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찌마와 리

 


1. 영화 기법
2. 대한민국의 인터넷 영화
2.1. 명대사(?)[1]
3. 영화


1. 영화 기법


立ち回り(たちまわり). 국내 영화 업계에선 주로 '''다찌마리'''로 불린다. 문서 제목이 이렇게 된 이유는 아래 항목의 영화 제목 때문이다.
일본가부키 용어에서 따온 영화 기법으로, 한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집단과의 패싸움 상태에서 주인공이 적들을 한 바퀴 둘러보며 긴장감을 극대화시키는 기법. 직역하면 서서 빙그르르 돈다는 정도의 뜻이 되겠다. 영화에서는 카메라가 적들의 시점에서 주인공을 보며 도는 경우가 많다. 그 근원이 된 가부키는 물론이고 일본에서는 주로 사무라이 영화에 자주 쓰이며 국내 영화에서는 조폭 영화에 자주 쓰인다(일 대 다수로 싸우는 연출이 이것이라 보면 된다).
한국 영화 올드보이에 최민식이 복도에서 장도리를 들고 19:1로 싸우는 장면을 원테이크로 찍고는 너무 힘들어 하며 "다찌마와리 다시는 안 해."라는 말을 남겼다.

2. 대한민국의 인터넷 영화


[image]
'''((를 만난 사나이의 사자후!!'''
'''비오는 날이면 두려움에 떠는 하얀 까마귀들아! 이제는 사내다운 삶을 살아야 할 게 아니냐!'''
'''(((( 디지탈비데오 / 서울 인근 지역 올 로케! / 일백푸로 후시녹음!'''
1번에서 다찌마와 Lee로 변형하는 센스로 만든 대한민국 영화. '다찌마와'라는 이름은 사실 '''와멋지다'''를 거꾸로 배치한 것이라는 말도 있다.[2] 2000년(혹은 2001년) 류승완 감독의 대한민국 영화로, 인터넷에서 공개한 1970년대 복고풍 영화. 인터넷 상영을 목적으로 하여 딴지일보 및 이제는 사라진 씨네포엠에서 김지운 감독의 커밍아웃과 장진 감독의 극단적하루 등 2편과 함께 온라인 상영되었다. 후에 비디오 테이프로 판매되었으며 소규모 상영회를 개최했다. DVD로는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의 DVD에 스페셜피쳐(라고 쓰고 덤으)로 들어가 있다. 2000년대에 1970년대 마인드를 그대로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진 괴작으로 심지어 비주얼이나 등장인물들의 행동, 복장, 촬영기법 등도 모두 일부러 1970년대풍으로 만들었으며 배우들의 목소리까지 일백푸로 '''후시녹음'''으로 따로 더빙하고 그걸 또 '''일부러 입 모양과 안 맞게 편집'''하는 등 1970년대풍 영화 분위기를 고스란히 담는 등의 투혼을 발휘했다.
또한 스토리마저 1970년대 영화의 전형인 '동네 건달에게 희롱당하는 처자 2명(그녀들의 이름은 화녀와 충녀[3])을 정의감에 불타는 주인공이 구해주는 장면'이 나오는 등 전체적으로 1970년대 특유의 유치뽕짝한 그 향수를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동네 건달 중 한명이 류승범이 연기한 와싱톤.
총 상영시간은 35분밖에 안 되는 단편 작품이지만, 그 35분에 옛날영화 분위기를 완벽하게 담아냈고 덤으로 개그까지 담아낸 명작이다. 잘 모르는 사람은 별 거지같은 영화 다 보겠네 그러는데, 마지막 부분 액션 씬도 수준급으로 잘 만들어져 있다. 당시 인터넷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감독의 전작인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에서 카리스마 있는 악질 형사 역을 맡았던 임원희는 이 영화 이후 코믹배우로서 알려지게 되었다.

