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호(야구선수)

 

'''권영호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1985 KBO 리그 구원왕'''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7번'''
팀 창단

'''권영호(1982~1989)'''

윤석환(1991)
<color=#373a3c>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0번'''
양승호(2011~2012)

'''권영호(2013)'''

김태석(2014)
<color=#373a3c> '''한화 이글스''' '''등번호 84번'''
송진우(2011~2014)

'''권영호(2015~2017)'''

손상득(2018~)


[image]
'''이름'''
권영호(權永浩 / Yeong-ho Kwon)
'''생년월일'''
1954년 1월 23일 (71세)
'''국적'''
대한민국
'''출신지'''
경상남도 산청군
'''학력'''
신암초 - 성광중 - 대건고 - 영남대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1982년 삼성 라이온즈 창단 멤버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1982~1989)'''
'''지도자'''
삼성 라이온즈 1군 투수코치 (1990~1997)
영남대학교 감독 (2000~2011)
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2013)
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2014)
한화 이글스 1군 투수코치 (2015)
한화 이글스 2군 투수코치 (2016)
한화 이글스 재활군 담당코치 (2017)
경일대학교 투수 코치 (2020~)
'''프런트'''
삼성 라이온즈 스카우트 (2011~2012)
1. 소개
2. 선수 시절
3. 지도자 시절
3.1. 삼성 라이온즈 1기
3.2. 영남대학교 감독
3.3. 삼성 라이온즈 2기
3.4. 롯데 자이언츠
3.5. 삼성 라이온즈 3기
3.6. 한화 이글스
3.7. 경일대학교 투수코치
4. 연도별 성적
5. 관련 문서


1. 소개


[image]
한국프로야구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동했던 투수이자 현 경일대학교의 투수코치. 한국프로야구 창립 멤버이며, 지도자로도 삼성, 롯데, 한화 등을 거친 KBO의 산 증인 중 한 명이다.

2. 선수 시절


[image]
[image]
대건고는 1970년 에 야구부를 창단해 7년만에 해체한 학교였고 그래서 전국대회에서 주목할 만한 성적은 거둔 적이 없었는데, 3학년이던 1972년에 팀을 대구에서 열린 문교부 장관기 대회와 국회의장배 대회에서 우승을 이끌며 이름을 알리기도 했다. 또한 경북고를 상대로 퍼펙트게임을 기록한 것으로 유명세를 떨친 적이 있었다. 당시 전국 고교야구의 최강자로 꼽히던 경북고를 상대로 한 것이라 당시에 상당히 이슈가 되었다고 한다. 대학 졸업후 실업 팀 한국화장품에서 뛰었고 육군 경리단에서 군복무를 하던 1980년에는 공군의 성무와 맞대결한 실업야구 코리안시리즈 최우수선수로 선정 되기도 했다.
1982년 한국프로야구가 출범함에 따라 삼성 라이온즈의 원년 멤버로 활약하였으며, 한국프로야구 사상 첫 전업 마무리 투수로 활동하였다. 속구의 속도는 빠르지 않았지만, 체인지업과 제구력을 바탕으로 타자들을 농락했다.
한국프로야구 초창기 당시에는 보직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고 한다. 1984년까지는 선발로 뛰다가, 1985년 26세이브와 통합우승, 1986년 19세이브를 통해 마무리 투수로서 등판했다. 그러나 1985년, 1986년 당시 선발에 가까운 170이닝, 140이닝을 휴식 없이 소화해냈기 때문에, 혹사의 우려 또한 심했다. 그래서 체력적 부담을 이기지 못하며 허리부상에 시달리기 시작했고 재일교포 등이 합류하며 가속화된 기술적 발전을 따라 잡지 못하고 83, 84년 두시즌 연속 6승에 그치며 부진했다. 하지만 은퇴를 심각하게 고민하던 1985년 초 미국 플로리다 베로비치 전지훈련에서 체인지업을 익히면서 활로를 찾아 그 시즌에 팀이 치른 경기의 절반에 가까운 54경기에 등판 해 권영호는 26세이브를 올리며 프로야구 최초의 성공적인 전담 마무리투수로 자리매김한다.
1987년에는 1986년 보다 훨씬 적은 이닝(약 90이닝)을 소화해 내면서, 최고의 방어율(2.41)을 기록한다.(전성기는 선발로 15승을 기록한 1982년에 가깝다.) 그러나, 1988년 노쇠화 때문인지, 3점대 후반의 방어율과 7세이브를 기록한다. 1989년 19세이브를 끝으로 마무리 보직을 김상엽에게 물려주고, 마운드를 떠났다.
통산 기록은 56승 49패 100세이브 방어율 3.06이고, 마지막 100세이브 달성 당시에는 자신의 별명답게 '명예 소방수'가 되었다. 이 타이틀은 한참 뒤에 오승환이 물려받는다.
한국프로야구 사상 첫 전업 마무리 투수로서 1985년 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통합 우승과 함께, 마무리 보직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으며 초창기 혹사의 문제점을 지적해주고, 분업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3. 지도자 시절



3.1. 삼성 라이온즈 1기


은퇴 직후인 1990년부터 8시즌 동안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코치를 맡았다.

