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옙스크 사건
러시아어: Николаевский инцидент
일본어: 尼港事件 (にこうじけん)
1. 개요
The Japanese sortie of 4-5 April, followed by relief expeditions from Khabarovsk and Otaru (Hokkaido), had fateful results for thousands of hostages in Nikolaevsk. As the relief forces drew near in the last days of May, the partisans put to death their 136 Japanese prisoners, slaughtered approximately 4000 Russian Men, women, and children, and after torching the town, herded a couple of thousand dazed survivors up the Amgun River to Kerbi.
John J. Stephan, The Russian Far East : a history, 1994년, Stanford University Press, 146쪽
니콜라옙스크 사건은 니콜라옙스크에서 벌어진 전투와 학살 사건을 가르킨다. 붉은군대 소속의 러시아인 아나키스트·볼셰비키, 중국인 아나키스트, 민족주의·볼셰비키·아나키스트 성향의 한국인 독립운동가의 대규모 학살과 테러로 인해 니콜라옙스크에서 수천명이 학살당하고 지역이 폐허가 됐다.[1][2][3][4][5][6][7]아무르강의 통행을 가로막고 있던 얼음이 풀리기 시작하는 1920년 5월 말 일본 원정군의 입성에 임박하여 러시아 빨치산 부대는 니콜라예프스크항을 철수하면서 136명의 일본인 죄수들과 약 4천명의 러시아인 어른, 아이들을 학살하였고, 도시를 완전히 불태웠다.…5월 중순이 되면서 아무르강의 얼음이 녹는 해빙기가 돌아오면서 니콜라예프스크항의 긴장이 고조되었으며, 트랴삐친의 빨치산 부대는 니콜라예프스크로부터의 철수를 준비하였다. … 철수 직전인 5월 하순 트랴삐친은 엄청난 규모의 테러를 자행하여 3천명에 달하는 주민들을 처형하였으며, 5월 24일 ~ 25일 감옥에 남아있던 130명의 일본인들을 처형하였다. 거류민은 12명, 나머지는 군인.
반병률, 제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 지역 항일 무장 투쟁, 26쪽
도발주체가 트랴피친 측인지 일본군인지에 대해서는 소련-러시아 학자들 사이에서 엇갈리나 트랴피친이 대규모 학살을 벌여 수천명의 사망자를 낸 것은 학계 내 ‘많은 역사학자들이 동의’하고 있으며 트랴피친 측의 대규모 파괴와 학살은 논란이 없다. [8] 정설은 미국 학계와 한국 측 독립기념관 저서에서도 동의하고 있다.[9][10][11]
2. 학계와 증거
2.1. 학계
2.1.1. 러시아
2.1.1.1. Алексей Георгиевич Тепляков의 2918년 논문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시베리아지부 역사연구소 선임연구원 Алексей Георгиевич Тепляков 는 2018년에 게재한 논문에서 박일리야 등 사할린부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논문에서 일부 '상하이파' 유격대 지도자들이 아니키스트 트랴피친이 이끄는 테러군대에서 핵심돌격대가 되어 1919-1920년 니콜라옙스크와 사할인 지역 민간인 학살에 적극 참여했으며 박일리야 등 이 사할린 부대를 가르켜 '트랴피친 하에서 민간인 약탈과 학살을 일삼은 파르티잔'이라 설명하고 있다.『Основная часть перешедших в Россию мятежных корейцев ориентировалась на Иркутск, остальные – на свою революционную фракцию в Шанхае. При этом сепаратно настроенные «прошанхайские» партизанские вожаки особого Сахалинского партизанскогоотряда были активными участниками дикой резни населения в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 иНиколаевске-на-Амуре в 1919–1920 гг., являясь важным ударным отрядом террористической армии анархиста Я. И. Тряпицына. Вполне естественно, что, уйдя под натискомяпонской армии летом 1920 г. с низовьев Амура и расположившись в окрестностях Благовещенска, они привычным образом с помощью оружия решали и вопросы снабжения, иличные конфликты. Еще в конце июля 1920 г. главком НРА Г. Х. Эйхе и его помощник пополитчасти В. Г. Бисярин приказали провести чистку корейско-китайского полка, средибойцов и комсостава которого была отмечена «масса преступлений служебного и политического характера»44. Эффективность подобных мер оказалась невелика. И попытки переподчинить корейцев мирным путем, как свидетельствует переписка советских военных ипартийных властей, оказались безуспешными.
Главком Эйхе в январе 1921 г. выдал мандат члену корейской секции при ДальбюроЦК РКП(б) и представителю Амурского обкома Корейской компартии Ивану ДаниловичуПак-Чан-Ыну для разрешения военных вопросов в корейских партизанских отрядах и поделам созыва в феврале партизанского съезда в Чите или Хабаровске – с правом отстранения командиров отрядов и «ареста лиц, оказывающих препятствие при разрешении им означенных вопросов»45. Тогда же все члены корейской секции Дальбюро, а также командиры особого Сахалинского отряда Иннокентий Ким и Илья Пак «за их недисциплинированность в партийных работах» постановлением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секретариата ИККИбыли лишены полномочий, причем Пак и Ким оказались на короткое время под следствием Амурского облотдела Госполитохраны (И. Пак обвинялся как ярый сторонник «авантюриста Тряпицына» и колчаковский контрразведчик, а И. Ким, бывший прапорщик русской армии, ранее, в 1920 г. в Иркутске Особым отделом 5-й армии арестовывался за уклонение от службы в НРА и был освобожден на поруки ).
Чрезвычайная Корейская военная конференция, прошедшая 11 марта 1921 г. в Читепод председательством Цой-Кван-Юна, представителя Кандонского партизанского отрядаКим-Квана и других, постановила отстранить командира особого Сахалинского отрядаИ. Кима и его военкома И. Пака с преданием их военно-полевому суду «за разложениеполка». Им вменялись внесение сепаратизма в Николаевские роты и ссоры командованияполка с рядовыми бойцами, а также доносы; они «не приостановили убийства самосудомВасилия Пака, бывшего командира корейского отряда Николаевского района, совершенное партизанами-николаевцами». Ким и Пак, переходя с отрядом из г. Свободного в сельскую местность, «позволили стрелкам мародерничать и чинить насилия над мирными русскими крестьянами», которые в ответ озлобились, требуя разоружения корейских партизан и вооружения их, крестьян, для отпора корейцам. Также Ким и Пак, «создав группубезответственных террористов из числа николаевцев, наводили панику на солдат и лицкомандного состава Корейского отдельного стрелкового батальона»47
Безвластие окончательно разложило дисциплину партизан, привыкших грабить и убивать мирное население при диктатуре Я. И. Тряпицына. В телеграмме Г. Х. Эйхе23 апреля 1921 г., адресованной Б. З. Шумяцкому, главком НРА сообщал, что Сахалинский отряд из-за недостатка продуктов и «отсутствия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го начальника отряда» восстановил против себя местное население, «что грозит вылиться в открытое столкновение крестьян с корейцами». Отряд планировалось перевести в один из соседних районов. Эйхе просил ускорить выезд Каландаришвили «для у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48.Однако «Дед» смог выехать только через месяц. Между тем, 8 мая 1921 г. комсостав Сахалинского отряда сообщал главкому НРА, что назначенный командующим корейскимичастями О. Хамук неприемлем, поскольку в свое время, будучи комбатом, «порол народоармейцев». Подписавшие обращение начальник отряда Григорьев (бывший офицер, беспартийный), помощник начальника отряда Ким, военком Пак (бывший начальник Николаевского отряда), начштаба Цой (бывший начштаба 2-го летучего отряда), комбат-1 Лим,комбат-2 Анму, комбат-3 Хезаук и ряд командиров рот заявили о неподчиненииО. Хамуку49 』[12]
2.1.1.2. Sergey V. Grishachev와 Vladimir G. Datsyshen의 2019년 논문
역사학 박사 겸 시베리아 연방 대학교 사학과 교수 Vladimir G. Datsyshen와 러시아 주립 대학 역사, 정치학 및 법학부 박사 Sergey V. Grishachev의 영어논문「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and Japanese Troops in Russia’s Far East, 1918–1922」에서 니콜라옙스크 학살에 대한 소련-러시아 학계의 논의를 설명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이 논문에서도 아나키스트 트랴피친의 붉은 게릴라 부대가 도시에 접근하고 진입한 뒤 일본군과 전투전부터 처형과 사냥을 벌였으며 도시를 파괴하고 거주민들을 강제로 끌고왔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소련-러시아에서 논의되는 내용을 설명하는데 도발이나 유도한 측이 트랴피친 측인지 일본 측인지 여부에 대해서 학자마다 다르다고 한다. 그러나 그러나 그런 엇갈린 논의에서도 '트랴피친의 행동을 전례없고 근거없는 잔인함' '도시 전체를 의도적으로 태우고, 해당 전쟁의 역사에 비할 데 없이 파괴와 황폐화를 시켜 수천명의 사망자를 낸 것'에 ‘오늘날 많은 역사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고 학계 논의를 요약하고 있다.The leadership of the young Far Eastern Republic began negotiationswith the Japanese command on the withdrawal of Japanese troops fromVerkhneudinsk and the entire Transbaikal region. One of the most dramaticevents during the period of the civil war and of foreign intervention in thehistory of Russian-Japanese relations was the so-called Nikolaevsk Incident ofspring 1920. The city of Nikolaevsk-on-Amur was located at some distance fromthe main events; however, as a part of the intervention framework a Japanesegarrison was stationed there in 1918 because of the city’s strategic location onthe estuary of the Amur River opposite the island of Sakhalin. Furthermore,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Nikolaevsk-on-Amur was the territory’s center of gold mining. In addition to the small garrison deployed in 1918, Japanesecivilians also inhabited the city, among them the consul and his family.
The guerrilla unit of the anarchist Yakov I. Tryapitsyn, who formally recognized the Soviet regime, approached the city in January 1920. An agreementwas reached with the Japanese garrison, and the unit was allowed entry. Thepeaceful coexistence between Red guerrillas and the local population did notlast, however, and soon the soldiers launched a hunt for individuals sympathetic with the White Movement, who were arrested and executed. Arrests andexecutions of wealthy civilians followed, and by March the conflict embroiledthe Japanese military. The garrison was given a disarmament ultimatum, whichit rejected, and this led to the outbreak of armed conflict on March 12. TheJapanese were sorely outnumbered: Japanese soldiers led by Major IshikawaMasatada, who were sheltering in the barracks, and civilians, including theconsul and his family, were burned alive. Japan viewed the killing of the members of the military garrison, the consul and his family as sufficient grounds todeploy additional troops to the city and to occupy northern Sakhalin (oppositeNikolaevsk-on-Amur) for an indefinite period. Japanese units were sent to theAmur estuary from Khabarovsk and warships neared the shore in May.
Given the circumstances, Tryapitsyn’s unit retreated only after having laidthe entire city to waste: wooden structures were set alight and stone structuresblown up. The remaining population of the city retreated together (they weretaken from the city by force) with the unit but a revolt erupted only a shortdistance from the city in the town of Kerbi. Tryapitsyn was arrested, convicted,and executed on July 9, 1920, for the crime of undermining confidence in thecommunist regime among the working population (Molodyakov 2012, 194).
Soviet and modern Russian historians have conflicting views regardingthe 1920 events in Nikolaevsk-on-Amur. Soviet historians claim that “the socalled Nikolaevsk Incident was intentionally provoked by the Japanese military in March 1920 … This incident was used by the Japanese military as apretext for various provocations for a number of years” (Kutakov 1985, 65).Some contemporary Russian scholars occasionally express a similar opinion:“The Japanese military command chose Nikolaevsk-on-Amur to be a venueof provocation … Japanese militarism deliberately sacrificed its own soldiers”(Dal’niĭ Vostok Rossiĭ 2003, 366–67). There is, however, another historiographicaccount. Already in 1924, the acclaimed journalist Anatoliĭ Gan (the pen nameof Anatoliĭ Ya. Gutman) published a chronicle of the events in his book Ruin ofNikolaevsk-on-Amur: Episodes of the Civil War in the Far East (Gibel Nikolaevskana-Amure: Stranitsy iz istorii grazhdanskoĭ voĭny na Dal′nem Vostoke). Gan traveled to Siberia and the Far East at the time of the civil war. He lived in thePrimor’e territory from 1919 to 1920, and therefore was well placed to report onthe brutal events of the spring of 1920 (Gutman 1924). Today, many historiansagree in the description of Tryapitsyn’s actions as unprecedented, baseless cruelty: “the intentional burning of an entire city, killing thousands killed with immeasurable ruins and devastation of the territory that had no parallels in thehistory of that war” (Nelyubova 2012, 291).』[13]
다시 말해 학계에서 논쟁이 되는 것은 도발 유발이나 유도측이 어느 집단인지 여부이며 트랴피친이 대규모 학살을 벌여 수천명의 사망자를 낸 것은 학계 내 ‘많은 역사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트랴피친 측의 대규모 학살은 학계 밖은 몰라도 학계 내부에서는 논란이 없다.