2.1. 명대사(?)[4]


  • 다찌마와 리 : "그 더러운 손을 순결한 몸에서 떼어내지 못해!"
다찌마와 리 : "벌건 대낮에 아이들이 보아서는 안되는 짓을 일삼는 한심한 녀석들!"
동네 악당들 : "아니, 네놈은 또 뭐야?"
다찌마와 리 : "직업은 멀~쩡하지만 너희 같은 무리들을 보면 참지 못하는... 인간 미화원!" (두둥~) (여주인공을 괴롭히는 동네 악당들에게 하는 대사.)
  • 충녀 : "두려워요~ 도와주셔요~"
  • 다찌마와 리 : "이제 더이상 어둠의 뒷골목을 방황하지 말고 바른 삶을 찾도록~ 하여라~" (동네 악당들을 쓰러뜨린 후. 동네 악당들은 주인공의 이 일장연설을 듣고는 감동의 눈물을 쏟는다.)
  • 동방의 무적자 : "우리 심심한데.. 뽀뽀나 한번 할까?" (1970년대 영화 작업씬의 단골대사)
  • 동방의 무적자 : "저 녀석을, 이 쪽지를 전달할 수 있을 만큼만 살려둬라."
  • 다찌마와 리 : "나는 야학을 나와서 낮에는 글을 못 읽는단 말이다!" (동방의 무적자의 결투 신청장을 보고)
  • 동방의 무적자 : "네 놈한테 선택의 기회를 주겠다. 첫 번째 길은 네 놈의 솜씨를 썩히기 아까우니 내 밑에서 일할 수 있는 영광스런 기회를 주겠다."
다찌마와 리 : "난 언제나 자유를 찾아 떠나는 몸이니, 별로 유쾌한 제안은 아니로구만. 두 번째 제안은 뭐지?"
동방의 무적자 : "그런 이놈이! 좋다. 그럼 두 번째!(종이 쪼가리를 꺼내며) 여행을 좀 가줘야겠어."
다찌마와 리 : "목적지는?"
동방의 무적자 : "그건 네 놈이 더 잘 알고 있을 터인데, 황천길!"
다찌마와 리 : "그런 여행이라면 사양하고 싶은걸? 허나, 한 가지 확실한 것은, 네 놈이 되었건 내가 되었건 누군가 하나는 티켓을 끊어야겠지? 네 놈이 진정한 싸나이라면, 아녀자들이 있는 곳을 피해, 티켓의 주인을 결정하는 것이 어떨까?"
동방의 무적자 : "오만이 하늘을 찌르는구나."
  • 동방의 무적자 : "어쭈, 제법이로구나."
다찌마와 리 : "어린 놈이, 꿈을 꾸었구나."
동방의 무적자 : "세상을 보아도, 내가 먼저 보았을 터인데."
다찌마와 리 : "아무리 먼저 세상을 보았다 하여도, 어른이 되는 것은 아니다!"
동방의 무적자 : "이런, 병~신같은 놈! (칼을 꺼내며)보아하니 고급으로 노는 놈 같군. 네놈의 고급인생, 오늘로 끝장을 내주마."
다찌마와 리 : "이런 비~겁한 녀석. 칼을 쥔다손, 하룻강아지 범이 될쏘냐!"
  • 다찌마와 리 : "약한 여성을 희롱하는 못난 사내는, 자고로 용서받지 못하는 법! 순순히 무릎을 꿇고, 자신의 죄값을 치르시지!"
동방의 무적자 : "유언치곤 꽤 지루하구만. 오늘 네 놈한테, 오동나무 코트를 입혀주마!" (이후 '두둥'하는 효과음과 함께 오동나무 관이 등장한다.)
다찌마와 리 : "뒤가 구린 놈이... 입도 구리구나!"
  • 다찌마와 리 : "동방의 무적자라 했던가. 지금 내 말을 경청해 주길 바란다. 우리들의 지금까지 삶은 하얀 까마귀와 같은 삶이었다. 백로가 되고 싶어 온몸에 밀가루칠을 한 하얀 까마귀. 그러나 그 까마귀는 비가 오는 날이면은 두려움에 떠는 것이다. 자아! 우리 이제 맹세하자꾸나! 양과 같이 순한 삶을 살기로." (마지막 장면에 동방의 무적자에게 하는 사자후)

3. 영화


다찌마와 리 - 악인이여 지옥행 급행열차를 타라! 문서로
[1] 이 주옥같은(...)대사들은 과거 1960~70년대 액션 영화의 대사들을 패러디한 것이다.[2] 감독이 직접 언급한 바로는, 다찌마와 리가 사람 이름같아 보여서라고 한다.[3] 김기영 감독의 영화 화녀, 충녀에서 따왔다.[4] 이 주옥같은(...)대사들은 과거 1960~70년대 액션 영화의 대사들을 패러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