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차
1. 개요
機關車
locomotive
객차나 화차를 끌고다니는 철도차량.
일반적인 철도차량들은 동차형이 아닌 이상 무동력차(Trailer)이기 때문에 이를 견인해줄 동력을 내는 차가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기관차(Locomotive). 용도에 따라 모양과 크기, 중량이 가지각색인데 광산철도나 산악협궤철도 등, 협궤로 운용되는 기관차는 애들 장난감처럼 생긴 반면 장거리 대량화물 수송이 전부인 미국의 경우 거대한 기관차들을 볼 수 있다.
2. 분류
2.1. 기관형식별
가장 기본적인 기관차 분류법
1950년대 미국과 구소련에서 토륨을 구동연료로 한 원자로를 동력원으로 채택한 기관차를 실제 양산단계까지 연구를 진척시켰다고 하나 당시 석유자원이 매우 넘쳐났던데다 이용자 안전과 환경 문제가 대두되어 결국 연구는 중단되었고 관련 기술은 사장되었다고 한다. 당시 미국은 관련 법안까지 입안시켜가며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했었고 구소련에서는 연료봉을 한 번 주입한 후 1년 간은 연료교체 없이 화차 수십 ~ 백수십 량을 견인하여 60km/h로 주행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올라갔었다.
2.2. 용도별
크게 여객용과 화물용으로 나뉘는데 보통 여객용 기관차는 고속성능 중시, 증기 발생기나 보조 발전기(H.E.P) 등 각종 객차 지원장비를 내장하고 있으며[1] 화물용 기관차는 중량물인 화물의 견인을 위한 강력한 견인력을 중시한다. 차량의 기어비가 속도보다는 견인력에 초점을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 여객용 기관차
- 화물용 기관차
- 출력보조용 무인기관차
- 입환기
2.3. 기관차 유형별
- 기관차의 유형별 분류법 문서 참조.
3. Push-Pull 방식의 동력차
[image]
사진은 SRT 자체발주분 차량의 동력차 부분이다.
KTX의 경우 애매한 것이 20량 고정편성열차임에도 선두 동력차를 '고속기관차'로 분류하고 있다.
동력집중식을 사용하는 디젤동차나 전동차의 경우 선두 차량을 동력차라고 부르지, 기관차라고 부르지 않는다.[2] 다만 이는 동력집중식 동차를 구분하기 위해서 동력차라고 부르는 것이지, 각 차량의 내부 구조나 개념은 기관차와 다를 게 없다.
4. 관련 문서
[1] 기관차 자체에 전원 등 공급 장치가 있더라도 출력 부족과 소음/진동 발생 문제가 있고, 편성에 제한이 생기기 때문에 HEP가 있더라도 국내에서는 대부분 발전차를 끌고 다니는 것으로 해결한다. 발전차를 끌고 다니면 변속 시 생기는 충격을 완화하는 부수 효과도 있다. 실제로 HEP를 시험삼아 가동했던 7000호대의 경우 엄청난 소음은 물론 엔진에 무리가 되어 결국 HEP을 철거한 전력이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전기 기관차가 아닌 이상 발전차를 사용한다.[2] 하지만 자동안내방송에선 중련편성의 경우 ‘기관차가 연결되어 객차 사이를 오갈 수 없다’ 고 방송이 나오고 있으며, 동력집중식 차량을 설명할 때에도 양 끝에 기관차가 연결되어 밀고 당겨주는 형식이라고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