2.1.2. 미국
2.1.2.1. John J. Stephan의 1994년 개설서
런던대학교 박사학위 및 하와이 대학교 역사학 교수 John J. Stephan 도 러시아 극동지역 역사 개설서에서 니콜라옙스크 학살을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트랴피친 측이 일본군과 전투 이전부터 처형을 했으며 철수전에 러시아인 4천명으로 남녀노소할 것 없이 학살했다는 내용이다.『Compared with Blagoveshchensk and Khabarovsk, Nikolaevsk had been an oasis of calm until January 1920 when a large partisan force under Yakov Triapitsyn approached along the Amur “liberating one upstream village after another.* Consul Ishida telegraphed his concern to Tokyo, but ice clogging the Amur and the Tatar Strait precluded either withdrawal or reinforcement. Snowballing to 4,000 armed men as it advanced, Triapitsyn's band annihilated small Russian and Japanese detachments sent out to stop it. It reached the outskirts of Nikolaevsk in late January, cut the telegraph line to Khabarovsk, and put the town under siege. Capturing nearby Fort Chnyrrakh, the partisans bombarded Nikolaevsk with field artillery. Against the advice of the Russian garrison commander, Ishikawa negotiated with Triapitsyn. The upshot was an agreement concluded on 28 February that opened the town to the partisans while allowing the Japanese to keep their arms. The next day Triapitsyn triumphantly entered Nikolae proclaimed Soviet rule, and arrested about 100 Russian officers (the garrison commander committed suicide).
Amid boisterous festivities Triapitsyn requisitioned homes, arrested community leaders, and executed the officers already in custody. On 10 March the partisan chief told the Japanese that they too must surrender their arms. With no way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world (Triapitsun controlled the telegraph), Major Ishikawa and Consul Ishida decided to launch a surprise attack on Triapitsyn's headquarters with all available Japanese military personnel and armed civilians. They struck early in the morning of 12 March, but Triapitsyn survived and counterattacked, killing most of the Japanese population, including Major Ishikawa. Consul Ishida committed suicide with his family. The 136 Japanese survivors, mostly women, children, and wounded, were imprisoned.
(……)
The Japanese sortie of 4-5 April, followed by relief expeditions from Khabarovsk and Otaru (Hokkaido), had fateful results for thousands of hostages in Nikolaevsk. As the relief forces drew near in the last days of May, the partisans put to death their 136 Japanese prisoners, slaughtered approximately 4,000 Russian men, women, and children, and after torching the town, herded a couple of thousand dazed survivors up the Amgun River to Kerbi. 11 When Japanese forces entered Nikolaevsk on 3 June, they found the town in ashes and the river clogged with bloated corpses. Amid journalistically fanned public outrage, Tokyo charged Moscow with responsibility and on 3 July announced that the Imperial Army was occupying northern Sakhalin until the “incident was resolved.
Triapitsyn's homicidal proclivities concerned Moscow only because their visibility jeopardized the success of its buffer strategy. By arousing a powerful neighbor that Lenin and Trotsky wanted to neutralize, Triapitsyn had made himself an unwanted witness whose testimony could prove embarrassing. Accordingly, Triapitsyn, his mistress Nina Lebedeva, and twentythree followers were quickly executed at Kerbi on 11 July after having been found guilty of murdering four Communists. The fate of over 4,000 Nikolaevsk residents was not mentioned in the proceedings. Judicial choreography did not deter Tokyo from raising the ante for withdrawing its forces from Russian territory.』[14]
2.1.2.2. Kurt Hackemer 교수의 1998년 논문
텍사스 A&M 대학 역사학 박사 겸 사우스다코타 대학 교수 Kurt Hackemer [15] 는 1998편에 게재한 니콜라옙스크 학살 논문 「The Nikolaevsk massacre and Japanese expansion in Siberia.」 에서 박사는 일관되게 본 사건을 학살이라 적고 있으며 트랴피친 측의 마지막 행동을 다음과 같이 적고있다.
트랴피친의 군대가 니콜라옙스크 학살에서 가능한 한 많은 도시를 체계적으로 파괴했다는 것이다.Triapitsyn's forces then systematically destroyed as much of the city as they could before the arrival of the Japanese and escaped, fleeing in scattered bands to the taiga. The largest body struck out for Blagoveshchensk, a city on the Amur controlled by the Far Eastern Republic.34 E. Ech, a journalist from Vladivostok, visited Nikolaevsk in the middle of July. He described what he saw: "Everywhere, as far as the eye could reach, there were only ruins of houses; here and there lonely house chimneys, the tall chimney of the blown up electric plant, half-sunken vessels .... Only on the outskirts of the town was smoke coming from the chimneys of houses that had fortunately survived. Of all the buildings within the town itself only the trade school and the prison (a stone building] remained intact.”35 On June 3, 1920, the Japanese relief force landed at Nikolaevsk. Russian survivors of the atrocities slowly returned to the city and and began to rebuild their lives, bringing the episode to a close.』[16]
2.1.3. 한국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가 반병률 교수와 함께 완성한 책에도 트랴피친 진영의 대규모 학살이 분명하게 서술되어 있다.
이 책은 일본인 학살을 부정하지만 약 3~4천명의 러시아인을 아이 어른 구분없이 학살한 사실을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다.1920년 1월 24일 빨치산군 사자使者가 일본군수비대에 와서 화평을 제의하였으나, 일본군수비대장은 빨치산군을 ‘하나의 강도단’이라고 간주하고 그 제의를 거절하였다. 뿐만아니라 수비대장은 이 사자를 헌병대에 유치하였다 러시아백위군의 방첩부에 넘겼고, 방첩부에서는 이 사자를 살해하였다. 2월 2일 러시아빨치산부대가 니콜라에프스크의 요충지인 취늬라흐요새를 점령하고, 일본군병영에 포격을 가했다. 블라고베시첸스크 주둔 일본군 백수白水 제14사단장의 반복되는 중립원칙 고수 훈령을 따르지 않던 일본군수비대는 2월 28일 러시아빨치산부대와 중립고수와 백위군의 완전무장해제를 핵심으로 하는 평화협정을 체결하였다. 이어 2월 29일 빨치산부대가 한인과 중국인을 비롯한 노동자·시민들의 환영을 받으며 니콜라예프스크항에 입성하였다. 러시아빨치산부대내에는 ‘니항군대’·‘사할린군대’또는 ‘박일리야군대’라 불리게 되는 약 500명에 달하는 한인부대가 편성되어 있었는데, 아무르강 주변의 금광에서 일하는 노동자금전꾼들이 주축을 이루었다. 빨치산부대는 소비에트를 조직하고 임시집행위원회를 설치하였으며, 백위파 옴스크정부의 관리·장교·자본가를 체포하여 재판에 회부하여 처형하였다. 3월 5일에는 백위군의 무장해제를 단행했다. 빨치산측이 3월 12일 정오를 시한으로 무기와 탄약의 인도를 요구하자, 일본군수비대와 영사관은 러시아빨치산부대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리하여 3월 11일 저녁 빨치산 본부에서 개최된 연회에 참석하였던 일본군수비대장 석천石川과 영사 석전石田은 12일 1시 30분 빨치산참모본부를 기습·공격하였다. 이 공격으로 트랴삐친은 수류탄에 발을 부상당하였고, 참모장 나우모프는 중상으로 입고 다음날 사망하였다. 곧이어 빨치산부대의 반격으로 2일만에 일본군은 대패하였고 3월 18일 항복하였다. 당시 아무르강에 정박하고 있던 중국함대 4척은 일본군을 공격하고, 일본영사관에 포격을 가했다. 당시 일본거류민들은 일본군과 함께 전투에 참여하였다가 거의 다 사망하였다. 즉 3월 12일의 제1차 니항사건에서는 러시아빨치산부대가 무고한 거류민을 학살한 것이 아니라, 전투과정에서 전사한 것이었다. 당시 일본군의 병력은 육군전투원 288명, 동비전투원 32명, 해군무선전신대 43명, 그외 재류민자위단, 재향군인으로부터 구성되었는데, 살아 남은병력은 100명거류민 13이었다. 3월 12일의 전투에서 일본인들은 러시아빨치산들에게 무방비상태에서 피살된 것이 아니라 전투에 참여하였다가 대부분이 전사한 것이었다.註23) 이 전투에서 살아남은 일본인 136명은 여자, 아이들과 부상자들이었고 이들은 감옥에 감금되었다. 註24)
(…)
이에 일본정부는 “일본인민의 생명을 보호한다”는 구실하에서 원동 무장간섭을 더욱 강화하였다. 아무르강의 통행을 가로막고 있던 얼음이 풀리기 시작하는 1920년 5월말 일본원정군의 입성에 임박하여 러시아빨치산부대는 니콜라예프스크항을 철수하면서 136명의 일본인 죄수들과 약 4천명의 러시아인어른, 아이들을 학살하였고, 도시를 완전히 불태웠다. 니콜라예프스크항에 입성한 후 일본은 7월 3일 북위 51도 이북 사할린을 점령하고 ‘니항사건’이 해결될 때까지 철수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였다. 註26)
1920년 4월 4~5일 밤에 일본군에 의한 연해주 각지에서 러시아혁명세력과 한인들에 대한 대대적인 학살과 공격은 니항사건에 대한 일본군의 보복적 반격의 성격이 강하다. 일본정부는 4월 9일 니콜라예프스크항구에의 증강된 군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하였다. 5월 중순이 되면서 아무르강의 얼음이 녹는 해빙기가 돌아오면서 니콜라예프스크항의 긴장이 고조되었으며, 트랴삐친의 빨치산부대는 니콜라예프스크로부터의 철수를 준비하였다. 러시아빨치산부대는 주민들을 암군강 계곡의 껠비촌으로 소개시켰으며 부대도 이 방면으로 퇴각하였다. 껠비촌에서 산을 넘어 아무르주의 브라고베시첸스크로 갈 예정이었다. 트랴삐친은 브라고베시첸스크로 들어가 이 지역의 막시말리스트들과 합류하여 원동공화국안완충국안을 반대하는 투쟁을 전개하기로 계획하였다. 철수직전인 5월 하순 트리야삐친은 엄청난 규모의 테러를 자행하여 3천명에 달하는 주민들을 처형하였으며, 5월 24~25일 감옥에 남아있던 130명의 일본인들을 처형하였다거류민은 12명, 나머지는 군인. 이어 5월 30일, 6월 1일~2일 니콜라예프스크 시를 방화하였다.』[17]
2.2. 증거
2.2.1. 생존자들의 증언
많은 생존자들이 트랴피친 측 학살을 증언하고 있다.
여러 증언을 러시아어였으나 트랴피친 군대가 벌인 학살의 생존자인 Anna Illinishna Lury의 손녀이자 니콜라옙스크 출신 실향민 Ella Lury Wiswell[18] 이 번역한 대량의 생존자들의 증언들로
Lieutenant-Colonel Mikhail Petrovich Grigoriev의 증언(Nikolaevsk-on-Amur, 23 July 1920, Lieutenant-Colonel Mikhail Petrovich Grigoriev)[19]
Sergei Dementievich Strod의 증언(Nikolaevsk-on-Amur, 13 August 1920, Sergei Dementievich Strod)[20]
Yakov Gdalievich Dobisov의 증언(Nikolaevsk-on-Amur, 22 July 1920, Yakov Gdalievich Dobisov)[21]
Abram Avshalumov의 증언(Nikolaevsk-on-Amur, 18 July 1920, Abram Avshalumov)[22]
Anatoly Pavlovich Avshalumov의 증언(Student in the sixth year of the Nikolaevsk Realschule, Anatoly Pavlovich Avshalumov)[23]
Anna Nikolaevna Bozhko(Nikolaevsk-on-Amur, 17 July 1920, Anna Nikolaevna Bozhko)[24]
Evgeny Ivanovich Vasilevsky의 증언(Nikolaevsk―on―Amur, 13 July 1920, Evgeny Ivanovich Vasilevsky)[25]
Sergei Ivanovich Burnashev의 증언(Nikolaevsk-on-Amur, 20 July 1920, Sergei Ivanovich Burnashev)[26]
Filip Terentievich Paturnak의 증언(Stolypino, 29 August 1920, F. Paturnak)[27]
Petr Yakovlevice Vorobiev의 증언(Nikolaevsk-on-Amur, 14 September 1920, P. Vorobiev)[28]
Priest Sergei Leporsky의 증언(Priest of Mago Village, Nikolaevsk-on-Amur, 20 July 1920, Priest Sergei Leporsky)[29]
Nikolai Konstantinovich Zuev의 증언(Nikolaevsk-on-Amur, 22 July 1920, Nikolai Konstantinovich Zuev)[30]
Pavel Semenovich Epov와 Pavel Petrovich Naletov의 증언(Nikolaevsk-on-Amur, 15 July 1920, Pavel Semenovich Epov, Pavel Petrovich Naletov)[31]
Georgy Bagratovich Vacheishvili의 증언(Nikolaevsk-on-Amur, 26 July 1920, Georgy Bagratovich Vacheishvili)[32]
Valentina Kvasova의 증언(Nikolaevsk-on-Amur, 26 July 1920, Valentina Kvasova)[33]
Iosif Rafailovich Bermant의 증언(Nikolaevsk-on-Amur, 29 July 1920, Iosif Rafailovich Bermant)[34]
Anna Ilyinishna Lury의 증언(Nikolaevsk-on-Amur, 21 July 1920, Anna Ilyinishna Lury)[35]
Raisa Yakovlevna Miller의 증언(Nikolaevsk-on-Amur, 22 July 1920, Raisa Yakovlevna Miller)[36]
Aleksei Afanasievich Melnikov의 증언(Nikolaevsk-on-Amur, 19 June 1920, Melnikov, Retired Councillor of State)[37]
Raisa Semenovna Akkerman의 증언(Nikolaevsk-on-Amur, 24 July 1920, Raisa Semenovna Akkerman)[38]
Maria Isidorovna Grosh의 증언(Nikolaevsk-on-Amur, 17 July 1920, Maria Isidorovna Grosh)[39]
Konstantin Aleksandrovich Emelianov의 증언(Nikolaevsk-on-Amur, 10 August 1920, K. Emelianov, Member of the Petropavlovsk Circuit Court)[40]
Iosif Iosifovich Mikhailik의 증언(Nikolaevsk-on-Amur, 8 August 1920, Iosif Iosifovich Mikhailik)[41]
Ekaterina Fedorovna Kotova의 증언(Nikolaevsk-on-Amur, 16 August 1920, E. Kotova)[42]
Andrei Antonovich Kovalik와 Matvei Ignatievich Neliubov의 증언(Nikolaevsk-on-Amur, 15 July 1920 , Andrei Antonovich Kovalik , Matvei Ignatievich Neliubov)[43]
Aleksandr Grigorievich Voropaev의 증언(Employed as watchman in the War Department, Port De Kastri, 9 July 1920 , Aleksandr Grigorievich Voropaev)[44]
Iosof Dimchin의 증언, (Nikolaevsk-on-Amur, 8 July 1920, Dimchin)[45]
Dmitry Ivanovicj Bulivar의 증언(Nikolaevsk-on-Amur, 17 August 1920, Illiterate. At Bulivar's personal request, signed by Vladimir Mihailovich Safailov)[46]
Ivan Egorovich Kazachkov의 증언(Nikolaevsk-on-Amur, 17 June 1920, Ivan Egorovich Kazachkov)[47]
Yakov Vasiliev의 증언(Nikolaevsk-on-Amur, 3 August 1920, Yakov Vasiliev)[48]
Yakov Mikhailovich Kaptzan의 증언(Nikolaevsk-on-Amur, 14 August 1920, Ya. Kaptzan)[49]
Gavriil Ivanovich Tugovtsov의 증언 ( Nikolaevsk-on-Amur, 17 July 1920, Gavriil Tugovtsov)[50]
Evdokim Stepanovich Bugaenko의 증언(Nikolaevsk-on-Amur, 20 August 1920, E. Bugaenko)[51] 들이 존재하며
1920년에 후버도서관에서 필사된 Anton Zakharovich Ovchinnikov의 기록 「Memoirs of the Red Partisan Movement in the Russian Far East, 1918-1920」[52] 이 존재하며
중국영사관에 머물러서 살아남은 George S. Dyer가 망원경으로 학살현장을 목격하고 증언한 기록(Statement of George S. Dyer, Caldwell to Colby, July 14, 1920, received August 25, 1920, RDS, 861.00/7290.)도 존재한다.[53]
2.2.2. 비볼셰비키 언론
1920년 7월 13일 블라디보스톡에는 비볼셰비키 위원회가 있었고 그들이 니콜라옙스크에 도착해서 사건을 조사했다. 이 때 블라디보스톡 기자인 E. Ech (V. Chilikin)가 같이 따라왔다. 그 기자는 거기서 현장을 조사하고 기사로 내보냈다. 다음이 그중 일부다.
