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급행버스 M6439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시간표
6.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6439번
기점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인천터미널)
종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역삼역)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6:10
막차
23:00
막차
00:30
평일배차
20~25분
주말배차
35~40분
운수사명
인천제물포교통
인가대수
10대[1]
경유 정류장
'''인천(인천터미널)'''

'''서울(강남)'''
인천터미널(5번홈)
서초아트자이아파트(상)
구월아시아드6단지
서초동삼성아파트(상)
서초구청(하)
선수촌사거리(상)
경희유치원앞(하)
서초역1번출구(상)
양재역말죽거리.강남베드로병원(하)
서창도서관
교대역(상)
도곡한신아파트(하)
서창센트럴푸르지오
강남역.역삼세무서(상)
럭키아파트(하)
센타빌딩(상)
신한빌딩(하)
역삼역.포스코타워역삼
서창퍼스트뷰후문


2. 개요


인천제물포교통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인천터미널과 역삼역을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17년 11월 30일에 발표된 8차 광역급행버스 노선에서 '지제역 - 강남역', '하남BRT - 청량리역', '청라 - 양재' 노선과 함께 입찰공고가 올라오면서 사업자 모집을 시작했다. 국토교통부 공고 제 2017-1641호
  • 2018년 6월 초 M5438번은 노선을 확정하고 운행을 시작한 반면, 인천터미널~역삼역 노선은 구월지구와 서창지구가 구월지구 경유로를 어디로 하느냐로 싸우는 바람에 노선조차 확정 못했다.[2][3]
  • 2018년 7월 8일자 기사에 의하면 작년 9월 노선 조정위원회에서 신설된 인천터미널∼역삼역 노선은 최근 운송사업자인 인천제물포교통이 사업면허를 신청해 관련 심사가 진행 중이며 이달 중 사업면허가 발급되면 최대 3개월간의 운송준비를 거쳐 늦어도 10월부터는 운송을 개시할 계획이라고 한다. 관련 기사 그래서 광역급행버스 번호부여 체계에 따라 'M6439'로 정해진다. 본래 2018년 11월 중에 운행예정이었으나 차량출고가 늦어져 개통이 2~3개월 지연될 것으로 통보됐다고 한다.
  • 시기미상 인천제물포교통이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로 노선을 반납했다는 얘기가 있었지만 # 사실이 아니라고 한다. 다만 개통시기가 언제가 될 지는 아무도 모르는 상황. 그러다 오랜 기다림 끝에, 운행을 예고한지 무려 1년 만인 2019년 10월 17일 드디어 운행을 시작한다고 기사가 났었다.
  • 2019년 10월 23일로 다시한번 개통이 연기 된 후 마침내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20년 8월 31일부로 적자가 1억원을 넘겨서 운휴될 예정이였으나, 서창지구 주민들의 거센 반발과 지역구 국회의원까지 개입함에 따라 취소되었다.
  • 2020년 11월 1일부터 구월아시아드선수촌아파트 내부를 경유하게 되었다.인천광역시 공지사항 앞으로 두 지역주민간 불화없이 잘 이용해 흑자노선이 되길 바란다는 주민들의 의견이 많이 들려온다.
  • 2021년 2월 2일부터 운행횟수가 증회 되었으며 배차간격이 단축되었다.

4. 특징


  • 9500번의 단축 이후로 인천터미널발 강남행 광역버스가 없었는데, 이 노선으로 인해 인천터미널발 강남행 광역버스가 다시 생기게 되었다.
  • 2021년 2월 현재도 해당 노선의 차량에 현금통이 없다. 현금을 주면 운행사원이 당황해하는 경우가 있다.
  • 선진여객 9300번 출신 2017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3대와 2019년식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5대[4]로 운행한다.[5]
  • 인천종합터미널 안에서 승하차한다. 승차홈은 5번홈이며, 시내버스에도 카드 승차를 불허하고 매표행위를 하게 하는 타 지역과는 달리[6] 인천터미널에서의 매표행위를 하지 않기 때문에 카드를 가지고 바로 버스로 가면 된다.
  • 강남 방면 운행시, 봉담과천로에서 선바위역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우면산터널로 운행한다. 또한, 양재에서 인천 방면 운행시 시민의숲을 경유하지 않고 서초구청 - 경부고속도로(서초IC-양재IC)로 운행한다.
  • 차량 관리 및 주박은 선진네트웍스의 항동7가 차고지에서 하고 있다.
  • 어렵게 개통 된 노선이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여파로 적자가 지속적으로 누적되어 현재 평일 3대, 주말 2대로만 다니고 있다. 이용시 필히 BMS를 이용한 후 탑승해야 한다. 이 노선의 적자에 대하여 남동구측은 M버스 지원조례를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5. 시간표


