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관련 정보

 

4. 국가별 철도 현황
4.1. 아시아
4.1.3. 중국본토/대만
4.1.4. 기타
4.2. 유럽
4.3. 아메리카
4.4. 아프리카/오세아니아
5. 안내방송/멜로디
6. 용어
6.1. 철도 회사/운영 주체
6.2. 시설
6.3. 기술/규격/건설
6.4. 운영
6.5. 동호활동/속어
6.6. 관계 법령
6.7. 직종
6.7.1. 철도 관련 자격증
6.7.2. 철도 관련 학과가 존재하는 대학
7. 관련 문서


1. 철도 노선 정보



1.1. 종류별 목록



1.1.1. 고속철도




1.1.2. 일반철도



1.1.3. 광역철도/도시철도/노면전차



1.2. 국가별 목록



1.2.1. 대한민국/북한



1.2.2. 일본



1.2.3. 기타



2. 철도차량 관련 정보




3. 역 관련 정보







3.1. 국가별 목록



3.1.1. 대한민국



3.1.2. 일본



3.1.3. 기타



4. 국가별 철도 현황




4.1. 아시아



4.1.1. 대한민국/북한



  • 국내여행패스
    • 하나로 패스
    • 나드리 패스[1]
    • 내일로
    • [2]
  • 교통카드

  • 할인카드[3]
  •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


4.1.2. 일본




4.1.3. 중국본토/대만


-

  • 교통 패스
    • TR패스[4][패스]

4.1.4. 기타


  • 말레이시아
    • 말레이 철도[5]
    • 인터시티(동남아시아)[열차등급]
  • 태국
  • 우즈베키스탄
  • 베트남

4.2. 유럽


철도 회사/유럽 참조.


  • 도이치반
  •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 단거리권[운임]
  • 즐거운 주말 티켓[패스]
  • 영국
  • 영국의 철도 환경
  • 내셔널 레일
  • 프랑스

  • 프랑스국철
  • 까르네[승차권]
  • 코라유[열차등급]
  • 스위스
  • 스위스 연방철도
  • 스위스 패스[패스]
  • 스페인

  • 알타리아
  • Trenhotel
  • 오리엔트 급행
  • 유레일 패스[패스]
  • 실야 라인[6]

4.2.1. 러시아



4.3. 아메리카




4.3.1. 미국


====# 기타 #====
  • 멕시코
    • (취소)[7]
  • 콜롬비아
    • (구상 중)

4.4. 아프리카/오세아니아



5. 안내방송/멜로디


  • 역 멜로디
    • 얼씨구야: 수도권에서 전철을 타면 가장 많이 나오는 유명한 환승 음악. 2016년 이후 부산의 동해선 광역전철에서도 들을 수 있다.
  • 안내방송/역: 승강장 내에서 들을 수 있는 안내방송 문안을 정리한 문서이다.
  • 안내방송/열차: 열차 내에서 들을 수 있는 안내방송 문안을 정리한 문서이다.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를 제외한 일반열차, 외국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문서가 너무 길어져 위의 문서에서 국내의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안내방송 문안을 따로 분리해 정리한 문서이다.
  • 안내방송 성우: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의 현직 안내방송 성우 명단.
  • 사랑을 전하세요 코레일 OO역입니다

6. 용어


'''여러 교통수단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용어는 교통 관련 정보를 참조하세요.

6.1. 철도 회사/운영 주체




6.2. 시설


역과 관련된 내용은 역 관련 정보 참조.



6.3. 기술/규격/건설




6.4. 운영



6.5. 동호활동/속어



6.6. 관계 법령



6.7. 직종



6.7.1. 철도 관련 자격증


이 단락은 기술자격/자격증의 명칭에 직접적으로 '철도'가 명시, 언급되거나 주 업무가 철도현장에서 이뤄지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자격증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외에 보조적으로 철도 업무와 연관지을 수 있는 자격증(예를 들어 물류관리사 같은)은 아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더 많다. 과거에는 객화차정비기능사 1, 2급이나 철도동력차기관정비기능사 1, 2급, 보선기능사 1, 2급, 열차조작기능사같이 세분화되어 그 수가 훨씬 많았던 적도 있으나 이들 모두를 통폐합하면서 지금에 이른다.
덧붙여,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이라고 되어 있지만 사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이 자격종목들을 분류해놓은 분류군을 보면 의외로 제법 흩어져있다. 다시 말해, '철도'라는 분류에 들어가는 자격종목은 의외로 몇 없다는 이야기. 일례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은 '토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철도신호 및 전기철도 관련 자격종목은 '전기'로, 철도운송산업기사는 '운전운송'으로 분류되어 있다. 제대로 '철도' 분류군에 속한 자격종목은 차량 및 차량정비가 전부.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 일람'''
'''기능사'''
철도차량정비기능사
철도전기신호기능사
철도토목기능사[10]
'''산업기사'''
철도운송산업기사[11]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전기철도산업기사
철도토목산업기사[12]
'''기사'''
철도차량기사
철도신호기사
전기철도기사
철도토목기사
'''기능장'''
철도차량정비기능장
'''기술사'''
철도차량기술사
철도신호기술사
전기철도기술사
철도기술사[13]
'''기타'''
철도교통안전관리자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철도차량 운전면허'''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제1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디젤차량운전면허
철도장비운전면허
노면전차운전면허