다음은 그에 대한 영어번역본이다.
해당 영어에 대한 한국어 요약이다."Everywhere, as far as the eye could reach, there were only ruins of houses; here and there lonely house chimneys, the tall chimney of the blown-up electric plant, half-sunken vessels. . . . . Only on the outskirts of the town was smoke coming from the chimneys of houses that had fortunately survived. Of all the buildings within the town itself only the trade school and the prison remained intact. . . . . Almost no inhabitants were seen. Only when the steamer drew nearer, did lonely figures appear, all in black, all humped and bent. .... None of us had really entertained the thought that the destruction of the town could be as complete as it was.
“Having secured a pass from the Japanese command, I went ashore. .... The harbor shops and piers of ocean-going vessels .... were all destroyed as if they had been swept by artillery fire: heaps of brick and iron, naked steel rafters in the air. .... The lifesaving station and the steam crane were destroyed. . . . . A halfsunken barge loaded with rocks stood in the middle of the channel. We learned that along the entire channel barges were thus sunk in order to obstruct the passage of Japanese deep-sea vessels into port. .... Japanese flags waved over all the vessels and boats in the river harbor; Japanese signs were everywhere. Only one steamer, the ‘Vladivostok,' flew a Russian commercial flag. Japanese sentries, guards, patrols were everywhere and constantly crying: 'Rus! This was their way of demanding your pass. . . . . Every fifty paces the same ceremony was repeated. .....
“From fragmentary inquiries of survivors I have established the fact that even before he entered the city Triapitsyn had compiled 'black lists.' .... When these lists were exhausted, Triapitsyn issued another. . . . . The partisans began to kill all those families whose fathers, brothers, or sons had already been killed. . . . . After that, they began to murder anyone who was handy. .... They murdered even their own men .... for disobedience, for treason, etc.; in the Chnyrrakh fortress two companies of partisans were shot down simply because Triapitsyn did not trust them. .... The predominant element in Triapitsyn's forces were local and district peasants, then workers and hired Chinese and Koreans. His closest helper in everything and his Chief-of-Staff was Nina LebedevaKiashko, a woman of medium stature, about twenty-three to twentyfive years old. Nervous, agile, quickly irritated and yet conscious of her own acts and knowing something of office management .... Nina Lebedeva moved around the town armed to the teeth. She rode on horseback clad in a dark red leather suit, with two revolvers in her belt and a carbine on her back. Following her, also on horseback, went two or three partisans, as a bodyguard. ....
"One survivor said:
“'At first, when the talk of surrendering the city to the Reds began, all of us still believed and wanted to believe that perhaps the Reds were after all not as horrible as they were painted. . . . . But from the very first day we saw that we were trapped. The entrance of the Reds into town will never fade from my memory. Everywhere were red or black flags with legends :
“Down with bourgeoisie and officers.” “Down with the parasites of labor.”
“Vengeance is our duty,” and so forth. Arrests began during the first night after their entry. . . . . All those arrested were subjected to horrible; indescribable tortures. . . . . The partisans plundered, stole, laid waste everything. .. .. After the Japanese attack, when all arrested people were killed off, the terror reached its height. .... On the eve of the burning of the city, the partisans brought jars and kegs of kerosene to all wooden houses . . . . so that when the signal was given the terrible plan of Triapitsyn could be executed at once. ....
“ 'Labor duty consisted chiefly of loading rock into barges which were then sunk in the Amur channel to prevent the Japanese from entering the port.
“ 'Partisans killed children and choked them in the mother's presence, then, tying the mother and children together, threw them into the Amur—"so that she won't be lonely,” they said.
"'The chief of the prison, Jemaitis, distinguished himself by especial cruelty.
“'The partisans, always drunk, moved about the town and pursued women. ....
“'At the end of May the partisans began to send the wives and children of residents to the Amgun River district. .…
“ 'On June 1 and 2 inhabitants began to be driven to the Alekseevskaia wharf, allegedly in order to be sent to Kerbi, on the Amgun. .... These were mostly women and children. . . . . One man, who stayed in hiding under this wharf for several days, saw that from eleven o'clock at night and until dawn parties of forty to seventy people were brought to the wharf. Then and there, at the wharf, they were brutally murdered with rifle butts, sabers, bayonets. .... Later a special wooden “knocker” was invented. From one blow, a person lost consciousness and was then thrown into the Amur. ..., After a day's rest "the work” continued the next night.
“ 'This surviving witness .... crept from under the wharf only on the sixth day, for he saw that mines were being laid under the corners of the wharf. Later they were exploded with electric charges. All who were on the wharf perished.?"』[54]
신문 Delo Rossii의 특파원 N.Amursky은 생존자들을 최초로 만난 사람중 하나였는데 다음과 같이 기사를 내보냈다.“어디나, 눈이 닿을 수 있는 곳에는 주택의 폐허밖에 없다. 여기저기 외로운 집 굴뚝들, 폭파된 전기 공장의 높은 굴뚝, 반쯤 가라앉은 그릇들……마을 변두에서만 다행히 살아남은 집들의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었다. 마을 안에 있는 모든 건물 중에서 무역학교와 교도소만이 온전하게 남아 있었다.……대부분의 주민들은 보이지 않았따. 기선이 가까이 다가왔을 때 비로소 외로운 형상이 나타났는데, 모두 검은 옷을 입고, 모두 웅크리고 구부러져 있었다..……우리중 누구도 도시의 파괴가 그만큼 완전할 수 있다는 생각을 진정으로 즐기지 못했다.
(……)
나는 생존자들에 대한 단편적인 조사를 통해 그가 도시에 들어오기 전부터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명단이 모두 소진되었을 때 트랴피친은 또 다른 명부를 발행했다.……유격병들은 아버지가 형제나 아들이 이미 살해된 그 모든 가족들을 죽이기 시작했다..……그후 그들은 손재주가 있는 사람은 누구나 살해하기 시작했다..……그들이 심지어 본인들의 부하들까지도 죽였다. 불복종, 반역 등을 이유로. 츠니라흐 요새에서 뜨랴피친은 두 명을 믿을 수 없다는 이유만으로 유격병 두 사람을 쏘았다...……뜨랴삐친의 세력에서 지배적인 요소는 지방 농민과 지역 농민, 노동자와 중국인과 조선인이었다.
한 생존자가 말했다.
처음에 빨갱이들에게 도시를 내주다는 이야기가 시작됐을 때, 우리 모두는 여전히 빨갱이들이 그림처럼 끔찍하지는 않다고 믿고 싶어했다. 그러나 우리는 첫날부터 우리가.… 갇힌 것을 보았다. 빨갱으들의 마을 입구는 내 기억에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모든 곳에는 붉은 깃발이나 검은 깃발에 다음과 같은 문구들이 있었다.: "부르주아지와 장교들을 함께 쓰러뜨리자" "노동자의 기생충을 쓰러뜨리자", "복수는 우리의 의무다" 등등. 체포는 그들이 들어온 후 첫날 밤동안에 시작되었다.….…체포되는 모든 사.…람들은 끔찍하고, 형언할 수 없는 고문을 당했다..….…유격병들은 모든 것을 약탈하고, 훔치고, 낭비했따. 일본군의 공격 이후 체포된 사람들이 모두 살해당하자 공포는 극에 달했다...….…도시가 불타기 전날, 유격병들은 모든 목조 가옥에 등유 항아리와 등유 통을 가지고 와서 신호가 가면 뜨랴삐친의 끔찍한 계획인 곧바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의무가 된 노동은 주로 바위를 바지선에 적재한 다음 아무르 강 수로에서 침몰시켜 일본인이 항구에 들어 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유격병은 아이들을 죽이고 어미니의 면전에서 질식시킨 다음 어머니와 아이들을 함께 묶어 아무르 강에 던져버렸습니다. "그 어머니는 외롭지는 않을 것이다.”
감옥의 우두머리인 Jemaitis는 특별한 자신함으로 자신을 구별하게 하였다.
유격병들은 항상 술에 취해 마을을 돌아다니며 여성을 쫒았습니다.….…
5월 말에 유격병들은 아내와 자녀들을 암군 강으로 보내기 시작했다.
6월 1일과 2일, 주민들은 암군에 있는 케르비에 보내지기 위해서라고 알려진 Alekseevskaia 부두로 몰리기 시작했다.….…이들은 대부분 여자와 아이들이었다. 며칠동안 이 부두 밑에 숨어있던 한 남자는 밤 11시부터 새벽까지 40~70명의 사람ㄷㄹ이 부두로 끌려오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부두에서 그들은 소총 개머리판, 기병도(sabers), 총검으로 잔인하게 살해당했다.….…후에 특별한 나무"knocker"가 발명되었다. 한사람이 한대 얻어맞고 의식을 잃고 나서 아무르강으로 던져졌다.….…하루동안 휴식을 취한 다음 날 밤에도 '일'은 계속되었다.
이 생존한 증인은 엿새째 되는 날에야 부두 밑에서 살금살금 도망쳤다. 그는 부두에 지뢰가 깔리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뒤에 그것들은 전기로 폭발했다. 선창에 있던 사람들은 모두 죽었다.』
『The Bolsheviks who killed children had a special theory to justify this: whenever parents are killed, it is necessary to kill any children over five years of age. Before that age they can forget. But if a child over five is left alive, he will, in time, seek revenge, so the Bolsheviks reasoned. And thus, children died along with their parents.
There is a dreadful story about how the execu-tioners would grab a child by his legs and kill him by hitting his head against the walls or against the floor.
I had a chance to talk to one of the students from the boys' school. According to him, out of 360 students in the school, not more than 50 were left. It is true that some of them were forced to go to Amgun, but there is no doubt that many perished in Nikolaevsk. Many students from the girls' school are also missing. Their fate was even more pathetic... Many children were drowned in the Amgun River. Children in the orphanage were loaded on a barge, taken to the middle of the river, and thrown overboard.
There are many cases where large families with several small children were killed. On one lot in town, where everything had burned down, there stands a large cross with an inscription indicating that seven people were killed there- a mother with her six children.
A student, Naletov, related that his father, his mother, and his small sister and brother were all taken away together to be shot.
But most eloquent of all are the small corpses washed up to the surface. When the corpse of Mrs. Nazarova, the owner of a schooner, was found, children were tied to her arms and legs. Three of the small bodies were still attached, but a knot on the arm indicated that a fourth child must have been attached and fallen off.』[55]
2.2.3. 볼셰비키 진영
볼셰비키 진영 내부에서도 이 사건을 문제삼았다. 케르비 읍의 군사회의 전권위원 베즈드닌은 니콜라옙스크 학살사건을 알게 됐고, 윗사람들을 상대로 이 사건이 어찌된 것인지 제대로 된 해명을 요구하였다.