광역급행 M6439번 평일 시간표
2021년 02월 02일 기준

횟수
인천터미널 출발
1
05:00
2
05:50
3
06:20
4
06:40
5
07:00
6
07:50
7
09:10
8
10:20
9
11:30
10
12:40
11
13:50
12
15:00
13
16:10
14
17:20
15
18:30
16
20:00
17
21:30
18
23:10
광역급행 M6439번 주말·공휴일 시간표
2021년 02월 02일 기준

횟수
인천터미널 출발
1
05:00
2
07:00
3
09:00
4
11:00
5
13:00
6
15:00
7
17:00
8
19:00
9
21:00
10
23:10

6.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1] 휴차 7대, 평일 3대, 토요일 / 공휴일 2대 운행[2] 서창지구의 입장은 기존에 2년동안 서창지구에서 매소홀로 경유로 추진한 M버스에 갑자기 구월지구가 인하로로 바꾸라고 훼방놓는다고 주장한다. 서창지구가 주장하는 것은 아래와 같다. 1)M버스는 광역급행버스이지 마을버스가 아니기 때문에 도로가 좁고 이미 많은 버스가 다니고 있는 인하로로 경유하면 소요시간이 늘어날 것이 뻔하고 급행버스 취지에도 맞지 않는다. 2)이미 구월지구에서 합의했는데 결정 막바지에서 갑자기 인하로로 바꾸라고 하는것은 서창지구의 노선 유치를 위한 그동안의 노력을 무시하는 처사이다. 3)인하로 개통을 원하면 어차피 소요시간 늦어지는거 인하로 개통하고 서창 1지구 경유도 하게끔 바꾸어야한다.(이는 아예 광역급행버스를 완행버스로 만들자는 것과 같으므로 지역 이기주의로 이용이 편리한지만을 따져서 인하로로 바꾸자는 구월지구를 비꼬는 말로 봐야 한다.) 4)구월지구 대표자리의 권력싸움으로 인해 우리만 피해보고 있다. 이미 사업자 선정까지 완료된 이 광역급행노선을 물고 늘어지지 말고 구월동 경유에 만족하고 양보해야한다. 잘못하면 급행노선계획이 없던것으로 될수도 있기 때문이다.[3] 구월지구의 입장은 매소홀로는 접근성이 떨어져서 노선 수익이 안나므로 인하로 경유로 버스노선이 잘 자리잡게 해야한다는 것이다. 구월지구가 주장하는 것은 아래와 같다. 1)매소홀로는 대로변이긴 하지만 구월 아시아드 선수촌 아파트의 외곽이라서 많은 구월지구 주민들이 이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인하로로 바꿔야한다. 2)서창지구는 자리가 미리 채워질까 걱정해서 매소홀로로 밀고 있을것이다. 이는 곧 노선의 수익성을 포기하는것이고, 6790번의 사례(6790번도 인하로 경유를 주장했었지만 서창지구의 반대로 매소홀로가 되었다.(항상 개통 직전 혹은 개통 후에 컴플레인을 거는 구월지구의 탓도 있긴 하다. 이게 정보력, 추진력이 중요한 이유...)에도 불구하고 매소홀로를 또 경유시키려고 한다. 3)기존 합의는 전 구월지구 대표가 전대표 신분상태로 한 거짓합의에 불과하다. 4)구월동 주민 투표가 70% 이상 인하로 경유 찬성으로 나왔다. 주민 결정에 따라야한다.[4] 개통초기에는 7대가 도입되었지만 적자 문제로 M6450번 개통에 맞추어 인천선진교통으로 2대의 차량이 이관되었다.[5] 본래 폐선된 이삼화관광의 M버스 차량을 가져와 개통할 예정이었지만 거래가 무산되어 개통이 지연되었다고 한다.[6] 주로 터미널 수수료 문제 때문에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