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고야 시영 지하철

 



'''名古屋市営地下鉄(なごやしえいちかてつ'''
Nagoya Municipal Subway | 나고야 시영 지하철

[image]
<colbgcolor=#0052C4><colcolor=#ffffff>'''지역'''
[image]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 닛신시
'''분류'''
공영 도시철도 체계
'''구성 노선'''
6개 노선
- [image] 히가시야마선(東山線)
- [image] 메이죠선(名城線)
- [image] 메이코선(名港線)
- [image] 츠루마이선(鶴舞線)
- [image] 사쿠라도리선(桜通線)
- [image] 카미이다선(上飯田線)
'''역 수'''
87
'''총연장'''
93.3km
'''개통일'''
1957년 11월 15일
'''소유자'''

'''운영자'''
[image]
전체 노선도
1. 개요
2. 구성 노선
2.1. 옛 계획
3. 승차권
4. 주요 역


1. 개요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닛신시를 운행구역으로 하는 나고야시 교통국의 지하철이다. 1957년 11월 히가시야마선 개통 이래로 6개 노선을 운영 중이다. 노선 색깔이 마마마의 퍼스널 컬러와 일치해서, 이를 이용한 합성영상도 있었지만 삭제.
2018년 이후 남아있는 일본 공영 지하철 체계 중 가장 오래되었다.[1]

진입음 모음

2. 구성 노선


츠루마이선과 사쿠라도리선, 카미이다선은 1067mm(협궤) 궤간에 가공전차선을 사용하고, 나머지 노선들은 모두 1435mm(표준궤) 궤간에 제3궤조를 사용한다.
기호
노선명
노선 번호
노선 색상[2]
구간
타노선 직통운전
[image]
히가시야마선
(東山線)

1호선
노랑(#FAB123)
타카바타 ~ 후지가오카
(20.6km)
-
[image]
메이죠선
(名城線)

2호선(서반부)
4호선(동반부)
보라(#B074D6)
카나야마 ~ 카나야마
(26.4km, 순환선)
[image] 메이코선
[image]
2호선
보라(#B074D6)+흰 줄무늬
카나야마 ~ 나고야항
(6.0km)
[image] 메이죠선
메이코선
(名港線)

[image]
츠루마이선
(鶴舞線)

3호선
파랑(#009BBF)
카미오타이 ~ 아카이케
(20.4km)
[image] 메이테츠 이누야마선
(카미오타이↔이누야마)
[image] 메이테츠 토요타선
(아카이케↔토요타시)
[image]
사쿠라도리선
(桜通線)

6호선
빨강(#C92F44)
나카무라쿠야쿠쇼 ~ 토쿠시게
(19.1km)
-
[image]
카미이다선
(上飯田線)

7호선(비공식)
분홍(#FC78B4)
카미이다 ~ 헤이안도리
(0.8km)
[image] 메이테츠 코마키선
(카미이다↔이누야마)

2.1. 옛 계획


[image]
[image]
[3]
웬만한 대도시들이 다 그렇듯 나고야 역시 한 때는 원대한 지하철 계획을 세웠던 시절이 있었다. 70년대에는 무려 '''9호선'''까지의 계획을 세웠고, 92년도에 이리저리 수정을 가해서 위의 짤과 같은 형태로 수립이 되었다.
  • 카나야마선 : 킨테츠 나고야선토다역에서 출발해 타카바타역카나야마역을 경유하여 츠루마이역코마키 일대를 거의 일직선으로 꽂아주는 선형으로, 차량 규격이 작아서 수송량 증대가 힘든 메이죠선의 바이패스 목적과 나고야 북부의 지하철 사각지대 해소를 목적으로 계획된 것으로 보인다. 확인 된 것은 없으나 츠루마이선과 카미이다선이 타사 노선과 직통운행중인 사례를 감안하면 토다역에서 킨테츠와 직결하는게 논의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문서를 보다보면 4호선과 6호선은 있지만 5호선이 없는 것을 눈치채실 수가 있는데, 바로 이 노선의 번호였다.
  • 동부선 : 현재 개통된 사쿠라도리선과 함께 히가시야마선의 바이패스 노선 성격이 강하며, 코가네역을 출발하여 나고야의 중심지를 일직선으로 관통한 후에 히가시야마코엔역호시가오카역에서 히가시야마선과 2연속 환승한 후에 닛신시 일대를 종점으로 하는 노선이었다. 아울러 코가네역에서는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아오나미선이나 JR 간사이 본선과 직결하려는 구상도 존재했다. 간사이 본선과 직결시 핫타역에서도 히가시야마선과 교차하는데, 이렇게 되면 완전히 히가시야마선의 바이패스 노선이 된다.
그러나 92년도라는 시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그 당시 일본은 장기불황을 겪고 있는데다 인구 감소 까지 예상되어 신규 지하철 노선을 짓기 힘들어 짐으로 인해서 현재까지도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서울의 3기 지하철 계획 처럼 공식적으로 백지화를 선언한 적은 없으나, 사쿠라도리선의 적자만 해도 어마무시하기 때문에 이게 해결 안 되는 이상 신규 노선의 건설은 힘들다고 볼 수 있겠다. 그나마 3기 지하철이나 각 지방 대도시의 지하철 계획들이 광역철도나 경전철로 전환하고 노선 계획들을 짜깁기 하는 등의 형태로 부활하기라도 했는데, 이 쪽은 아예 떡밥도 안 나온다.

3. 승차권


2019년 5월 27일부터 기존의 지하철 1일권을 폐지하고 24시간 승차권으로 대체한다. 사용 방법은 도쿄 지하철과 같이 24시간 동안 사용가능하다. 발매 금액은 어른은 740엔, 어린이은 370엔. #
일반 승차권은 3키로 이내 210엔, 3키로~7키로 240엔, 7키로~11키로 270엔, 11~15키로 310엔, 15키로 이상 340엔이다. 240엔과 270엔 구간은 2019년 10월 1일의 소비세 인상에 따른 운임개정이 없었지만, 그 외 구간에선 상기 가격보다 10엔 낮은 가격이었으나, 현재 가격으로 인상되었다.

4. 주요 역



[1] 원래는 오사카 시영 지하철이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공영 지하철 체계였으나, 민영화 때문에 현재는 나고야로 넘겨졌다. 물론 '''일본 최초 공영 지하철 체계''' 타이틀은 오사카가 갖고 있다.[2] 교통국의 여객사인메뉴얼(旅客サインマニュアル)을 근거로 함[3] 정거장과 시종점은 모두 가칭을 사용했음을 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