군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도시에 주민들을 남기지 않았으며, 일본 포함들의 접근으로 야기된 후퇴 때 도시는 불탔고 큰 건물들과 치니라흐 요새는 폭파되었습니다. 마지막 부대들과 남은 주민들은 6월 2일 타이가로 퇴각하였으며, 3주간 유랑 끝에 우딘스크 창고 쪽으로 나갔습니다. 5월 22일 니콜라옙스크 시에서 군사혁명재판소가 해산되었고, 이 날부터 6월 2일까지 대중 테러가 전개되어 수많은 부르주아 및 반(半)부르주아 가족들과 우익사회주의 활동가들, 심지어 소비에트 권력의 지지자들까지 희생되었습니다. 동시에 이러한 테러가 암군 강변 부락들에서도 전개되었으며, 아이들도 죽음을 당하였습니다.
이 사건들은 지금 완전히 해명되지 않고 있으며, 길고 세밀한 해명을 요구합니다.
(……)
1920년 9월 8일 케르비 읍에서.
군사회의 전권위원 베즈드닌[56]
3. 아나키즘과 독립운동
트리피챤의 군대는 아나키스트 성향의 적군이었다.
금속노동자 출신인 트랴피친은 니콜라예프스크의 공격을 지휘하게 되었는데 그는 20대의 매력적이고 카리스마적인 인물이며 '''무정부주의에 경도되어 있었다.'''
권희영, 자유시 사변 연구, 한인 사회주의 운동연구, 서울 : 국학자료원, 1999, 176~177
신생 소비에트 국가에서 완충국가의 성격을 지닌 극동공화국을 수립해야할 필요성을 보다 확시킨 계기는 1920년 3월에 발생한 소위 '니콜라옙스크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무정부주의적 극단주의자인 트랴삐찐의 지도하에 일련의 빨치산 부대와 이 지역에 주둔해 있는 일본군 수비대와의 무력충돌로 인한 민간인 희생이 발생한 일이다.
홍웅호, 극동공화국 건설에 나타난 소련의 동아시아정책의 한 단면, 大東文化硏究(Journal of Eastern studies ) Vol.0 No.52 [2005], 408 #
'''러시아빨치산부대는 금속공 출신의 아나키스트 트랴삐친Ya Triapitsyn'''·레베데바N.Lebedeva Kiyashko·나우모프Naumov등이 이끌고 있었다.
반병률,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49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천안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1920년 1월 하순 '''무정부주의자를 자처'''했던 야곱 트랴피친이 지휘하는 약 4천명의 빨치산 부대는 니콜라옙스크에 대한 포위공격을 시작했고, 빨치산과 일본군은 2월 말 휴전에 합의하였다.
이완종, 2014, 『러시아문서 번역집 14』,선인, 8쪽 부흥카페 재인용
원문'''아나키스트 야코프 1세의 게릴라 부대'''. 소비에트 정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트라이아피친은 1920년 1월 이 도시에 접근했다. 일본 수비대와 합의가 이루어졌고, 부대는 입국이 허용되었다. 그러나 붉은 게릴라들과 지역 주민들의 평화로운 공존은 지속되지 않았고, 곧 군인들은 체포되어 처형된 백인 운동에 동조하는 개인들을 사냥하기 시작했다.
The guerrilla unit of the anarchist Yakov I. Tryapitsyn, who formally recognized the Soviet regime, approached the city in January 1920. An agreement was reached with the Japanese garrison, and the unit was allowed entry. The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Red guerrillas and the local population did not last, however, and soon the soldiers launched a hunt for individuals sympathetic with the White Movement, who were arrested and executed.
Sergey V. Grishachev · Vladimir G. Datsyshen, 「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and Japanese Troops in Russia’s Far East, 1918–1922」, 『A History of Russo-Japanese Relations.』, Brill, 2019, 145 부흥카페 재인용
적백내전에 일부 아나키스트가 적군 소속으로 활동한 건 학계에서 오래전부터 인지된 사실이다.'''사할린 유격부대의 다른 경향을 갖는 '상해파' 유격대 지도자들은 아나키스트 트랴피씬이 이끄는 테러군의 핵심 돌격대가 되어, 1919-1920 년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와 사할린주 민간인 학살에 적극 참여했다.'''
A.G. 테플랴코프, 「네스토르 칼란다리시빌리(Nestor Kalandarishvili)(1876–1922)의 초상화: 형사범이자 모험가, 파르티잔, 붉은군대사령관 」,
DOI: 10.31518/2618-9100-2018-1-4
УДК: 63.3(571.51/.55/.621)94(47)
A.G. 테플랴코프 = 테플랴코프 알렉세이 게오르기예비치 –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시베리아지부 역사연구소 선임연구원, 역사학준박사, 노보시비르스크 국립경제경영대학교 부교수. E-mail: teplyakov-alexey@rambler.ru
원문:
Тепляков Алексей Георгиевич, 2018,「К ПОРТРЕТУ НЕСТОРА КАЛАНДАРИШВИЛИ (1876-1922): УГОЛОВНИК-АВАНТЮРИСТ, ПАРТИЗАН И КРАСНЫЙ КОМАНДИР」, Текст научной статьи по специальности «История и археология», 47~51쪽 (https://cyberleninka.ru/article/n/k-portretu-nestora-kalandarishvili-1876-1922-ugolovnik-avantyurist-partizan-i-krasnyy-komandir )
볼셰비키에 대한 적극적 저항에서 수동적 중립성 또는 열렬한 참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견들이 속출했다. '''심지어 일부 아나키스트들은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결국에는 다수의 아나키스트가 백군에 포위당한 볼셰비키 정권에 다양한 지지를 보냈다. 아나코 생디칼리스트들은 대부분 공식적으로 볼셰비키와 제휴했으며 그들 중 일부는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비판했던 사람들은 적극적인 비난을 삼가고 우익의 해악성이 제거될 때가지 ‘제3의 혁명’을 연기했다. 심지어는 가장 호전적인 아나키스트 공산주의자들중에서도 다수의 사람들이 레닌의 당과 운명을 같이했다'''. 그러나 여전히 반대자들이 더욱 많았으며 마지못해 비우호적 중립을 지키는 분파가 있었고, 더 심한 경우 몇몇의 아나키스트 공산주의자 그룹은 이러한 위험한 상황에서도 볼셰비키를 인정하지 않은 채 ‘사회적 흡협귀’를 즉각 전복할 것을 호소했으며 (브리안스크 연합처럼), 또는 지하 아나키스트들의 경우처럼 공산당 관리들에 대한 테러리즘 운동을 벌이는 아나키스트들도 있었다.
폴 애브리치 지음, 예문 편집부 옮김, 1989, 『러시아 아나키스트 1917』, 도서출판 예문, 120쪽 부흥카페 재인용
빌 샤토프가 그 점에 있어서 가장 뚜렷한 인물이었다. 내란이 벌어지는 동안 샤토포는 10월 봉기 당시 군사혁명위원회 의원으로 보여주었던 것과 똑같은 열성으로 레닌 정부에 봉사했다. 1919년 가을, 적국[붉은군대] 제10사단의 장교로서 그는 이우데니치 장군의 침입에 대항하여 페트로그라드를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20년 그는 아나키스트와 친밀한 급진주의자 알렉산드르 크라스노슈체코프에 의해 치타로 소환되어 극동공화국의 운송상이 되었다.
[중간생략]
'''샤토프 외에도 많은 유명한 아나키스트들이 적군[붉은군대]에 복무했다. 테러와 반란의 경력으로 유명했던 위스틴 주크와 아나톨리 젤레즈니아코프를 포함해서 적지 않은 사람들이 전투에서 죽었다'''. 군수품 수송대의 지휘관인 젤레즈니아코프는 1915년 7월[1915년은 편집자 오타임] 데니킨 포병대의 포화에 의해 에카테리노슬라브 근방에서 살해되었다. '''소비에트 중앙 집행위원회의 알렉산드르 게는 체카의 고급 간부로 일하던 코카서스에서 백군의 군도에 찔려 죽었다.'''
폴 애브리치 지음, 예문 편집부 옮김, 1989, 『러시아 아나키스트 1917』, 도서출판 예문, 121~123쪽 부흥카페 재인용
1918년 1월, 의원내각제에 대한 강렬한 적의로 무장한 아나키스트들이 전투분견대를 이끌고 제헌의회를 해체시켜 버림으로써 단 하루만에 그 생명을 끊어버린 것은 매우 상징적인 일이었다. '''볼셰비키 신정부의 명령에 따라 타우리제궁서의 수비대장으로서 새로 임명되어''', 크론스타트 해군기지로부터 온 수병 젤레즈니아코프는 위협적인 코멘트와 함께 빅토르 체르노프를 해임했다. “당신은 너무 지쳤소.”
폴 애브리치 지음, 예문 편집부 옮김, 1989, 『러시아 아나키스트 1917』, 도서출판 예문, 65쪽 부흥카페 재인용
사할린 부대(니항군대가 주도한 대한의용군)에게도 아카니스트 성향이 있었다.10월 혁명 후 젤레즈니아코프는 타우리제 궁을 지키는 수비대장―한 목격자의 설명에 따르면 “어깨를 가로질러 딴띠를 요염하게 걸치고 벨트에는 수류탄을 눈에 띄게 매달고 있던―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그는 ('''볼셰비키의 명령에 따라) 제헌의회의 수명을 끝장냈다'''. 이 모든 게 그의 능력이었다.
아나키스트가 이 역할을 맡았던 건 적절해 보인다. 아나키스트들은 모든 정부의 반대자로서 짜르주의자와 프롤레타리아의 독재를 거부했던 것만큼 열렬하게 대의민주주의도 대체로 거부했기 때문이다. 프루동이 말했듯이 보통선거권은 반혁명이고 의회는 기만과 타협의 소굴이며 중·상류계급이 노동자와 농민을 지배하기 위한 수단이어다. 소수의 예외(그 중 한 명이 크로포트킨)가 있지만 아나키스트들은 자신들이 다른 혁명집단의 “의회물신주의”라고 부르던 입장을 비난했고 처음부터 공개적으로 제헌의회를 비판했다.
폴 애브리치 지음, 하승우 옮김, 2004,『아나키스트의 초상』,도서출판 갈무리, 188~189 부흥카페 재인용
트랴피친의 활동에 참여한 한인 군대는 니항군대로 불리며 이들은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한 부대였다.세계 혁명의 화염을 불식시키기 위해 한국으로 갈 생각을 진지하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할아버지'의 공적은 '''무정부주의 사할린부대가 해산되는 것으로 그치고 말았다'''.
Тепляков Алексей Георгиевич, 2018,「К ПОРТРЕТУ НЕСТОРА КАЛАНДАРИШВИЛИ (1876-1922): УГОЛОВНИК-АВАНТЮРИСТ, ПАРТИЗАН И КРАСНЫЙ КОМАНДИР」, Текст научной статьи по специальности «История и археология», 47~51쪽 (https://cyberleninka.ru/article/n/k-portretu-nestora-kalandarishvili-1876-1922-ugolovnik-avantyurist-partizan-i-krasnyy-komandir )
니항군대가 독립군이란 것은 '''교육부 산하 공공기관(기타공공기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도 인정하는 팩트다.'''
이들의 목적은 독립운동이였고 '''민족주의 성향의 무장단체였다.'''니항 부대
1920년 3월 조직되어 러시아 연해주 니항 전투에 참여한 '''재러 한인 독립군 부대'''. #
원문니콜라예프스크에 살고 있는 한국인들과 그 주변은 주로 채소밭 정원사들이었다. 단지 몇몇만이 상업에 종사했고, 몇몇은 부유한 가정에서 미숙련 노동자로 일했다. 일부 한국인들은 비밀 증류를 계속했다. 러시아 국민들은 평소의 관행에 따라 한국인들에게 우호적이었다. 충돌이나 오해는 없었다. 천성적으로 열심히 일하면서 그들은 러시아 정치 사건에 무관심했고 볼셰비즘에 관심이 없었다.
중국인처럼, 한국인들은 사업가들 중 한두 명만 제외하고는 마을을 보호하는 자원 봉사에 참여하지 않았다.
볼셰비키는 마을을 점령한 후 한국인들을 그들의 편으로 끌어들이기 시작했다. 이들은 한국인들의 영향력을 이용해 한국을 일본으로부터 해방시키는 대가로 약속한 볼셰비키의 활동에 참여하도록 설득한 한국 교사 박모씨와 접촉했다.
'''민족주의 구호에 감염된 한국 젊은이들'''은 '''소비에트 러시아가 일본 억압의 멍에에서 한국 국민을 해방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약속한 박의 선동적인 연설에 응했다'''. 그 결과 한국사회가 조직되었는데, 한국사회는 한국을 해방시키고 볼셰비즘 사상을 한국민 전체에 전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협회는 적군본부와 협상을 벌여 한국사회가 군사분견을 조직하고 무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정식 조약을 체결했다. 이 분리는 결국 한국으로 보내질 예정이었다. 그때까지 그들은 볼셰비키의 반대자들에 대한 트리아피친의 투쟁에 참여하여 별도의 한국 분리로 적군 본부의 처분을 받게 되었다. '''한국이 독립국가가 될 때까지 적군의 지원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이 조약은 붉은 군대 본부와 한국 사회 수반을 위해 Triapitsyn, Nina Lebedeva Kiashko 및 Sluchainyi가 서명했습니다.
