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체

 


[image]
[image]
0083 버전
유니콘 버전
1. 제원
2. 소개
3. 게임에서의 등장
3.1.1. 유닛 설명
3.2.1. 유닛 설명


1. 제원


형식번호
MS-21C DRA-C
타입
공간공격용 양산형 MS
제작
데라즈 플리트
운용
데라즈 플리트
조종
몸체안의 표준형 콕피트
소속
데라즈 플리트
최초배치
UC0083. 5.
전고
m, 두부고: 29.8m
중량
23.9t 전비중량: 49.0t 질량비: .
구조
모노코크 프레임
장갑
티타늄 / 세라믹 합금
동력
미노프스키 타입 초고밀도 핵융합로(596kw)
추진
로켓슬러스터 28,000kg X 2, 20,500kg X 3
최대 가속도 2.40G, 전비시 G
고정무장
40mm발칸*1(오른팔), 쉴드*1, 빔 사벨*1(실드에 내장)
메카닉 디자이너
아키타카 미카

2. 소개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에 등장하는 데라즈 플리트의 양산형 모빌슈트.
지온공국군의 잔당이 모인 데라즈 플리트는 특별한 보급을 기대할 수 없는 열악한 상황이었다. 드라체는 이런 상황에서 보유 물자를 재활용 하여 만들어진 일종의 재활용 병기로, 자쿠 II F2의 상반신에 가틀급 우주 전투기의 부품(엔진 블록, 프로펠런트 탱크 등)을 유용하여 제작한 간이 생산기다.
우주 공간에서의 기동성을 살리기 위해 양 어깨에는 구체형 스러스터 포트를 장비했으며, 우주용이기 때문에 보행에 필요한 다리를 생략했다. 그 대신 가틀급 우주 전투기의 프로펠런트 탱크와 스러스터 유닛을 합쳐 제작한 대형 프로펠런트 + 스러스터 유닛을 장비했으며, 이 유닛은 비행 안정을 위한 스태빌라이저로도 기능한다. 백팩으로는 가틀급 우주 전투기의 엔진 블록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덕분에 일단 MS로 분류는 하지만 운용방식은 MA에 가까운 편이다.
무장은 오른팔에 고정된 40mm 발칸포와 폐기된 전함의 장갑판을 이용해서 급조한 왼팔의 실드로 실드 내부에는 빔 사벨 1자루를 고정 장착하고 있다. 오른팔을 일반 매니퓰레이터로 교체한 기체도 존재하는데 일부에선 이를 드라체改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으며, 서적 <애너하임 라보라트리 로그>에서는 이 드라체改를 중장갑화 시킨 드라체改 중장비형이란 베리에이션이 등장하기도 한다.
기동성은 의외로 높아서 MS-09R-2 릭 돔II와 맞먹을 정도였다고 한다. 데라즈 항쟁 기간 동안 약 30기가 생산되어 정찰이나 양동 작전에서 활약했다. 그렇긴 해도, 중고 부품 모아다가 패잔 부대가 만든 것이라 내구성은 결국 한계가 있었다. 밑에 후술한 대로 짐 커스텀과 정면으로 들이박으니 짐은 팔 하나만 부숴졌으나 드라체는 허무하게 폭발했듯이 연방군이 제대로 만든 짐보다 내구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색은 자쿠와는 달리 파란색이다.
작중에서도 빠른 기동성을 보여주며 풀버니언에게 육박전을 걸었으나, 빔 라이플의 짓테에 막히고 바로 두 동강이 나버렸다. 후반에는 닥돌한 기체 한 대가 베르나르도 몬시아의 짐 커스텀을 반파시켜 리타이어 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드라체 역시 충돌의 충격에 빙빙 돌다가 터졌다.
일단 0083 본편에서 데라즈 플리트의 후방부대 등 생존자들이 액시즈에 의해 탈출한 것이 정식 설정이기 때문인지 드라체 역시 생산된 30여기 중 소수나마 생존기가 있는 것으로 되어있고, 이후 일부 작품들에서 깜짝 출연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기동전사 Z건담 극장판에서는 액시즈 사양의 암녹색 기체가 잠깐 보이며 기동전사 건담 UC에서도 소데츠키 소속으로 등장한다. 색은 분홍색이며, 역시 소맷장식이 추가되었고 나름대로 근대화 개수도 되어 있는 상태. 2대가 협동하여 델타 플러스를 공격하지만 성능차가 너무 나는 바람에 한 기는 빔 사벨에 팔 한쪽을 썰렸고, 다른 한 기는 빔 라이플에 스러스터 유닛을 사격당해 무력화된다.[1]
모형화는 1/144 스케일이 B클럽 레진 키트로 나왔으며 1/100 MG 자쿠 F2를 드라체로 컨버전해주는 키트도 발매되었다. 2011년 11월에 HGUC로 정식 발매. 훨씬 저렴하고 희소성도 낮고 고퀄리티이기 때문에 앞의 레진 키트들은 콜렉터가 아닌 이상 애써 구할 필요는 없다. 온라인 샵 한정으로 UC 버전의 소데츠키 사양의 드라체(사출색이 분홍 계열이고 손목과 가슴부분에 소데츠키 문장 부품 추가.왼팔이 개틀링 포. 참고로 일반판은 0083 카테고리)도 발매되었다. 이후 0083 BD판 특전 영상인 '우주의 하루살이'에 등장한 드라체 改(커스텀)도 가베라 테트라 롤아웃 버전과 함께 프리미엄 반다이로 발매되었다. 드라체 改는 어깨부분의 스러스터가 각이 잡혀있는 것이 특징.