3.2. 영남대학교 감독


1997년 시즌 후 서정환 수석코치가 감독으로 승격되면서 코치진이 대거 물갈이되었는데, 권영호도 정리 대상에 끼어 있었다. 2000년부터 2011년 8월까지 모교인 영남대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활동했으며, 2003년에는 자신의 후임이었던 김상엽을 투수코치로 맞이했다.

3.3. 삼성 라이온즈 2기


2011년 8월 10일, 삼성 라이온즈 구단의 스카우트를 맡게 되었다.관련기사 비록 코치는 아니지만 14년 만에 삼성에 복귀했다.

3.4. 롯데 자이언츠


2012년 11월 11일 롯데 자이언츠의 수석코치로 선임되었다. 김시진 신임 롯데 감독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한 영입이라는 평.
2013 시즌 종료 후 롯데 자이언츠 프런트에 의해 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으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대신 1군 수석코치는 권두조 2군 감독이 옮겨 왔다. 그러나 2군 감독 발령 일 주일 만에 전격 보직 해임되었다. 권영호 코치가 김시진 1군 감독의 최측근이란 점 때문에 프런트김시진 감독 사이의 파워게임이라는 설이 퍼지고 있다. 후임 2군 감독에는 2군 배터리코치인 정인교가 내정되었다. 다만 1군에 온 권두조 수석코치도 2014년 6월에 자진사퇴했다.

3.5. 삼성 라이온즈 3기


최근들어 다시 삼성에 스카우터로 복귀하였다.

3.6. 한화 이글스


그리고 2015 시즌부터 한화 이글스의 투수코치로 복귀하게 된다. 관련기사
2016 시즌에서는 2군 투수코치를 맡다가 2017 시즌에 재활군 담당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2017 시즌 종료 후 구단으로부터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고 팀을 떠나게 되었다.

3.7. 경일대학교 투수코치


2020년경일대학교 야구부 투수코치로 선임됐다. (감독은 삼성 출신 허규옥)

4. 연도별 성적


  • 붉은 글씨는 리그 1위 기록. 진한 표시는 리그 5위 내 기록.
역대 투수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1982
삼성
32
178⅔
'''15'''
(2위)
5
2
-
'''0.750'''
(2위)
'''2.37'''
(3위)
139
18
59
72
57
47
1.069
1983
32
135
6
10
'''7'''
(2위)
-
0.375
3.20
113
7
54
49
58
48
1.193
1984
29
127⅔
6
8
2
-
0.429
3.28
124
8
61
52
53
50
1.318
1985
'''54'''
(1위)
174⅔
6
6
'''26'''
(1위)
-
0.500
3.50
170
14
71
81
75
68
1.363
1986
38
146⅓
7
7
'''19'''
(2위)
-
0.500
2.77
121
12
55
74
47
45
1.189
1987
32
89⅔
5
3
'''18'''
(2위)
-
0.675
2.41
74
7
30
28
27
24
1.160
1988
29
72⅓
7
5
'''7'''
(5위)
-
0.583
3.73
61
5
41
24
32
30
1.396
1989
'''42'''
(2위)
86⅔
4
5
'''19'''
(2위)
-
0.444
3.63
83
6
40
41
39
35
1.408
<color=#373a3c> '''KBO 통산'''
(8시즌)
288
1020⅔
56
49
100
-
0.533
3.06
885
77
411
421
388
347
1.246
완투, 완봉 기록
연도
완투
완봉
1982년
6완투
3완봉
1983년
5완투
0완봉
1984년
2완투
0완봉
1986년
3완투
1완봉
1988년
1완투
1완봉
1989년
1완투
0완봉
<color=#373a3c> '''KBO 통산'''
18완투
5완봉
역대 타자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88
삼성
1
1
.000
0
0
0
0
0
0
0
0
.000
.000
<color=#373a3c> '''KBO 통산'''
(1시즌)
1
1
.000
0
0
0
0
0
0
0
0
.000
.000

5. 관련 문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