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영의 노래

 


露営の歌
Field Encampment Song[1]
노영의 노래
일본 제국군가.
작사: 야부우치 키이치로 (薮内喜一郎, 1905-1986)
작곡: 코세키 유우지 (古関裕而, 1909-1989)
1. 개요
2. 가사
3. 기타 버전
4. 여담


1. 개요



1937년 9월에 발매된 일본 컬럼비아 레코드의 레코드인 '진군의 노래(進軍の歌)'의 B면 수록곡#이며, 일본 제국군가이다.
1937년 7월,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사기 고취를 위해 마이니치 신문이 군가의 가사를 공모[2]했고, 혼다 노부야스(本多信寿)와 야부우치 키이치로[3](薮内喜一郎)의 가사[4]가 입선되었다. 그 중 야부우치의 작품을 시인 키타하라 하쿠슈[5]와 작가 키쿠치 칸[6]등이 '노영[7]의 노래(露營の歌)'라고 제목을 붙이고, 작곡가 코세키 유우지(古関裕而)가 곡을 붙여서 만들었다. 이 때, 코세키가 만주에서 돌아오던 도중 특급열차 내에서 신문을 읽다가 선정된 야부우치의 가사를 보고 몹시 마음에 들어, 아직 의뢰도 받지 않은 상황임에도 작곡했고, 도쿄에 도착한 그에게 일본 컬럼비아 레코드의 사원이 작곡을 의뢰하자 "그거라면 이미 완성되어 있습니다"면서 만들어 두었던 악보를 넘겨 주었다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이리하여 발매된 '진군의 노래' 레코드의 A면에는 '진군의 노래[8]'가, B면에는 '노영의 노래'가 담겨있었는데, B면에 수록됨에도 불구, '진군의 노래'를 뛰어넘는 인기로, 당대의 가요곡으로 자리매김했으며, A면과 B면을 합쳐 겨우 5분에 불과한 군가 레코드임에도 60만 장 이상이라는 당시로서는 이례적인 레코드 판매고를 자랑했다.

2. 가사




가사 원문
한국어 번역
한글 독음
1
勝つて来るぞと勇ましく
誓つて国を出たからは
手柄立てずに死なれよか
進軍喇叭聞く度に
瞼に浮かぶ旗の波
이기고 오겠노라 용감하게
맹세하고 고향을 떠나온 이상
전공도 못 세우고 죽을까보냐
진군 나팔 들릴 때마다
눈꺼풀에 밀려오는 깃발의 물결
캇테 쿠루조토 이사마시쿠
치캇테 쿠니오 데타카라와
테가라타테즈니 시나료카
신군랏파 키쿠타비니
마부타니 우카부 하타노나미
2
土も草木も火と燃える
果て無き昿野踏み分けて
進む日の丸鉄兜
馬の鬣撫でながら
明日の命を誰か知る
흙도 초목도 불타고 있는
끝없는 광야를 밟아나가며
나아간다 일장기와 철투구[9]
말 갈기를 쓰다듬으며
내일의 생사는 그 누가 알랴
츠지모 쿠사키모 히토모에루
하테나키 코오야 후미와케테
스스무 히노마루 테츠카부토
우마노타테가미 나데나가라
아스노 이노치오 다레카시루
3
弾もタンクも銃剣も
暫し露営の草枕
夢に出て来た父上に
死んで還れと励まされ
覚めて睨むは敵の空
탄환도 탱크도 총검도
쉬고가는 노영의 풀베게
꿈에 나오신 아버지께서
"죽어서 돌아오라" 격려하시니
깨어나 노려보는 적국의 하늘
타마모 탕쿠모 쥬켄모
시바시 로에이노 쿠사마쿠라
유메니 데테키타 치치우에니
신데카에레토 하게마사레
사메테 니라무와 테키노소라
4
思へば今日の戦ひに
朱に染まつてにつこりと
笑つて死んだ戦友が
天皇陛下万歳と
残した声が忘らりよか
떠올려 보면 오늘 전투에서
시뻘겋게 물들어 생긋하고
웃으며 죽어간 전우가
"천황폐하만세" 하고
남기고 간 목소리를 잊을 소냐
오모에바 쿄오노 타타카이니
아케니소맛테 닛코리토
와랏테 신다 센유우가
텐노헤이카반자이토
노코시타 코에가 와스라료카
5
戦為る身は予てから
捨てる覚悟でゐるものを
鳴いてくれるな草の虫
東洋平和の為ならば
何の命が惜しからう
전쟁하는 자는 진작부터
죽을[10] 각오는 해두고 있으니
울어주지 말거라 풀벌레들아
동양평화를 위해서라면
무슨 목숨이 아까우리요
이쿠사스루미와 카네테카라
스테루 카쿠고데 이루모노오
나이테 쿠레루나 쿠사노무시
토요헤이와노 타메나라바
난노 이노치가 오시카로오