조약이 체결되자마자 새로 결성된 한국 분리는 자원 봉사자들을 가입시키기 시작했다. 첫 주에 300명이 합류했다. 한국 분리는 중국인과 함께 트라이아피친과 그를 둘러싼 사람들이 대담하고 두려움없이 니콜라벡을 지배할 수 있었던 주요 세력을 대표했다. 농민들 사이에서 모집된 당파들은 항상 어느 순간에나 가장 강한 쪽으로 건너갈 준비가 되어 있었기 때문에 덜 안정된 요소였다. 트리아피친은 그들의 기분과 소망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트라이아피친의 지휘하에 한국과 중국 분리는 항상 당파간의 불만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것이 바로 4월 20일경에 일어난 일이다. 한국군 분리는 적군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군사 부대로 간주되었다. 규율은 매우 엄격했다.
5월 1일 이후, 트리아피친이 러시아 당파의 충성심을 의심하게 되었기 때문에, 감옥과 경비대의 경비원들은 한국과 중국 분리대에서 모집되었다.
책임직도 한국인들로 채워졌고, 공정하게 말하면 경호업무를 훌륭하게 수행했다. 그들은 죄수들에게 어떠한 면죄부도 주지 않았다. 농민 당파의 관행과는 달리, 그들은 결코 자리를 떠나지 않았고 근무할 때 항상 술이 깼다.
'''이들이 스스로 맡은 의무를 수행하는 데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는 이 분견대는 조국을 사랑하며 볼셰비키만이 그들을 도울 수 있고, 오직 그 도움으로만 한국이 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진심으로 믿었던 젊은 한국인들로만 구성되었다는 사실에 의해 설명된다.'''
한국 당파들은 징발, 몰수, 약탈, 강압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들은 의심할 여지 없이 트라이아피친의 손에 졸개들이 있었다.
* * *
'''니콜라예프스크의 대피와 마을의 파괴 동안, 중국과 한국의 분리는 트라이아피친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 사형을 집행하는 데 있어서 한국인과 중국인이 가장 큰 사형 집행자였다.''' 5월 초부터 트라이아피친은 더 이상 농민 당파를 신뢰하지 않고 한국인에게만 책임 있는 임무를 부여했다.그들은 Triapitsyn과 함께 Kerbi로 떠났고, 일부는 타이가에 흩어져 있었고, 다른 일부는 붉은 분리를 따라 Blagoveshchensk로 갔고, 그들은 붉은 군대에 합류했습니다.
The Koreans living in Nikolaevsk and its environs were primarily vegetable gardeners. Only a few were engaged in commerce, while some worked as unskilled laborers in wealth-ier households. Some Koreans carried on clandestine distilling. The Russian people, according to their usual practice, were friendly toward the Koreans; there were no clashes or misunderstandings. Hard-working by nature, they were indifferent to Russian political events and had no interest in bolshevism.
Like the Chinese, the Koreans did not participate in the volunteer force protecting the town, except for one or two individuals from among the businessmen.
After occupying the town, the Bolsheviks set out to attract the Koreans to their side. They contacted a Korean teacher, Pak, who, taking advantage of his influence among the Koreans, persuaded them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the Bolsheviks who promised in exchange to help liberate Korea from the Japanese.
Korean youths, infected by nationalist slogans, res-ponded to the inflammatory speeches of Pak, who promised that Soviet Russia would help to liberate the Korean people from the yoke of Japanese oppression. As a result, a Korean Society was organized, whose aim was to free Korea and to spread the ideas of bolshevism throughout the Korean population. The Society entered into negotiations with Red Army Headquarters and signed a formal treaty, which permitted the Korean Society to organize military detachments and acquire arms. These detachments were to be sent eventually to Korea. Until then they were to take part in Triapitsyn's struggle against the opponents of the Bolsheviks and be at the disposal of the Red Army Headquarters as a separate Korean detachment. Red Army assistance would not cease until such time as Korea became an independent state.
The treaty was signed by Triapitsyn, Nina Lebedeva Kiashko, and Sluchainyi for the Red Army Headquarters and by the head of the Korean Society.
As soon as the treaty was concluded, the newly formed Korean detachment began signing up volunteers. Three hundred joined during the very first week. The Korean detachment, along with the Chinese, represented the main force with which Triapitsyn and the people surrounding him were able to dominate Nikolaevek, boldly and without fear. The partisans recruited from among the peasants were a less stable element, because they were always ready to crossover to the side which was strongest at any given moment, a situation that made it necessary for Triapitsyn to consider their moods and wishes.
At Triapitsyn's command, the Korean and Chinese detachments could always suppress discontent among the partisans. This is exactly what happened around 20 April. The Korean detachment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reliable military unit of the Red Army. Discipline was very strict.
After 1 May, the guards at the prison and the guardhouse were recruited from the Korean and Chinese detachments, because Triapitsyn had become suspicious of the loyalty of Russian partisans.
Responsible posts were also filled by Koreans, and, to be fair, they carried out their guard duties excellently. They did not permit any indulgences to the prisoners. Contrary to the practice of the peasant partisans, they never left their posts and were always sober when on duty.
The attitude of the Koreans toward performing the duties which they took upon themselves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detachments consisted exclusively of young Koreans, who loved their motherland and sincerely believed that only the Bolsheviks could help them and that only with that help could Korea obtain its freedom.
Korean partisans did not take part in requisitioning, confiscating, plundering, or coercing. They were unquestioning pawns in the hands of Triapitsyn.
* * *
During the evacuation of Nikolaevsk and the destruction of the town, the Chinese and Korean detachments were of great service to Triapitsyn. The Koreans and the Chinese were the chief executioners in carrying out the mass death sentences. From the beginning of May, Triapitsyn no longer trusted the peasant partisans and gave responsible duties only to the Koreans. They left with Triapitsyn for Kerbi, where some of them scattered into the taiga, while others went along with the Red detachments to Blagoveshchensk, where they joined the Red Army.
Anatoly Yakovlevich Gutman 지음, Ella Lury Wiswell 번역 겸 서문, Richard A. Pierce 편집, 1993,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Alaska Limestone Press, 122-124쪽 부흥카페 재인용
원문4월 말 무렵, 일본인의 진격에 관한 전보가 도착하기 시작했고, 방어를 위한 조치가 취해졌다. 분리가 강화되고 그들은 한국인들을 훈련시키기 시작했다. 공교롭게도 후자와 합의가 이루어졌는데, 이에 따라 러시아 영토에 군대를 구성하고 훈련시키는 대가로, 그들은 '''나중에 한국의 독립을 얻는 데 도움을 주겠다고 약속받았다'''. 동시에 전체 인구가 동원되었다.살인과 사격은 약간 축소되었지만 계속되었고, 처형 전에 문장이 발표되었다.
'''니항군대는 민족주의 성향이었으며 조국인 한국을 사랑했고 조국을 일본으로부터 해방시키기위해 적군에 협력한 집단이었다.'''Toward the end of April, telegrams concerning the advance of the Japanese began to arrive, and measures for defense were taken. The detachments were reinforced and they began to train the Koreans. Incidentally, an agreement was concluded with the latter, according to which, in exchange for their assistance, they would be allowed to form and train an army on Russian territory, and they were promised help in obtaining the independence of Korea later. At the same time the entire population was mobilized. Killing and shooting continued, although on a slightly reduced scale, and sentences were announced before execution.
“TESTIMONY OF EVGENY IVANOVICH VASILEVSKY, Former Tax Assessor in the Nikolaevsk District”, Evgeny Ivanovich Vasilevsky, Nikolaevsk―on―Amur, 13 July 1920, Anatoly Yakovlevich Gutman 지음, Ella Lury Wiswell 번역 겸 서문, Richard A. Pierce 편집, 1993,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 Alaska Limestone Press, 237쪽 부흥카페 재인용
그리고 이들은 '''이동휘가 지휘한 상하이파 소속이었고 만주에 인맥이 있는 집단이었다'''.
그리고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의 학술서에 의하면 박일리야가 주요인물인 대한의용군은 1921년 3월까지 '''상해임시정부를 봉대했다고 설명하고 있다.'''1920 년 가을, 일본의 식민지개척자들과 전투를 벌였던 4 천여 명의 '''한인 유격대원들이 북만주에서 아무르주로 넘어갈 무렵''', 코민테른 극동사무국장 슈먀츠키는 이르쿠츠크에서 조선혁명군을 훈련하고, 만주를 통해 시베리아에서 한국으로 향하는 전승 행군을 조직하는 모험적인 계획을 완성했다. 그는 칼란다리시빌리의 지휘 하에 조선혁명운동의 거점을 이르쿠츠크에 구축하는데 착수했다. 러시아로 건너온 폭동의 한인 상당수는 이르쿠츠크로, 나머지는 상해 혁명파로 방향을 잡았다. 반면, '''사할린 유격부대의 다른 경향을 갖는 '상해파' 유격대 지도자들은 아나키스트 트랴피씬이 이끄는 테러군의 핵심 돌격대가 되어, 1919-1920 년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와 사할린주 민간인 학살에 적극 참여했다.'''
A.G. 테플랴코프, 「네스토르 칼란다리시빌리(Nestor Kalandarishvili)(1876–1922)의 초상화: 형사범이자 모험가, 파르티잔, 붉은군대사령관 」,
DOI: 10.31518/2618-9100-2018-1-4
УДК: 63.3(571.51/.55/.621)94(47)
A.G. 테플랴코프 = 테플랴코프 알렉세이 게오르기예비치 –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시베리아지부 역사연구소 선임연구원, 역사학준박사, 노보시비르스크 국립경제경영대학교 부교수. E-mail: teplyakov-alexey@rambler.ru
원문:
Тепляков Алексей Георгиевич, 2018,「К ПОРТРЕТУ НЕСТОРА КАЛАНДАРИШВИЛИ (1876-1922): УГОЛОВНИК-АВАНТЮРИСТ, ПАРТИЗАН И КРАСНЫЙ КОМАНДИР」, Текст научной статьи по специальности «История и археология», 47~51쪽 (https://cyberleninka.ru/article/n/k-portretu-nestora-kalandarishvili-1876-1922-ugolovnik-avantyurist-partizan-i-krasnyy-komandir )
대한의용군과 고려혁명군의 정치적 차이
대한의용군: 상해임시정부 봉대(21.3까지)
고려혁명군: 대한국민의회 봉대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독립군과 광복군 그리고 국군, 서울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7, 98쪽
4. 사건의 주체
니항 사건을 일으킨 주체는 트랴피친(뜨랴삐친) 부대라고 알려져 있다.
트랴피친은 러시아 제국 육군 출신 군인이며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일을 하며 지냈다고 한다. 그러다 시베리아 내전 상황을 보자 봉기를 일으킬 결심을 한다. 자신의 애인 레나를 포함해 뜻이 맞는 동지를 모은 후 봉기를 일으켜 세력을 모았고 "흑룡강"(아무르 강)을 들어올린다는 이야기가 돌만큼 세력을 키운다. 그러한 과정에서 수찬에서 자치를 요구했으나 거절당하자 니항으로 갔다는 것이다.
하바로프스크와 니콜라예프스크 중간쯤 지점에 쏘피아라는 조그마한 어촌에서는 단념 22세의 뜨래삐진이라는 청년이 있었다. 키가 후리후리하고 살빛이 약간 갈황색이어서 얼른 보기에는 길기스 아니면 우즈베크종인듯한 청년, 코가 그리 높지는 않지만 날카롭게 생간 콧날은 그의 강직을 말하고 움푹 패인 두 눈에서는 불꽃이 튀는듯, 머리는 흑각색, 나이는 30세 안팎이나 되어 보이는 청년, 그가 바로 한때 흑룡강물을 거슬려 올린다는 소문까지 퍼뜨린 괴웅이다.… 뜨래삐진은 제1차 대전시에 그의 조국을 위하여 종군하였다가 종전 후에 귀향하여 우울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자기 고향에 돌아와 보니 들리는 소식은 일본군이 시베리아로 출병하여 멀리 일크쯔끄까지 점령하리라는 소식이다. 아무리 자기 조국이 패전국이라 할지라도 원숭이 같은 일군[57]
에게 점령을 당한대서야 참을 수 없는 분통이 터지는 것이다. 그는 자기의 애인 레나에게 자기의 심정을 토론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의 애인 레나는 자기 고향에서 소학교 교원으로 있었다. …그들은 비밀리에 자기네들과 뜻을 같이 할 수 있는 5인이 동지를 구하자가 돌연 행동을 개시한 것이다. 그들은 촌락을 기습하고 청장년을 모집하고 동시에 부유한 집에서는 무기와 식량을 징발하였다. 이렇게 흑룡강 하류로 내려가면서 동일한 방법으로 무기와 군인들을 마구 모집하였다. 당시 러시아 청년들은 대개 출전하였던 군인 출신이오, 시베라이 북극 지대에서 기나긴 겨울의 주야를 농촌이나 어촌에서 보내는 것이 무료하던 차에 뜨래삐진 일파들의 애국적이고 모험적인 협객 활동에 가담하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다. 그뿐 아니라 그들도 뜨래삐진과 마찬가지로 군대 생활에서 또는 전선에서 구체적으로 무슨 사상, 무슨 주의는 모르지만 제정 러시아의 썩어빠진 탐관오리들의 횡포…일러 전쟁 이후로 가장 멸시하는 일본 군대까지 자기네 영토에서 우쭐대는 것을 보고는 숨이 막힐 정도로 저기압 상태에 처해있는 그들에게 '이놈의 세상을 때려부시자!'하는 뜨래삐진의 선동 구호에 공명하게 된 것은 무리가 아니다. 자기 집에 있는 연발 총이나 엽총이나를 되는대로 들고 뜨래삐진의 뒤를 따르는 것이었다. 흑룡강변 부락에서 월동하던 우리 나라 사람들도 백여명이 뜨래삐진의 무장 집단에 가담하였다.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1 ~ 322
니꼴라예프스끄 전투에서 총지도자 뜨라비찐은 제정 로시아 시대에 니꼴라예프스끄 도시에서 포병 대장으로 5년 ~ 6년 동안을 복무하던 사람으로 1917년경에 제대하여서 빼젤르부르크에 있으면서 10월 혁명의 영향을 받아서 혁명 운동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1920년 가을에 뻬젤부르크로 붙어 떠나서 자기가 그전에 복무하면서 낯익은 지대 니꼴라예프쓰크에 가서 혁명 운동을 하기로 결심하고서 동지 3명으로 작반하여서 발정하엿다.
