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마누잔합
1. 개요
Ramanujan summation
인도의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고안한 수식이다. $$1+2+3+4+\cdots$$은 당연히 무한대로 발산하므로 수가 아니다. 그런데, 이 비범한 천재 라마누잔은 그걸 하나의 수로 가정하고 식을 전개한 뒤,
$$\displaystyle 1+2+3+4+\cdots=-\frac{1}{12}$$
사실 라마누잔합이라고 부르는 개념은 이렇게 단순한 것이 아니지만, 제대로 알아보려면 복소해석학을 배워야 한다. 해석적 확장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기 때문.
2. 분석
2.1. 1−2+3−4+⋯
라마누잔은 이를 직관적으로 $$1/4$$라고 계산했다. 라마누잔의 계산과정은 이곳에 잘 설명되어 있다. 이를 증명하면 아래와 같다.
$$|x|<1$$ 에 대해서 무한등비급수
$$\displaystyle 1+x+x^2+x^3+x^4+\cdots=\frac{1}{1-x}$$
$$\displaystyle 1-x+x^2-x^3+x^4-\cdots=\frac{1}{1+x}$$
$$\displaystyle-1+2x-3x^2+4x^3-\cdots=\frac{-1}{(1+x)^2}$$
$$\displaystyle1-2x+3x^2-4x^3+\cdots=\frac{1}{(1+x)^2}$$
$$\displaystyle \begin{aligned} 1-2x+3x^2-4x^3+\cdots &= \frac{1}{(1+x)^2} \\ \lim_{x\rightarrow 1^{-}}(1-2x+3x^2-4x^3+\cdots) &= \lim_{x\rightarrow 1^{-}}\frac{1}{(1+x)^2} \\ \\ \therefore 1-2+3-4+\cdots&=\frac{1}{(1+1)^2}=\frac{1}{4} \end{aligned}$$
2.2. 1+2+3+4+⋯
다시 라마누잔의 메모로 돌아가서 $$ c = 1 + 2 + 3 + 4 + \cdots $$으로 두고, 양 변에 4를 곱한 뒤 한 칸씩 엇갈려서 두 식을 빼면
앞에서
$$\displaystyle1-2+3-4+\cdots=\frac{1}{4}$$
$$\displaystyle -3c = \frac{1}{4} \; \to \; 1+2+3+4+\cdots=-\frac{1}{12}$$
$$\displaystyle1+2+3+4+\cdots=-\frac{1}{12} (\Re) $$
3. 그 외 유사한 결과들
3.1. 1−1+1−1+⋯
앞에서 언급한 무한등비급수
$$\displaystyle 1+x+x^2+x^3+x^4+\cdots=\frac{1}{1-x}$$
$$\displaystyle1-1+1-1+\cdots=\frac{1}{1+1}=\frac{1}{2} (\Re)$$
참고로, 이 급수는 그란디 급수란 이름이 있으며 라마누잔합은 '이렇게 부분합이 수렴하지 않는 무한급수의 값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란 질문에 답하기 위해 개발된 기법중 하나다.
3.2. 1+2+4+8+16+⋯
앞에서 언급한 무한등비급수
$$\displaystyle 1+x+x^2+x^3+x^4+\cdots=\frac{1}{1-x}$$
$$\displaystyle1+2+4+8+16+\cdots=\frac{1}{1-2}=-1 (\Re)$$
4. 일반화
해석적 정수론에서 아래의 형태의 '함수'로서 접하게 된다.
5. 리만 가설과의 관계
이 직관과는 거리가 먼 결과들은 나중에 리만 가설과 연관성이 발견되면서 재평가를 받는다.
리만 가설의 바로 그 베른하르트 리만은 소수 정리를 연구하면서 리만 제타 함수라는 것을 만드는데 아래와 같다.
$$\displaystyle\zeta(x) =\sum_{n=1}^\infty\frac{1}{n^x}$$
참고로, 리만 제타 함수에 $$x=-1$$을 대입하면 바로 위의 그 식이 나오며, 리만 제타 함수에서도 이 값은
$$\displaystyle \zeta(-1) = 1+2+3+4+\cdots=-\frac{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