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시·연천군
1. 개요
20대 총선 전에 선거구 조정에 의해 기존의 양주시·동두천시, 포천시·연천군, 여주시·양평군·가평군 세 곳을 다시 네 개의 선거구로 개편하였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지금의 동두천시·연천군 선거구다. 가뜩이나 군사도시인 동두천에 최전방 지역인 연천군이 편입되면서 이전보다 더 보수성향이 강해졌다고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비교적 인구가 많은 동두천은 스윙보터 성향[1] 을 띄는데 비해 휴전선과 인접해 발전이 더딘 연천은 보수정당이 65:35 수준으로 압승하는 지역이라 민주당계 후보가 동두천에서 엎치락뒤치락 하다가 연천군에서 물을 먹고 낙선했다.[2]
경원선 연선에서 볼 수 있는 최초의 복합선거구이다.[3]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소속의 김성원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2.1. 20대 총선
2.2. 21대 총선
현역 김성원이 예비후보로 등록하면서, 미래통합당에서는 전략공천으로 확정시켰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남병근 신한대 석좌교수, 서동욱 전 주상하이영사, 최헌호 을지병원 감사가 예비후보로 등록하여 경선 끝에 서동욱 후보가 공천을 받았다.
선거결과 현역 김성원 의원이 53%의 득표율로 무난히 재선에 성공하였다. 표차는 지난 총선에 비해 훨씬 줄었지만 지난 총선에서는 진보 표가 민주당과 국민의당으로 갈라졌었던 것을 감안하면 성향 자체는 지난 총선과 크게 차이가 나진 않았다. 오히려 지난 총선에 비해 김성원의 득표율이 높아졌고 서동욱 후보의 득표율이 지난 총선에서의 민주당 후보 + 국민의당 후보 간의 득표율을 합한 수치보다 2% 정도 낮게 나왔다.
2.3. 22대 총선
이 지역의 인구수가 20대 총선 당시 14만명대에서 21대 총선 전후로는 13만명대 후반[6] 까지 떨어져 선거구당 인구하한선에 미달한 상태이다. 이 지역의 인구가 증가하여 인구하한을 다시 초과하거나 선거구당 인구하한이 이 선거구의 인구보다 적게 내려가지 않는다면 22대 총선에는 이 지역을 중심으로 경기 북부지역 선거구 전체가 재조립되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어서 추후 이 지역의 인구변화 추이를 지켜볼 필요성이 있다.
이대로 이변 없이 하한 아래로 떨어지면 경기도 동부나 북부 어딘가는 시군 경계를 허물고 분할해야 하는데,[7] 인접한 시군끼리 선거구를 획정하는 원칙을 준수하고 공직선거법 제25조 1항을 적용하여[8] 동두천시·양주시 을과 포천시·연천군·가평군으로 공중분해되는 것이 가장 유력하다. 아니면 동두천과 연천은 그대로 놔두고 양주시 남면, 은현면만 편입해도 하한은 채울 수 있긴 한데, (이 경우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을이 될 것이다.) 이쪽은 굳이 3개의 시군구를 합쳐 재분할해야할 근거가 없기 때문에 시행되기 어렵다.
공중분해되는 경우 유력한 방안은 양주시와의 인접면을 중심으로 양주시 남면, 은현면과 회천1~3동 정도를 동두천에 편입하는 것[9] 과 비교적 생활권이 동질한 양주신도시지역을 하나의 선거구로 하고, 읍면 지역을 동두천에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만약 양주신도시 일부 지역을 동두천시에 편입하는 안이 채택된다면 현역 김성원 의원은 상당히 피곤해질 것이고 양주시의 현역 정성호 의원 역시 기존 자신의 지역구에서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더 강한 양주신도시 지역을 동두천에 분할해주는것을 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10] , 반대로 최근 선거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정당의 지지가 높았던 연천군을 가져가는 포천시·가평군의 보수세는 더 강해질 가능성이 크다.
[1] 정확히 말하면 양주신도시로 인해 민주당세가 강한 양주와 묶였을 때는 민주당 약우세였다가 20대 총선 때 연천과 묶인 이후로는 보수정당 약우세로 바뀌었다.[2] 반대로 20대 총선 이전까진 보수정당 후보들이 동두천에서 선전해놓고 양주에서 물을 먹고 낙선하는 일이 잦았다. 동두천의 정치성향이 이웃 지역을 따라다니는 성향이 강하다보니 생기는 웃지 못할 일이라고 볼 수 있다. 비슷한 사례로는 인천의 중구·강화군·옹진군이 존재하는데 이곳 역시 민주당 후보가 중구에서 선전해놓고 강화군과 옹진군의 통합당 몰표로 물을 먹고 패배했다. 인구가 많은 중구가 민주당 강세인 영종하늘도시와 통합당 우세인 인천 구항만 지역을 동시에 끼고 있어 경합지인 반면 강화군과 옹진군은 철저하게 보수텃밭이라서 민주당이 인천을 싹쓸이하는 와중에도 통합당이 수성하는데 성공했다.[3] 반대로 경의선 연선에는 복합선거구가 없다.[동두천] 생연1동, 생연2동, 중앙동, 보산동, 불현동, 송내동, 소요동, 상패동[연천] 연천읍, 전곡읍, 중면, 군남면, 미산면, 백학면, 왕징면, 삭녕면, 서산면, 청산면, 신서면, 장남면[4] 생연1동, 생연2동, 중앙동, 보산동, 불현동, 송내동, 소요동, 상패동[5] 연천읍, 전곡읍, 중면, 군남면, 미산면, 백학면, 왕징면, 삭녕면, 서산면, 청산면, 신서면, 장남면[6] 2016년 3월 31일자 주민등록인구 기준 143,793명 → 2020년 3월 31일자 주민등록인구 기준 137,783명(21대 총선 선거구의 인구하한선은 139,000명)[7] 동두천·연천과 접경한 지역은 파주, 양주, 포천인데, 현 인구상황에서 동두천이나 연천을 합하면 적어도 한곳은 반드시 상한을 넘어 시군 경계를 허물어야하는 조건에 충족한다.[8] 국회의원지역구는 시ㆍ도의 관할구역 안에서 인구ㆍ행정구역ㆍ지리적 여건ㆍ교통ㆍ생활문화권 등을 고려하여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획정한다.[9] 양주시 도의원 제1선거구에서 회천4동만 빼면 이 영역과 정확히 일치한다.[10] 추가적으로 정성호 의원의 지역구 사무실과 거주지가 회천동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 지역을 동두천에 넘기면 기존의 사무실과 거주지를 전부 이전해야하는 부담이 있다. 아니면 과거 양주시·동두천시 국회의원을 지낸 적도 있으니 동두천시와 합쳐진 선거구에 나갈 수도 있긴 하나, 기존 자신의 선거구를 절반 이상 잃은 채로 다른 당 현역과 붙는 것은 상대적으로 부담스러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