혁명 당시에 파괴된 철도 교통을 천신만고로 치따시에 도착하여서 몇을동안 류숙하면서 당시 치따 총독인 크냐세프의 양딸 레베지에파와 상교 - 결혼하여 가지고 려자와 동행하게 되엿다. 그 려자는 고등 상식을 소유하엿으며 혁명적 학식과 사상이 풍부하엿으며 당시 치따에서 미인이란 칭호를 받던 녀자이다.
홍파, 니꼴라옙스크 사변,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112쪽[58]
이런 과정에서 니콜라옙스크 지역 빨치산들은 만나 연합을 한다. 반병률 교수에 따르면 1919년 11월 2일 하바롭스크 교외 아나스타시에프카(Anastas’evsk)촌에선 인근의 빨치산 부대들의 대표자 협의회가 개최됐는데 이 협의회에선 니콜라옙스크 항구를 "해방"하기 위해 부대 재편성이 결의되었다 한다.[59] 이 때 트랴피친이 참여한 건지, 아니면 이 때 재편성된 빨치산 부대들과 연합한 건지는 불명확하다.1919년 4월 블라지보스또그시에 있는 무정주의 무리가 약 30명이 있었는데 그들은 쑤찬으로 와서 그의 우두머리가 쑤챤의 지도자에게 자기들에게 모든 자유와 완전한 자치 권리를 달라고 강요하였다. 거절을 당하자 드랴삐찐은 자기의 무리를 거느리고 하바로프스끄 근처에 있는 니꼴라예프스끄 시에로 갔다,"
일휴호브, 싸무센고, 연해주에서의 빨찌산 운동, 김낙현, 빨찌산 김낙현 회상기,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429에서 재인용
트랴피친 부대는 니항으로 입성하는 과정에서 백군과 일본군과 어느 정도 전투를 벌였다. 그 과정에서 일본군은 저항을 포기하고 2월 28일 러시아 빨치산 부대의 행동에 대해 중립을 하기로 약속하고 평화 협정을 체결하였다.[60]
5. 입성 후 학살
입성 후 트랴피친 부대는 백위파 옴스크 정부의 관리·장교·자본가를 체포한 후 처형하였다.[61] 며칠만에 400명 이상이 체포됐다.[62] 당시 현장에 있던 항일 운동가들이 증언하기를 이 때 '자본가'의 대부분은 유대인이었다고 한다. 처형 판결이 난 사람들은 아무르 강으로 끌고 가 얼음 구멍에 쳐넣었다.
자본가들(다수로 유태 민족)과 중들을 모착하여서 야무르강 어름 구영에 띠엇다.
홍파, 니꼴라옙스크 사변,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113쪽
그리고 트랴피친 부대는 음주, 양조에 대한 절대적인 금주령과 함께 이를 위배하면 무조건 총살형에 처한다는 극단적인 포고령을 내렸다.그는 제1착으로 일본군 세력과 결탁한 유태계 자본가들과 악질적인 탐관오리들을 숙청하기 시작했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4쪽
「뜨래삐진」은 개선 장군으로 입성함과 동시에 군대를 적소에 배치해 놓고 총사령부를 번화한 네거리 3층 건물에 좌정하고 제1호 포고령을 발하였는데 모든 물자의 판매 이동을 금지하여 경제적 통제를 선포하고 당분가 군정의 실시를 포고하였다. 그 중에서 인상이 깊은 것은 군인이나 민간인을 막론하고 음주, 양조에 대한 절대의 금주령이다. 이 포고령에 위배하는 자는 무조건 총살형에 처한다는 것이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4쪽
6. 일본인에 대한 학살 과정 ("니항 사변")
러시아인 학살과 다르게 일본인에 대한 학살은 어느 정도 일본군과 일본 거류민에게도 책임은 있다.
트랴피친 부대는 3월 5일에 백군의 무장을 해제했다. 3월 12일엔 일본군에게 무기와 탄약을 요구하자. 일본군은 여기에 응하지 않고 빨치산 부대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3월 11일에 빨치산 본부에선 연회가 개최됐는데 일본군들도 여기에 참여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2일 1시 30분에 빨치산 참모 본부를 기습하였다. 트랴피친은 수류탄의 폭발에 발에 부상을 입었고 참모장 나우모프는 다음날에 사망할 정도로 중상을 입었다. 빨치산 부대는 곧바로 반격하였고 일본군은 얼마 안 가 항복하였다.[63]
박(박바실리 - 옮긴이)군이 내 침실로 들어서더니 일본군이 밀리는 것 같고 이쪽에서 사냥하러 다니는 모양이라고 일러준다. 접전한지 두시간이 이렇게도 빨리 끝날 수야 있나. 「뜨래삐진」이 이럴줄 알고 미리 대비하고 있었단 말인가! 일군 간부들은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7일이 전 날인 8일 새벽 두시를 기하여 일제히 출동, 사령부를 포위하고 공격을 개시하였다. 수류탄은 사무실에서 한개가 터지고 침실에서도 한개가 터졌다. 그 파편이 뜨래삐진의 발목에 맞았다. 그는 레나의 침실 있는 으슥한 방으로 절룩거리면서 달려갔다. (……) 바로 건너편에 주둔하고 있던 호위대가 즉시 반격하였다. 동서남북 각처에 널려 있던 부대를 사방에서 몰려오면서 공격을 가하였다. 뜨래삐진 군대는 입성한 후에 큼직큼직한 개인 사택에 주둔하고 있었다. 차폐물이 없는 네거리에서 배겨낼 수 없는 일군들은 퇴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육군은 점점 밀려서 교외에 있는 자기네 병사로 도망쳐 숨고 말았다. (… ) 병영에 쫒겨간 일군을 뜨래삐진 군대가 멀찌감치 눈속에 참호를 파고 포위해버렸다. 그 이튿날부터는 찐비랍흐 포대로 부터 일군에다 대고 포격을 개시하였다. 그 병영은 붉은 벽돌로 튼튼히 지은 2층 건물이기 때문에 대포 몇방에 부서질 염려는 없다. 그러나 몇 방만에 지붕을 뻥뚫어 놓고는 북쪽으로 향한 창문을 모조리 부수어버렸다. 출입구쪽으로 포위병들의 총구가 총집중 돼 있다. 보일러가 터지고 파이프가 얼어붙었다. 죽은 병정이 점점 늘어났다. 그들도 이를 악물로 견뎌 보려고 했겠지만 5일만에 흰기를 들고 나와 항복하고 말았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5
뜨랴삐진은 무장 해제된 일본 장교들과 타협, 륭화책을 쓰엇다. 저녁이면 일본 장교들을 청래하여 자기의 참모부에 모아서 유희, 무도를 하면서 유쾌하게 놀았다.
하로 저녁 11시 되어서 유희, 무도로 유쾌하게 노는 참모부 유리창을 마스고 폭탄이 들어왔다. 폭탄이 터져서 뜨라비찐은 중상을 당하였으며 전 시가에는 시가전이 시작되어서 개인집에 산재한 무장 빨찌산 2000며은 무장이 충분치 못한 일본 군대와 이튼날 아츰 동이 틀 때까지 전투하여서 폭동 일본 군대를 진압하엿다.
홍파, 니꼴라옙스크 사변,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113
이 과정에서 많은 거류민들도 무장을 하여 빨치산들을 공격하였다. 이것은 한국 측만 주장하는게 아니라 일본 측 전문가의 책에서도 나오는 것인데 하라 테루유키(原暉之)가 쓴 『シベリイヤ出兵-革命と干涉, 1917년 - 1922년』, 524쪽에서도 이런 내용이 나온다고 한다.[64]시내에 있는 일본 부대들은 빨찌산 사령부들, 병영들, 빨찌산 포병 부대들을 배신적으로 동시에 습격하였다. 왜놈들은 기관총으로 사격하였고 유리창들로 수류탄을 들이뜨렸으며 사령부가 있는 건물, 병영 기타 빨찌산들이 차지하고 있는 집들에 불을 질렀다. (…) 나는 그날 밤에 집에서 자게 되었는데 밤중에 어머니가 나를 깨우면서 시내에서 화재가 나서 화광이 충천하고 총소리들이 요란하게 들린다고 말하였다. 나는 제꺽 일어나서 옷을 입고 밖으로 나갔다. 빨찌산 사령부 건물과 병영들이 불타고 있었다. 나는 달음바질로 나의 부대가 있는 도시 중앙으로 가는데 중도에서 한 20명 되는 빨찌산들이 나를 따라나섰다. 백파놈들과 일본 거류민들은 집안에 숨겨서 거리에 있는 빨찌산들을 총으로 쏘았다. 나는 상관으로서 빨찌산들을 거느리고 저들이 숨어있는 집들에서 놈들을 격멸하는 작전을 하면서 2시 ~ 3시 지나서야 우리 부대가 있는 도시 중앙에 이르게 되었다. (…) 약 350명 되는 왜놈들이 자기들이 있던 병영에 남아서 맹렬히 대항하고 있었다. 왜놈들의 진지는 병영과 채 준공되지 못한 병영 건물들에 엄폐되어 있기 때문에 보총들을 가지고는 쳐 없일 수 없었다. 그 이튿날 아침에 츠니르 요새에 있던 대포들이 당도하였다. 빨찌산 사령부는 일병 사령부에 투항하라는 최후 통첩을 하였다. 그러나 왜놈들은 "사무라이 전통에 의하여 천황 폐하의 군인들은 투항하지 않는다."는 대답을 보내었다. 이런 대답을 받고 빨찌산들은 대구경포로 심한 포격을 하여 왜놈들이 엄폐하여 있는 병영 건물들은 죄다 허물어 버리었다. 게다가 35도 ~ 40도의 추위는 왜놈들이 견디어 낼 수 없었다. 약 300명이 되는 사무라이들이 흰 기를 들고 투항하였다.
김낙현, 빨찌산 김낙현 회상기,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402 ~ 403
이 과정에서 빨치산들은 저항하던 거류민이던 민간인이던 더 이상 구분하지 않고 무차별로 학살한다. 학살이 너무 잔인했는지 한국인 거류민이 일본인 거류민을 살려주는 일까지 일어났다고 한다.
시가지에서 일인집들과 러시사아 장교집들을 철저히 수색했다. 최후의 발악으로 일인 거류민들도 최후까지 항거했다. 그러나 그것은 전가족의 몰살로 끝났다. 시가에 소탕전이 약 1주일 후에야 끝났다. 박이나 나는 1주일 동안 집안에서 딩굴었다. 공연히 나다니다가는 유탄에 맞아 죽기 알맞기 때문이다. 일군의 항전은 포로 30여명의 생존가 남았을 뿐 그 외에는 모두 학살당하고 말았다는 것이다. 일본 군인인지 거류민인지 헐벗은 일본인이 문모라는 우리 나라 사람 집에 달려들어서 살려달라고 애걸하더란 것이다. 그래서 할 수 없이 하루밤을 재워 보내면서 여벌의 외투까지 주었다는 것이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5 ~ 326
이 사태가 끝난 뒤에 일본인 136명이 살아남았는데 여자, 아이들, 부상자들이었다. 빨치산들은 이들은 감옥에 가두었다. 감옥에 가둔 일본인들은 자신들이 철수할 때 모두 처형했다.[65]뜨라비찐는 일본인은 로소남녀를 물론하고 모조리 학살하라고 명령하엿다. 이 명령을 충분히 실현되엇다. 은행과 상점들을 압수하엿다. 상점에 싸이어 있던 피물로 2000명 빨찌산 군복을 하여 입게 되었다.
이 때에 전설에 의하면 한 유대 녀자가 자기는 죽이어도 자기의 어린 아들을 살과달라고 애걸하엿다. 그러나 그 어린 아이를 그 녀자 보는데 몬저 죽이고 다음에 그녀를 죽이엇으며 한 일본 은행 사무원은 일본도 베게 두개만한 체적을 가지고 눈길에 시외 몇 낄로 멧틀에루 도망간 것을 고려인 빨찌산 두명은 그 자취를 따라가니 일본인이 자기에게 있는 돈을 줄 것이니 자기의 생명을 살과달라고 애걸하엿다. 그러나 그 돈을 일본인이 보는데서 불에 태워버리고 다음으로 일본인을 죽이엇다.