3. 게임에서의 등장



3.1.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의 드라체


랭크: C
속성: 근거리형
무장 구성
* 1번 빔 샤벨
* 2번 40mm 발칸포
* 3번 격투 콤보
스킬 구성
* 베테랑: 기동성 업
* 에이스: 확장 부스터
입수 방법 : 69번 캡슐 & 커스텀 캡슐

3.1.1. 유닛 설명


3월 22일 업데이트 된 C랭크 묵기체.
1번 무장은 빔샤벨로 시원시원한 칼속과 선타, 그리고 데미지를 보여준다. 전진거리가 건파기준 11칸!
2번 40mm기관포는 한 탄창에 20회 사격하는 카트리지식 기관총. 사정거리 괜찮고 탄창 양호하고 발사속도도 매우 빠르다. ...만, 데미지가 전혀 안 나오는 BB탄총이다. 랭크가 조금 차이나면 역상을 두들겨도 데미지 들어가는 게 안 보일 정도로 약하니 사격전을 적극적으로 벌이긴 힘들다.
3번은 상태이상 슬로우 달린 돌진 격콤. 전진거리는 건파기준 17~8칸. 전부 히트시키면 4타 정도 판정이 나온다. 발동 빠르고 이동속도 괜찮으니 여차하면 질러 버리자.
필 모션은 간지난다.
1, 3번 무장과 스킬은 매우 출중하지만 기본 스탯이 전체적으로 낮고 2번 무장이 좀 심히 고자인데다가 지형대응 페널티도 붙어 있어서 운용이 좀 까다롭다. 하지만 접근전 능력은 C랭이라고 생각되지 않을만큼 우월하고 전성기 묵볼 이상의 기동력을 자랑하니 근접전에 익숙한 유저가 커스텀을 적당히 바르고 사용하면 부모 안부 들어가면서 플레이 할 수 있다. MA속성이 있어서 하강이 가능하며 잘 눈에 띄이진 않지만 좌측 팔에 조그만 방패가 붙어있는 고로 실드도 있으니 잘 활용할 것.

3.2.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의 드라체(UC)


  • 랭크: CS
  • 속성: 중거리형
무장 구성
  • 1번 빔 샤벨
  • 2번 개틀링건(3연사)
  • 3번 개틀링건(10연사)
스킬 구성
  • 베테랑: 기동성 업
  • 에이스: 장갑 관통
입수 방법
  • 1. 세력전 보상. 현재는 이벤트 종료.
  • 2. 2013/11/07부터 시작되는 영광의 포인트 캡슐머신에서 '영광의 코인(소데츠키) 30개'를 획득하여 교환.
  • 3. 2013/11/07부터 21일까지 실시하는 모노아이 특집 웹 캡슐 머신에서 획득. 2013년 11월 7일 이후 2번 이벤트와 3번 이벤트가 동시에 열렸기 때문에 정말 많이 풀리고 있다.

3.2.1. 유닛 설명


12월 20일 업데이트 된 CS랭크 찌기체.
1번 무장 빔 샤벨은 그닥 좋지 않다. 모션도 뚝뚝 끓어지고 공속도 그저 그러니 어지간하면 넣어 두자.
2번 개틀링건(3연사)는 그냥 기총. 오리지널의 BB탄총과는 달리 데미지 박히는 게 보인다! 장갑관통의 영향도 받으니 빠기체를 스토킹하면서 열심히 쏴질러 주면 상대가 매우 좋아할 것이다.
3번도 개틀링건(10연사)는 시구 3번, 헤비암즈 시리즈 3번과 같이 자체경직 딸린 기총 10연사다. 단, 이쪽은 세 번까지 사용할 수 있는 게 차이점. 데미지 충분하고 상황에 따라서 체공시간 확보용으로도 쓸 수 있으니 상황이 허락하면 팍팍 쓰자. 물론 자체경직 딸린 기총류 무장이 다 그렇듯 잘못 쓰면 훌륭한 정지목표가 될 소지가 있으니 아무 생각없이 지르는 건 금물이다.
필은 전탄필로 무난한 보라보라러시.
이번 세력전의 숨겨진 승자. 카탈로그만 보면 프로토 스타크 제간 쪽이 훨씬 좋았지만 정작 프로토 스타크 제간이 시너지 안 나는 무장배치와 의외로 구린 무장성능, 둔한 기동성으로 낮은 평가를 받는 데 비해 이 녀석은 의외로 적절한 무장성능, 좋은 스킬배치 덕분에 공개 이후의 평가가 크게 올랐다. 물론 랭크의 벽을 넘는 정도의 압도적인 성능을 가진 건 아니지만 저랭크 찌기로서 상대방의 고랭크 빠기체를 괴롭히는 능력 하나만큼은 압도적이다. 특히 페이즈가 없는 빠기체가 이 녀석의 접근을 허용했다면 살아남는 게 그리 쉽지 않을 것이다.
여하간 C랭크 장갑관통 달린 기총 기체들 중에서는 최고 클래스의 기체로 봐도 무방하고 운용에 있어서도 머리 아플 거 전혀 없는 기체니 마련해 둬서 손해는 없을 것이다. 소데츠키 태그전함 만드는 데도 요긴하게 들어갈 수 있으니 잘 굴려 보자.

[1] 그나마 파일럿인 리디가 상대를 죽일 생각이 없었기에 무력화 정도로만 끝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