넬슨 록펠러

 





'''미합중국 제41대 부통령
넬슨 올드리치 록펠러
Nelson Aldrich Rockefeller
'''
'''출생'''
1908년 7월 8일
미국 메인 주 바하버
'''사망'''
1979년 1월 26일 (향년 70세)
미국 뉴욕 주 뉴욕
'''재임기간'''
제49대 뉴욕 주지사
1959년 1월 1일 ~ 1973년 12월 18일
제41대 부통령
1974년 12월 19일 ~ 1977년 1월 20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모'''
아버지 존 데이비슨 록펠러 주니어
어머니 애비 올드리치
'''배우자'''
메리 토드헌터 클라크
마가레타 피틀러 머피
'''자녀'''
장남 : 로드먼 클라크 록펠러
장녀 : 앤 록펠러
차남 : 스티븐 클라크 록펠러
차녀 : 메리 록펠러
3남 : 마이클 클라크 록펠러
4남 : 넬슨 록펠러 주니어
5남 :마크 피틀러 록펠러
'''친인척'''
조부 존 데이비슨 록펠러
외조부 넬슨 올드리치
'''종교'''
개신교 (침례회)
'''학력'''
다트머스 대학교 (경제학과 / 졸업)
'''정당'''

'''약력'''
제41대 뉴욕 주지사
미국 제41대 부통령

1. 개요
2. 생애
3. 기타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제41대 부통령.
유명한 록펠러 가문 출신으로, 존 데이비슨 록펠러의 손자이며 7명의 자식이 있었다.

2. 생애


1908년 미국 메인 주 바하버에서 태어났다. 다트머스 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가문의 비즈니스와 자선사업을 도우며 뉴욕 근대미술관장 등을 지내다 FDR, 트루먼 민주당 행정부 시절 국무부 남미 담당 차관보, 보건교육후생부 차관 등을 지냈다. 이후 1954년 공화당 아이젠하워 대통령 특별보좌관에 임명됐다.
그렇게 1956년까지 보좌관직을 수행하다 1958년 뉴욕 주의 주지사 선거에 당선되어 1959년부터 뉴욕 주지사로 지냈고, 재선, 3선, 4선에 성공해 1973년까지 뉴욕 주지사로 있었다. 이시기 그는 공화당에 큰 영향력을 끼쳐 이른바 '''록펠러 공화당'''이란 명칭까지 생겨날 정도였다.
사상은 공화당내 리버럴 포지션으로, 낙태, 동성애 등 각종 사회 이슈에 관용적이며, 시장만능주의, 감세지상주의를 경계하고 복지 정책 등에 있어 정부의 역할을 중시했다. 이런 그의 노선은 1980년대 신자유주의와 강경 대외정책, 전통적 가치관 고양 등을 기치로 내건 이른바 신보수주의자들이 득세하기 전까지 공화당의 주류 노선을 이뤘다.
1970년대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사임으로 부통령이던 제럴드 포드가 대통령이 되어 부통령직이 공석이 되자 제럴드 포드에 의해 부통령에 지명되었다. 허나 1976년 미국 대선에서 제럴드 포드를 누르고 지미 카터가 당선되자 부통령직을 퇴임했다.[1] 돈도 많겠다 퇴임 후에도 유유자적하게 산걸로 보이는데, 퇴임 2년 후인 1979년 본인의 비서와 섹스를 하다가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3. 기타


여러차례 대통령직에 도전했는데, 가장 가까이 간건 1964년 대선. 공화당의 유력주자였으나 여러 후보들이 난립한 끝에 배리 골드워터에게 패배한다. 골드워터는 온건파 성향인 넬슨과는 대비되는 강경한 인사였기 때문에 록펠러는 골드워터를 꺼려했다. 그 때문인진 몰라도 골드워터 역시 포드 대통령이 록펠러를 부통령으로 지명했을때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리처드 닉슨이 1960년 대선 후보가 됐을때도 경선 경쟁자였던 록펠러에게 부통령 후보직을 제안했지만 거절했다. 불과 얼마전인 1959년에 뉴욕 주지사가 됐는데 허수아비 소리듣던 미국 부통령이 되고 싶지는 않았을 듯. 그의 삶에 있어 최고 전성기는 인생 막판 포드 대통령 시절 2년 하고 그만이었던 부통령직보단 실권을 행사하면서 4선을 지낸 뉴욕 주지사 시절이었다고 보는게 더 맞을듯. 물론 부통령 출신이 이후 대통령이 되는 케이스도 꽤 생겨나고 있는걸 보면 이때 부통력직을 수행하는게 나았을지도 모르지만 지금 와선 모든게 가정의 영역이긴 하다.
대통령은 되지 못했지만 당시 공화당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던 온건파의 대표격 인물이었고, 관직운도 나름 좋았기에 대통령이 될 기회도 여러번 있었다.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1964년 경선과 닉슨에 이어 2등을 한 1968년 경선이 있겠고[2], 비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스피로 애그뉴가 사임한 뒤 닉슨은 그를 새 부통령으로 고려했는데, 여기서 그가 선택되었다면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사임한 닉슨의 후임 대통령이 되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아픔이 있었는데, 인류학도였던 막내아들 마이클 록펠러가 1961년 11월 뉴기니 원주민을 조사하러 떠났다가 실종되는 일을 겪었다. 여러 정황상 뉴기니 원주민에게 살해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 유수의 재벌가인 록펠러 가문 출신으로 정계 유력인사로 활동했다는 점에서, 국내에선 현대가의 정몽준 전 의원과 비슷한 포지션 같다는 평가도 받는다. 그러나 정치 성향은 정몽준 전 의원보다 좀 더 중도에 가까운 편이며, 특히 사회문화적으론 현재 공화당과는 거리가 먼 리버럴한 축에 속한다.[3]
특이한 일화가 있는데, 그가 주지사 시절 높은 아파트에서 살 때 고층건물을 짓는 계획이 세워져 전망이 방해받게 되자 그 계획의 담당자인 미드 에스포시토 민주당 당수를 집으로 초청해 피카소 그림을 줄테니 계획을 취소하라는 제안을 한다. 그리고 에스포시토가 그것을 받아들여 피카소 그림을 주게 되는데, 훗날 록펠러는 그 그림이 '''모조품'''이었다고 회고했다.(...)

[1] 선거 전부터 이미 재선 출마를 포기한 상태였다. 1976년 대선에서 포드의 러닝메이트는 넬슨 록펠러가 아니라 이후 1996년 대선에서 클린턴에게 패하는 밥 돌이었다.[2] 1960년 대선에도 출마했지만 당선권의 후보는 아니었다.[3] 사실 지금도 상류층 중엔 이런 식의 경제적 중도~보수, 사회적 진보~리버럴들이 생각보다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