홍파, 니꼴라옙스크 사변,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113
일본 민간인에 대한 학살이 일어난 건 분명 사실이고 이건 당연히 정당화 할 수는 없다. 다만 여기엔 일본군이 먼저 화친하는 척 하다가 뒤통수를 치고 민간인도 무장하고 교전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참작할 만한 부분은 있다. 문제는 그 뒤엔 그런 참작도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7. 니콜라옙스크 "해방"
일본군까지 처리하니 빨치산들에게는 더 이상 거리낄 것이 없었다. 사태가 정리되자 빨치산들은 주민들에게까지 행패를 부렸고 주민들은 공포에 빠졌다. 이것은 한인 부대도 마찬가지였다.
그 후 트랴피친 부대는 다음같은 포고문을 내린다.홍(홍의표 - 글쓴이가 덧붙힘)군의 의미싱장한 말 한마디로 우리들은 긴장해지기 시작했다. 홍군의 말인 즉 이번 사건이 좀 평정해지면서 우리 한인 부대 군인들의 횡포가 심해져가고 가고 그들이 안하무인격으로 주민들에게 대한다는 것이다. 자기 집에 와서도 그렇게 우쭐대는 것을 보니 다른 집에 가서는 행패가 더 심하리라는 것이다. 고 중대장(고명수 - 글쓴이 덧붙힘)과 홍군 아버지와는 형님 동생하는 친한 사이였다. 한인 군인들의 행패를 막기위해서는 무슨 대칙이 있어야 하겠다는 것이다. 자기도 하도 분해서 고 중대장을 찾아서 자기 집에 총을 메고 와서 "술을 내놔라 일본놈을 내 놔라"하고 여자들에게 총을 들이대고 당장 쏴 죽일 것처럼 행패를 부리니 어디 그럴 수 있느냐고 대들었더니 고 중대장도 미안하다고 하면서 사과는 했지만 무지막지한 그놈들이 어디서 무슨 짓을 저지를는지 알 수 없으니 그 대책을 강구해야 하겠다는 것이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6
이런 분위기에서 박바실리는 이후 트랴피친이 벌인 계획을 알게되고 자유단원들에게 전하게 된다. 이지택의 증언이다.혁명군 총사령관 '뜨래삐진", 혁명군 참모 총장 "레나"라는 두 사람의 이름으로 2호 3호 연달 포고문이 나 붙었다.
1. 새 화폐의 발행
1. 노동의 의무제
1. 모든 선박의 징발
1. 개인 주택의 징발
1. 특수 물자의 배급제
등등의 포고문을 매일 같이 신문에 게재하였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6
이런 상황에서 더욱 많은 사람들이 학살당한다. 방식은 관리, 백군, 유대인 자본가들과 같았다. 총검을 찔러 얼음 속으로 처박는 것이다.그러는 사이에 날은 점점 따뜻하여가고 눈은 녹아서 길바닥이 낮아지고 있었다. 벌써 바닷물이 가까운 하류 강어구에는 얼음이 녹았단다.
강물만 녹게 되면 일본의 군함이 즉각 강어구쪽에서 올라올 것이다. 하바로프스크 쪽에서 군함이 밀려 내려올 것이다. 강어구에서 올라오는 것은 찐비랍흐 요새 근처에 좁은 물목을 메워 막는다. 내려오는 것은 군대를 보내서 싸운다. 그 동안에 군인들 가족과 선량한 시민들은 흑룡강 지류인 암군강 상류에 잇는 날비로 피난시킨다. 모든 악질적인 비협동 족속들을 숙청해버린다. 그리고 이 시가도 초토해버리고 만다. 뜨래삐진은 … 스케일을 자놓고 착착 실천에 옮기고 있는 것이다. 박병길(박바실리 - 글쓴이가 덧붙힘)군의 정보로 이러한 뜨래삐진의 속셈을 알게 된 우리…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7
이것 때문에 젊은 항일 청년들은 상당히 고민한다. 이 시절 니콜라옙스크에는 자유단이라는 단체가 있었는데 항일 청년들이 조직한 집단이었다. 이 자유단의 청년들은 박병길(박바실리)·김께샤·이지택을 대표로 해서 트랴피친에게 갔다. 자신들이 군대에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대신 여러 조건이 달렸는데 그 중 하나가 "한인 군인 가족들의 처우도 러시아인 군인 가족들과 마찬가지로 대우할 것"을 달았다. (이재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27쪽; 반병률, 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 지역 항일 무장 투쟁, 21 ~ 22)Triapitsyn was now free from restraint and set about systematically eliminating any of the population that could conceivably have represented a threat. One of the main methods for doing this, ammunition being in short supply, was to stab the victims with a bayonet and thrust them through a hole in the ice of the river.
이지택의 증언에 따르면 지원한 이유엔 빨치산들에게 버림받고 일본군에게 보복을 당할 것에 대한 두려움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뿐만은 아니었다. 박바실리는 당시 트랴피친이 도시를 초토화시킬 것을 알았고 그걸 자유단 청년들에게 전했다. 자유단의 청년들은 이 때문에 굉장히 긴장하였다. 또한 한인 부대들을 믿을 수 없었다는 게 지원 이유중 하나였다고 한다. [66] 한인 부대를 포함해서 트랴피친 부대에게 공포를 느낀 것이 협조 이유 중 중요한 이유였던 것이다. 그리고 이 청년들의 예상은 들어맞았다.
8. 니콜라옙스크 초토화와 대량 학살 (2차 니항 사건)
당시 일본군은 니콜라옙스크에 접근하기가 힘들었다. 이동할 수 있는 아무르 강이 얼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5월이 되면서 그 얼음이 녹아서 풀리기 시작했다. 트랴피친 부대는 철수 준비를 하였다. 트랴피친 부대는 모든 마을을 불태우고 없엘 예정이었기 때문에 주민들을 껠비촌으로 피난가게 하였다. 많은 주민들이 피난을 갔다. 하지만 모든 주민들이 피난가지는 않았다. 일부 주민들은 그것을 거부했을 것이고 일부 주민들은 사정이 좋지 않아 가지 않았을 것이고 상황을 잘 몰랐던 주민들도 있을 것이다. 트랴피친 부대는 피난을 가지 않은 주민들을 모두 처형했다. 이 학살엔 남녀노소 구분이 없었다. 모조리 살육해 버렸다.[67]
그후 마을은 모두 불태워지고 파괴됐다. 이 때 한인 마을들도 폐허가 됐다고 한다.[68]“대중테러가 발생하여 수많은 부르주아 및 소부르주아 가족과 우익 사회주의 활동가들 심지어는 소비에트 권력의 동조자들까지도 희생되었다. 동시에 이러한 테러는 암군강가의 마을에서도 벌어졌으며 아이들까지도 죽임을 당했다. 이 사건들은 어떠한 변명으로도 용납될 수 없으며 계속된 완전한 해명을 요구한다
Уполномоченный Военсовета Беуднин,Доклад о военно-политическом по ложении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1920.9.9,с Керби(군사 소비에트 전권 위원 베우드닌, 사할린 주 군사 정치 정세에 대한 보고,1920년 9월 9일,켈비),РГВА ф.170,оп.1, д.35,л.14-18об., 윤상원, 러시아 지역 한인의 항일 무장 투쟁 연구 (1918년 - 1922년) ,2009년, 120쪽에서 재인용
훗날 트랴피친은 자신이 니콜라옙스크에 모인 군인들에게 쿠데타를 당해 처형된다. 트랴피친은 당시 이런 학살극을 벌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니항을 파괴한 것은 해빙되어서 일본군이 남하하면 또다시 그 적군의 근거지가 될 것이므로 전략상 부득이한 일이었소. 인명의 살상은 있었으나 무고한 인민을 죽인 일은 없고 군령에 불복종하든가 이적 행위를 감행한 자를 처단했을뿐, 혹시 있었다면 부하가 한 것이기 때문에 자기가 책임진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44
9. 암군강가에서 계속된 학살과 쿠데타
이 후 트랴피친 부대는 암군강가로 이동했다. 위에서 베우드닌이 쓴 보고에도 언급되듯이 이들 부대는 여기서도 심각한 학살을 벌였다. 니콜라옙스크에서 지원했던 군인들은 여기에 경악하거나 분노했던 것으로 보인다.
테러는 암군강가의 마을에서도 벌어졌으며 아이들까지도 죽임을 당했다.
Уполномоченный Военсовета Беуднин,Доклад о военно-политическом по ложении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1920.9.9,с Керби(군사 소비에트 전권 위원 베우드닌, 사할린 주 군사 정치 정세에 대한 보고,1920년 9월 9일,켈비),РГВА ф.170,оп.1, д.35,л.14-18об., 윤상원, 러시아 지역 한인의 항일 무장 투쟁 연구 (1918년 - 1922년) ,2009년, 120쪽에서 재인용
결국 트랴피친 반대 세력은 쿠데타를 일으키기로 했다. 이 쿠데타를 주도한 인물은 알렉세이란 인물이었는데 이 인물 역시 니콜라옙스크에서 지원했던 사람이다. 한인 측에선 박바실리를 비롯한 자유단 측이 참여했다. 이들의 특징은 니콜라옙스크에서 지원한 사람들이란 것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거주하던 지역이 파괴당한 사람들이기도 하였다.뜨래삐진이 날비에 주둔하고 있으면서 하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행동을 하는 것 같아서 늘 불만이 만만하였다. 한가지 예를 들면 날비에 가서도 뜨래삐진의 부하들이 사람을 어찌나 죽이던지 하루에도 한둘의 시체는 강물위로 떠내려오고 있었다. 우리도 이따금식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일이었지만 심지어 감시대라는 것을 두어서 강으로 오르내리면서 강변에 걸린 시체나 떠오르는 강상의 시체를 거두어서 강변에 묻어주는 일을 하게까지 하였으니 그 살인적 행위는 불문가지였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43
트랴피친은 주변 마을에서 식량을 강제 징발하기 위해 기병대를 보냈다. 쿠데타를 세력은 이 때 쿠데타를 일으켰고 성공했다. 이지택의 소감에 따르면 상당히 허무하게 성공했다고 한다.[69] 트랴피친과 부인 레나 등 7명이 처형됐다. 10명은 징역 10년을 받고 받고 치타로 호송됐다. [70]
10. 학살에 관련된 한인
위에서 말한 것처럼 트랴피친 부대는 엄청난 테러를 벌여 사람들을 학살하였는데 이 때 이 부대에는 한인들도 있었다. 그리고 이 한인들 중에서도 학살에 관련된 사람이 있었다. 대표적인 게 박일리야라는 사람이었다. 이지택은 이 사람을 처음 봤을 때 "인상부터 몹시 냉냉하기 얼음장 같"[71] 은 사람이라고 느꼈다고 증언한다. 이걸 볼 때 굉장히 차가운 사람인 걸 알 수 있는데 이 사람이 학살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여러 사료에서 알 수 있다.
먼저 러시아 문서에 그런 행적이 남아있다.
이 문서 내용을 뒷받침하는 증언도 있다. 그건 바로 이지택의 수기다. 이지택에 따르면 박일리야는 트랴피친과 같이 남아 있었더라는 것이다..“첫째, 위 부대의 사령관으로 있으면서 한인 특별 보병 대대 오하묵으로부터 승인을 받지 않고 블라고베센스크로 가서 2달 이상 체류한 점.
둘째, 이곳(블라고베센스크 호텔)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한인 특별 보병 대대의 조직적 해체에 종사한 점.
셋째, 이전 니꼴라예프스크 병사들과 관계를 맺고 박바실리 동지의 살해를 막지 않은 점.
넷째, 부대를 자유시에서 시골로 옮기면서 평화로운 러시아 농민들을 강압적으로 약탈한 점.
다섯째, 거짓된 정보로 한인부와 최고 사령부로 하여금 거짓된 정세를 받아들이도록 한 점.
여섯째, 유언비어와 모험적 행동으로 일부 한인 혁명가들의 신용을 실추시킨 점.
일곱째, 니꼴라예프스크 부대의 무책임한 테러리스트들로 그룹을 만들어 한인 특립 보병 대대의 병사들과 지휘부를 낭패에 빠뜨린 점”
Протокол No.1 Чрезвычайной Корейской Военной конференции,состояв шейся 2-го марта 1921года,в городе Чите,под председательством гр.Цой-Кван-юн при секретарах гргр.Цой-Шенг-у и Ким-Гю-чан(1921년 3월 2일 치타에서 열린 특별 한인 군사 협의회 제1회 회의 회록), ,РГВА,Ф.221,оп.1,д.376,л.51об-52, 윤상원, 러시아 지역 한인의 항일 무장 투쟁 연구 (1918년 - 1922년), 2009년, 197쪽에서 재인용
이 때 트랴피친은 니콜라옙스크에서 주민들을 학살하고 마을을 불태웠던 때였다. 러시아인 약 4천명을 학살한 테러에는 한인 부대도 관련되어있던 것이다. 거기다 트랴피친이 처형당할 때 박일리야는 트랴피친을 혁명적인 애국자라고 간주하여 처형에 불만이었다고 한다.[72]혼성 대대가 제1차로 출전 당시 우리 한인 제1중대 참모로 있던(중대장은 고병익) 박일리야는 출전하지 않고 한인 부대의 전체 참모격으로 뜨래삐진과 행동을 함께하였고 날비에서 지내고 있었다. … 뜨래삐진이 입성하면서 평소에 거래상 가깝게 접촉하던 고병익 1중대장의 소개로 뜨래삐진과 접촉하고 1중대의 참모격으로 일보게 되었고 한인 전반에 대한 모든 문제에 참여하면서 뜨래삐진과 행동을 함께 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던 것이 이번 일이 이렇게 되고 보니 혁명 위원회에서 그의 처벌론까지 대두한 것을 박군(박바실리 - 글쓴이)이 적극적으로 만류해서 평민으로 격하시키는데 그쳤는데 박일리야는 그것이 박군의 조작처럼 오해하고 불평 불만이었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제45호, 1968년, 344
트랴피친 처형 후 박일리야는 박바실리 세력에게 불만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트랴피친 사후 부대는 갈라져서 이동하게 됐는데 박바실리 측은 오하묵과 최고려가 지휘하는 자유 대대에 들어가게 됐다. 그러나 박일리야는 그 일을 여전히 잊지 않은 모양이다. 이후 박바실리는 박일리야 세력에게 끌려간 후 피살되고 만다.