3. 기타 버전


그 인기에 힘입어 여러 개사곡들이 만들어졌는데, 특히 사토 소노스케(佐藤惣之助)가 개사한 속・노영의 노래(続露営の歌), 사이죠 야소(西條八十)가 개사한 사쿠라 진군(桜進軍) 등이 유명하다.

0:00~3:01까지가 노영의 노래, 3:02~6:18까지가 속・노영의 노래, 이후 사쿠라 진군.

4. 여담


당시 일본내에서 가요곡으로 널리 불릴 정도로 인기 있었기에 일본 제국의 일부였던 조선, 대만 등지에도 소개되어서 제법 인지도를 쌓았으며, 특히 만주군-일본군 출신들이 즐겨 불렀다고 전해지며, 만주군 출신중 한명인 박정희5.16 군사정변이 성공하자 술을 마시고 기분좋게 취하면 일본 군가를 즐겨 불렀다고 하는데, 이 노래를 불렀다는 이야기가 있다.
곡이 발매된지 1년도 채 되지 않았음에도 재향군인회, 보승회 등의 협조를 받아 1938년 7월, 쿄토 아라시야마(嵐山)에 '노영의 노래 기념비(露営の歌碑)'가 세워졌다. 서예에 소양이 있는 마쓰이 이와네 퇴역 대장[11]이 노래의 첫 소절을 쓰고 음각해서 만들어졌으나, 현재는 관리가 부실하여 이끼가 슬었다.#


[1] 통일된 명칭이 없다.[2] 이 때는 아직 마이니치 신문의 전신인 오사카 마이니치 신문과 도쿄 니치니치 신문이 완전히 통합되기 전이었고, 두 신문 모두 모집을 받았다.[3] 당시 쿄토 시청 직원이었다.[4] 이 때의 제목은 '승리해 돌아오겠다고 용맹히(勝つて来るぞと勇ましく)'였다.[5] 北原白秋, 일본의 동화작가, 시인.[6] 菊池寛, 문예춘추 출판사를 설립한 일본의 소설가, 저널리스트.[7] 야영, 숙영 등에 해당.[8] 작사자는 상기한 혼다 노부야스, 작곡자는 츠지 쥰지(辻順治).[9] 일본군은 원래 방탄모를 원래 병기로 분류하여 철투구(鉄兜)라 부르다가, 1932년에 방독면 등과 함께 새로이 피복류로 분류, 철모(鉄帽)로 개칭했으나, 이후에도 철투구라고 불리우는 경우가 잦았다.[10] 원문은 (목숨을)내던질[11] 난징 대학살 사건의 책임자이며 사건 직후 퇴역했다. 병에 걸려 부하를 통제하지 못한 책임 등으로 전범 판결, 이후 교수형에 처해졌다. 의도도 하지 않았고 실행범도 아니기에 일각에서는 동정론도 있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