다보니 수원시에서 오리역으로 갈 때엔 700-2번 대신 이 버스를 타는 게 좋다. 현재는 분당선이 수원역까지 완전 연장개통 되었기 때문에 굳이 버스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분당선이 닿지 않는 화서문, 장안문, 우만동 등에서는 여전히 오리역으로 이동하는 장거리 수요가 꽤나 나오고 있다.
- 수원역에서 오리역을 이동하기 위해선 60번보다는 수인분당선을 이용할 것을 권장한다. 수인분당선이 기흥과 영통으로 돌아가면서 배차도 썩 좋진 않지만, 전철로는 25분(급행)~33분(완행)이면 충분히 도착 하지만, 60번은 도로 정체와 상현동 굴곡 등으로 인해 소요시간이 50분~1시간 정도로 수인분당선과 비교했을때 차이가 꽤나 크다. 다만 NH대와 주말휴일 때의 수인분당선 배차간격을 생각한다면 60번이 바로 온다면 버스가 나을 수도 있다.
- 수원시 구간은 굴곡구간이 거의 없는 편으로, 우만동, 매향동 등에서 수원역으로 가기 위한 수요 역시 상당하다. 700-2번과 수원시 구간이 중복되기 때문에 수요를 나눠먹었으나, 700-2번이 수원역 환승센터로 변경되면서 매산시장 쪽으로 가기 위한 승객들은 60번을 선호하는 편이다.
- 한가지 재밌는 점은, 성남시 관할인 오리역-농협하나로마트 성남점 두 정거장의 버스도착 안내에서는 행선지가 뜨나, 죽전로데오거리(용구대로) 선상의 정류장은 용인시 관할이므로 행선지 표시 없이 도착시간을 띄운다. 만약 10분 정도 기다려야 한다면 버스가 있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방면으로 가는 버스인지는 대략 알 수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일곱 정거장 안쪽으로 있다면 확인할 방법은 없으니 주의할 것.
- 광주시 - 수원시 간 수요는 거리가 멀고 노선이 돌아가기 때문에 그다지 많지 않다. 때문에 광주에서 수원을 이동하기 위해선 3-1번을 타고 모란역으로 나가 직행버스 2007번 환승하는 방법(수원역~장안문 구간만 해당.)도 있는데 수도권 전철 노선들이 추가로 개통된 현재는 수원역 일대에서는 수인분당선 ~ 경강선 ~ 광주시내 진입 시내버스로 환승하는 방법이, 우만동이나 화성행궁 인근에서는 400번 등 신분당선 연계 노선을 이용하여 광교(경기대)역에서 신분당선 ~ 경강선으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다.[2]
- 외대에서 수원역을 가는 것도 소요 시간이 오래 걸려 외대생들은 교내에서 1500-2번 직행좌석버스를 타고 전대·에버랜드역 또는 외대사거리로 내려가서 20번 시내일반버스를 타고 둔전역으로 가서 용인 경전철을 타고 기흥역으로 가서 수인·분당선 전철로 갈아타는 편이다. 아니면 교내에서 1303번 직행좌석버스를 타거나 외대사거리로 내려가 서이 노선을 타도 오리역에서 내려 수인분당선으로 갈아타는 편이다.
- 현재 22대로 적지 않은 차량들로 운행 중이나 노선 길이가 워낙 길고 운행 시간이 가공할 정도로 길어서 (왕복운행거리는 90km를 넘기고 운행시간은 5시간 훨씬 넘길때도 많다.) 배차 간격이 별로 좋지 않고 그나마도 20분 이상 벌어질때가 꽤 많다. 이용시 배차간격을 확인하는 게 좋다. 그마저도 공휴일의 경우 10대 내외로 운행하므로 배차간격이 30-40분 내외로 벌어지므로 사전에 배차정보를 확인 후 이용할 것을 권한다.
- 한편 성남시를 다니는 60번은 이 노선 말고도 성남시내버스에서 운행하는 60번(분당테크노파크 - 가락시장)이 있다. 다만 두 노선간 겹치는 구간이 없어 번호변경 없이 그대로 운행 중이다.
- 성복역 개통 이전 가끔 정평에서 상현동 방향으로 가는길에 이 버스를 타면 두산기술원 사거리로 우회함에도 불구하고 기사분들이 이 노선이 660번보다 빠르다는 소리를 할 때가 있었다. 물론 이 노선도 빠른축에 속하지만 이건 절대 아니다. 특히 상현동에서는 뒤에 660번이 5분 이내로 오면은 660번을 타는 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 경기광주터미널과 경기광주역에서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입구(외대사거리/왕산4리)까지 최단 시간 이어주는 시내버스 노선이다. [3] [학교들어오는길]
- 수원역에서 타는 경우, 역사 건너편 로데오거리 입구 쪽 4번 승강장에서 탑승한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원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강선 : 경기광주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수원역, 죽전역[7] , 오리역[8]
- [image] 신분당선 : 상현역[9] , 성복역[10] , 수지구청역[11]
- 일반 철도역 :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 무궁화)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마을버스는 주로 소형 버스인 카운티로 운행중이고 60번은 11m 대형 저상버스로 운행한다.[2] 신분당선의 요금이 부담되는 경우에는 이 버스를 계속 타고 가다가 오리역에서 수인분당선이나 300번으로 환승하거나 700-2번을 타고 미금역에서 수인분당선이나 300번으로 환승하면 된다.[3] 광주-외대사거리 간에는 20번과 1113번도 이용할 수 있다.[4] 단, 1500-2번은 학교가 아니라 에버랜드가 종점이니 저 구간도 유료다.[5] 당연한 얘기지만, 학교종점 4자리 빨강버스를 학교에서 출발해 외국어대입구 이후 구간까지 타려면 탈 때부터 돈을 내야 한다.[6] 정규학기와 계절학기 대면 개강 시, 평일 한정으로 운행한다. 대면이 가능했을 때, 동계방학 중 신입생 신체검사·영어진단평가기간이나 새터 1일차와 마지막날에는 특별운행했었다.[학교들어오는길] : 외대사거리 하차 후 사거리 휴대폰매장 건물 앞 외국어대입구 정류소에서 백년관 앞까지 가는 KD모현영업소 소속 1005, 1117, 1150, 1303번 노선을 이용하면 된다. 참고로, 학교와 버스회사 간 계약을 맺어 학교가 종점인 위 4노선은 외국어대입구↔한국외대종점 구간만 양방향 카드 안 찍고, 현금 안 내도 승하차가 허용된다.[4][5] 또는 외대입구에서 조금 더 걸어가서 모현지석묘입구 정류소에서 캠퍼스 안 인문경상관까지 가는 무료 교내셔틀버스(빵차)[6] 를 타면 된다.[7] 광주 방면은 죽전사거리에서 좌회전해야하므로 경유하지 않는다. 용인포은아트홀 정류장에서 내린 후 약 5분정도 걸으면 죽전역이 나타난다. 다만 중간에 횡단보도가 있으니 주의하자. 660번은 내대지마을과 단국대학교로 빠지므로 양방향 경유한다.[8] 양방향 죽전사거리-오리역-죽전사거리 왕복.[9] 아파트단지를 가로질러가면 도보 300m, 가로질러 가지 않으면 도보 700m이다.[10] 660번과 달리 두산기술원 앞을 바로 지난다. 수지로 이설 이후에도 그렇다.[11] 수지구청이나 용인시평생학습관에서 내려서 걸어들어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