6.7.2. 철도 관련 학과가 존재하는 대학




7. 관련 문서



7.1. 철도 사건사고


철도 사건사고 항목을 참조.

7.2. 기록



7.2.1. 한반도


  • 극점

-
  • 높이/깊이
    • 가장 높은 역(해발고도 기준)
한반도 전체
백무선 북계수역[14]
+1,750m
대한민국
태백선 추전역
+855m
  • 대한민국에서 가장 깊은 역
지표면 기준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만덕역
-64.25m
해발고도 기준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나루역
-27.5m
  • 한반도에서 가장 깊은 도시철도 체계
평양 지하철도
평균 -100m[15]
-
  • 일일 이용객 수(승하차) 최다
철도 전체
서울역

도시철도
강남역
202,174명[16]
  • 가장 긴 노선
평라선
801.9km
  • 가장 긴 터널
수서평택고속선 율현터널
길이 50.3km
  • 북한과 가장 가까운 전철역
경의중앙선 임진강역
5.8km

7.2.2. 세계


  • 가장 긴 편성
러시아 야로슬라브스키 역~북한 평양역
10,214 km[17]
  • 가장 긴 노선
러시아 시베리아 횡단철도
9,334 km
  • 최북단 역
러시아 무르만스크 역
북위 68도 58분
  • 가장 높은 역
중국 칭짱철도 탕구라 역
해발 5,072m
  • 이용객수 최다
일본 신주쿠역
일일 이용객수 364만 명
  • 극점/일본


7.3. 미디어


철도 관련 정보/미디어 참조.

[1] 관광전용패스들을 통합하여 만든 전 구간용 관광통합패스이다.[2] 오트레인패스 문서는 해당내용을 포함하여 이 문서로 통합되었다가 나드리 패스 출시로 DMZ PASS를 제외한 모든 패스권이 폐지되었다.[3] 코레일의 할인카드만 서술된 문서.[4] 타이완 철로관리국[패스] A B C D [5] 싱가포르우드랜즈 역말레이 철도가 관할한다.[열차등급] A B [운임] [승차권] [6] 철도 연계 페리[7] 계획 자체가 흑역사화되었다.[8] 이러한 시설이 존재하는 이유는 스위치백 문서 참조.[9] 하차량을 뜻한다. 역 관련 항목에 나온 강차량은 제외의 뜻.[10] 당초 본 문서에는 보선기능사(1998년 5월 9일 대통령령 제 15794호에 의해 보선기능사 2급에서 보선기능사로 통폐합됨.)로 등재되어 있었으나 해당 자격증이 2012년 12월 21일 고용노동부령 제 71호에 의해 철도토목기능사로 변경되었다. 다른 자격증 명칭 개정보단 상당히 늦은 편이다. 예를 들어 철도운송산업기사만 해도 2005년에 개정된 것.[11] 열차조작기능사로 시작된 이 자격증은, 현재 이 문서에 명시된 철도 관련 및 운전운송 분류군의 국가기술자격증 중에서 유일하게 비상대비자원관리법의 관리 하에 있는 자격증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이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더불어 관련 업종에 근무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전시에 군사작전지원, 군수지원업무 등에 기술인력으로 차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12] 2022년 폐지 예정[13] 특이한 점이라면, 이 자격종목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철도' 분류에 넣지 않고 상기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과 함께 '토목' 분류에 분류했다. 이는 1974년 10월 16일 대통령령 제 7283호에 의해 이 자격종목이 시작될 당시에는 '토목기술사(철도)'였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 자격종목이 목표하는 인재상 역시 '''철도 분야의 토목 기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을 요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 이후 1991년 10월 31일 대통령령 제 13494호에 의해 '철도기술사'로 개명되고서도 죽 이어져오고 있다.[14] 북한 량강도 백암군 소재.[15] 영광역 깊이가 150m 이상이라는 말이 있다.[16] 2호선 한정, 2019년 기준[17] 기네스북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