독립 운동사를 공부했으면 이 이름이 아주 낯이 익을 것이다.경비원들이 차례로 한사람씩 불러내서는 "심심한데 빈데나 털어 볼까"하고 밖으로 데리고 나가서는 몽둥이로 온 전신을 두드려 패는 것이었다. 이렇게 며칠동안 못살게 굴더니 그들의 교대가 끝날 마지막 날에 와서 밤중에 4명, 5명이 우르르 몰려 들더니 박병길(박바실리)을 불러 내더란 것이었따. 박이 불려나가니 또 빈대털리가 시작되나 보다 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고개를 빼서 내려다보고 잇는데 박이 내려 서자마자 뒤에서 한 놈이 러시아식 뾰족한 총장으로 느닷없이 박의 등을 찔러버렸따는 것이다. 그놈들도 무고한 사람을 죽이고나니 겁이 나서 더 죽일 용기가 나질 않았떤지 모두 몰려 나가고 쇠를 채우는 소리가 나더니 잠잠해지더란 것이었다.… 이 사건이 직접 간접으로 후에 일어난 소위 흑하 사변(자유시 참변, 자유시 사변)의 동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지택,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349
오하묵과 군 통수권 문제로 갈등했으며 자유시 참변 때 무장 해제 거부에 중심에 있던 그 박일리야가 맞다. 이 사람은 독립 운동사에서 지나가던 사람이 아니다. 자유시 참변 때의 핵심 인물 중 하나였던 것이다. 이걸 보면 니항 사건이 독립 운동사에서 지나가는 사건이 아니란 걸 알 수 있다. 그러나 자유시 사변 때 이 박일리야가 어떤 인물인지 잘 설명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중요한 사실이 하나 더 있는데 이 박일리야가 지휘하던 부대가 니항 부대(박일리야 부대)에서 이어진 사할린 부대였다. 위 회의 회록에서 나온 것처럼 사할린 부대는 수천명을 죽인 테러범들도 상당수 포함됐던 집단이다. 이후 많은 만주 출신 독립군들이 이 지역으로 오고 일부 만주 출신 독립군들이 이 사할린 부대에 합류하긴 했으나 그건 일부였을 뿐이었다. 홍범도, 지청천 등 만주에서 이동해온 독립군 부대 대부분은 사할린 부대가 아닌 고려 혁명군 정의회(사할린 부대와 대립)를 인정했다.[73] 여전히 사할린 부대에서 테러범들의 비중은 낮지 않았다. 그러나 많은 책들은 이것을 사람들에게 알려주지 않는다.박일리야(朴일리야) 1891년 ~ 1938년 5월 25일
1921년 6월 자유시참변(自由市慘變) 당시 박일리야는 사할린 의용대[대한의용군(大韓義勇軍)]의 중심 인물로 고려혁명군(高麗革命軍)의 무장 해제에 저항하였으며, 이때 약 500명의 무장 부대를 지휘하였다.
독립 운동가 공훈록 http://search.i815.or.kr/subContent.do
11. 인식
독립 운동사에서도 니항 사건이 뭔지 제대로 설명하는 경우는 극소수이다. 독립 운동사 교양서와 개설서 중 니항 사건의 러시아인 살육을 다뤘던 건 반병률의 책뿐이었다. 한민족 이주사로 봐도 중요한 사건이다. 이 때 한인촌도 초토화가 됐으며 많은 청년들이 어쩔 수 없이 군인이 되었다. 그런데 이 사건을 설명한 교양서, 개설서를 본 적이 있는가?
자유시에 집결한 시베리아의 한인 무장대 가운데 내부 사정이 가장 복잡한 존재는 니항군대(尼港軍隊)이다. 이 군대는 처음에는 한인니항군대(韓人尼港軍隊)로 불리다가 자유시에 이동한 뒤에 사하린 의용대로 개칭되었다. 사할린〔棒太島〕 출신의 의용군이라는 뜻이다. 국내에서는 보통 사하린 부대로 알려져 있다. 이 군대는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사(出兵史)에 유명한 니콜라예프스크사변〔尼港事變〕과 더불어 그 이름이 세상에 알려졌다.
1920년 1월부터 적색 빨치산은 빈번히 니콜라예프스크를 습격했다.
이 때문에 반혁명 세력인 백군은 일대 위협을 받게 되었고 일본 수비대는 백군을 엄호했으나 같은 해 2월 말 백군은 전원이 참살되고 말았다. 적색 빨치산은 이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일본군에 강박(强迫)하여 무장 해제를 요구하자 같은 해 3월 12일 양자 사이에 격전이 벌어졌다. 일본 해군부대는 쫓겨서 일본 영사관에서 농성하게 되었는데 적색 빨치산의 맹포격을 받아 석전(石田 : 이시다) 영사부처 및 삼택(三宅 : 미야께) 해군 소좌(小佐) 이하 전원이 몰살되었고 육군 부대 역시 5주야의 격전 끝에 전멸하고 말았다. 극소(極少)의 일본인 생존자는 일단 투옥되었다가 5월말 적색 빨치산의 철수시에 한 사람도 빠짐없이 학살되었다. 이때의 적색 빨치산의 두목은 뜨라삐찐이었다.
김창순(북한 연구소 이사장), 자유시 사변, 국사 편찬 위원회 한민족 독립 운동사 44권 독립 전쟁
http://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hdsr&setId=618046&position=0
러시아 한인 빨치산 부대가 일본군을 상대로 가장 큰 승첩을 올린 전투는 니콜라예프스크(尼港)에서 벌어졌다. 아무르강 하구의 니항에는 2개 보병 중대가 주둔해 있었으며, 그 밖에 상인‧어부 등 일본 민간인 다수도 진출해 있었다. 니항은 태평양 연안의 어업 중심지로서 해상 교통이 편리하였던 까닭에 상당수의 한인도 거주하고 있었다. 이들 한인은 일본군의 침략 이후 무장 부대를 조직하여 러시아 빨치산과 연합 작전을 벌였다. 한‧러 연합 부대는 1920년 3월 12일부터 5일간에 걸쳐 집중 공격한 끝에 니항 주둔 일본군을 섬멸시키고 영사 부부를 포함한 다수의 일본 민간인을 사살하였다. 니항 사건을 계기로 일본군은 볼세비키와 한인 사회에 대해 직접 공격을 감행하고 나왔다.
朴敏泳, 庚申慘變의 분석 연구, 6쪽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kn_103_0060_0020
1917년의 러시아 혁명은 한인 사회에 또 하나의 큰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 혁명 직후 「볼쉐비키 붉은 군대」와 반볼쉐비키인「백위파 및 외국 간섭군들」간에 피비린내나는 내전이 시작되었다. 1918년 초 러시아 내의 자국민 보호를 구실로 블라디보스토크 항구에 군함을 상륙시킨 일본은 레닌의 볼쉐비키파와 대립하던 반볼쉐비키 백위파 군대를 지원하며, 극동 지역에 대한 야욕을 드러냈다. 이때 만주, 러시아 및 조선의 국경 지대에서 활동하던 한인 무장 빨치산들은 러시아 빨치산 부대들과 연합하여 일본 및 백위파 군대들을 상대로 빨치산 투쟁을 전개해 나갔다. 1920년 3월 5일에는 하바로프스크 북동부의 니콜라예프스크 항구(니항)에서 한인이 포함된 러시아 빨치산 부대에 의해 일본군이 참패를 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 사건은 곧바로 일본 군대의 보복 행위로 이어졌다. 1920년 4월 4일 야간을 틈탄 일본군들은 블라디보스토크, 니콜스크 - 우수리스크, 스파스크 등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극동 공화국 부대를 공격하여 수많은 사람들을 학살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원형 스토리 은행 (문화 콘텐츠 닷컴 (문화 원형 백과 고려 사람), 2004년., 한국 콘텐츠 진흥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63499&cid=49390&categoryId=49390
일본은 러시아 혁명에 반대하여 1918년 1월에는 해군을, 6월에는 육군을 출병시켜 블라디보스또끄항을 점령했는데, 이때 제1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 13개국 군대가 러시아의 동서남북으로 진주하고 있었다. 거기에서 미·영·불·일본이 협의하여 작전을 개시하였는데 일본은 1918년에는 1만 2천명, 한국에서 3·1 운동을 봉쇄한 뒤에는 3개 사단을 넘어 1922년 패퇴할 때까지 많을 때는 7만 5천 명의 병력을 진주시켜 러시아 혁명군과 싸우며 시베리아에 일본 괴뢰 정부를 수립할 망상을 불태웠다. 일본군은 북사할린, 연해주, 흑룡(우수리) 주의 주요 도시를 점령하고 기세를 올릴 때는 치따에서 서진하여 자바이깔 주까지 육박하기도 하였다.
니항 사건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박환 교수는 "러시아 지역 한인의 삶과 기억의 공간"이란 책을 냈는데 거기에 니항 사건에 대한 이야기는 나오지 않는다. 분명 주제가 한인의 삶과 기억의 공간일텐데도 말이다. 또한 박찬승 교수의 "한국 독립 운동사 해방과 건국을 향한 투쟁"에도 니항 사건은 나오지 않는다.그 때 한국 독립군은 곳곳에서 일본군과 대항하여 싸웠다. 120년 3월 12일에는 박이리아 부대가 일본군이 주둔한 연해주 북쪽 항구(북사할린 건너편 니꼴라예프스끄를 공격하였다. 거기에는 일본의 식민지라도 된 것처럼 일본인 민간인도 상당수 이주하여 있었으므로 한국 독립군의 공격으로 그들은 많은 손상을 입었다. 그에 대한 일본군의 보복 작전이 감행되어 연해주 일대의 한인들이 무참하게 학살당했는데 그것을 4월 참변이라고 한다.
조동걸, 1920년 간도 참변의 실상, 역사 비평 , 1998년 11월, 48쪽
개설서나 교양서에서 이것을 제대로 소개하는 학자는 반병률 교수가 있고, 논문에서는 윤상원 교수가 다룬 적이 있다.
12. 참고 문헌
1차 사료
- 이지택, 니항 사변과 독립군 (新東亞, 통권 제45호, 1968년)
- 홍파, 니꼴라옙스크 사변 (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韓國獨立運動史資料集 : 洪範圖 篇)
- 김낙현, 빨찌산 김낙현 회상기 (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 독립 운동사 사료 홍범도 편 韓國獨立運動史資料集 : 洪範圖 篇)
- 반병률, 제49권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 지역 항일 무장 투쟁
- 김주용, 박환, 조재곤, 한시준, 한철호, 제59권 국외 항일 유적지
- 한국 독립 운동사 사전 - 운동·단체편 3, 한국 독립 운동사 연구소
- 윤상원, 러시아 지역 한인의 항일 무장 투쟁 연구 (1918년 - 1922년), 2009년
- John J. Stephan, The Russian Far East : a history, 1994, Stanford University Press (146쪽 - 159쪽만 복사)
- THE DESTRUCTION OF NIKOLAEVSK-ONAMUR: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1920에 대한 캠브리지 대학 서평
13. 니항사건 현장에 있던 독립 운동가들
- 박병길(박바실리, 박와실리)
애족장 (2006년)
니콜라옙스크에서 자유단을 운영하며 독립 운동을 함. 호방하며 친절해서 지역 한인들에게 호감을 받음. 또한 백군과 적군을 가리지 않고 교류할 만큼 폭도 넓음. 트랴피친 부대 때문에 사건에 휘말리고 반강제로 군대로 들어감. 이후 트랴피친을 체포하는 쿠데타와 트랴피친을 처형하는 판결에도 참여함. 박일리야 세력에게 피살당함.
- 이지택
1899년 10월 29일 ~ 1976년 4월 2일
니콜라옙스크에 오기 전엔 "간도" 지역에서 독립 운동을 함. 이후 니콜라옙스크에 와서 선생 일을 하며 자유단에 참여해 독립 운동을 함. 트랴피친 부대 때문에 사건에 휘말림. 반강제로 군대로 들어감. 해방 후에는 대한민국 측에 들어감
- 김낙현
애국장 (2009년)
당시 니콜라옙스크 지역에 살았던 공산당 운동가. 트랴피친이 니콜라옙스크에 오기 전부터 공산당 빨치산이었던 것으로 추정. 가해자인지는 불명
- 홍파
건국 포장 (1993년)
당시 현장에 있었으나 정확한 활동은 불명
- 박일리야
애국장 (2006년)
당시 니항에 있던 테러 가해 관련자 중 한 사람. 자유시 참변 뒤에도 계속 살아남음.
(해당 독립 운동가들에 대한 정보 참고는 독립 기념관에 있는 '독립 유공자 공훈 자료' 참고함 http://search.i815.or.kr/main.d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