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고바르드족

 



언어별 명칭
라틴어
Langobardi
이탈리아어
Longobardi
영어
Lombards
1. 개요
2. 기원
3. 이탈리아 정착
3.1. 후예
4. 현재
5. 역사적 평가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고대 게르만족의 한 지파로 랑고바르드, 롬바르드, 롱고바르드, 롱비어드라고도 불린다. 이탈리아 반도를 장악한 후에는 전(全) 이탈리아 왕국(Regnum totius Italiae)을 웠다.

2. 기원


이들이 어디서 언제 어떻게 분화되었고 어떤 곳에 살았는지는 다른 대이주를 벌인 여러 부족과 마찬가지로 자세한 기록이 전하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수많은 설 중 하나이지만, 여기서는 가장 유력한 파울루스 디아코누스가 편찬한 '랑고바르드 사'의 기록을 사용하겠다.
이들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시작해 수에비족과 함께 생활하기도 했는데, 이때 이들은 '''윈니리'''(늑대들)라는 이름으로 자칭했다. 본디 발트해 근역에서 살다가 어느 날을 기점으로 독일 북부와 덴마크 남부 쪽으로 이동했지만, 당시 그곳의 원주민 완달족과 벌인 경쟁에서 밀려나 5세기 무렵에 도나우 강 유역으로 이동했다. 그리고 그곳에서 세를 불려 판노니아 일대(현 헝가리 지역)를 정복하는 등 나름대로 세력을 구축하였다.
1세기 무렵 그들은 자칭을 '랑고바르디'라고 바꾸었는데 게르만어로 '긴수염들(long beard)'이란 뜻이다. 이 표현을 라틴어로 음역하여 로마인들이 Langobardi라고 하였는데, 로마는 이들이 수에비족의 분파라고 생각했다.(파울루스 디아코누스가 편찬한 '랑고바르드 사')

3. 이탈리아 정착



랑고바르드족은 북부 이탈리아를 침공하여 중심 도시였던 파비아를 정복하고서는 그곳을 수도로 삼고 572년 공식적으로 랑고바르드 왕국을 건국하였고, 774년 프랑크 왕국에게 멸망하였다.

3.1. 후예


랑고바르드족의 랑고바르드 왕국은 여기서 멸망하였지만 북부 이탈리아 일부 지역은 프랑크족 휘하에서도 현재의 롬바르디아로 불리게 된다.
이탈리아의 중남부 랑고바르드족들은 프랑크 제국의 반속국 상태에서 베네벤토 공국, 스플레토 공국, 살레르노 공국 등으로 여명을 유지했지만, 11세기 말 노르만족이 도래하며 정복되어 베네벤토 공국, 살레르노 공국은 시칠리아 왕국에 흡수되었다.

4. 현재


현재에 와서는 이탈리아와 완전히 동화되어서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물론 이 점은 동고트족이나 노르만족 같은 다른 토착민족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들이 주로 살던 이탈리아 북부가 현재 이탈리아의 실세가 되는 등 어찌보면 이들을 '''최후의 승자''' 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이 주로 살던 북부가 현재 이탈리아에서 가장 부유한 곳으로 이들의 이름이 붙은 '''롬바르디아''' 지역은 이탈리아는 물론 유로존 내에서도 손꼽히는 부자 동네다. 그리고 롬바르디 지역을 토대로 1990년대 초반에 등장한 이탈리아의 우익정당인 이탈리아 북부동맹이 북부 이탈리아의 분리 독립을 주장하며 파다니아 분리주의 운동을 하기도 한다.

5. 역사적 평가



랑고바르드 왕국을 보면 왕권과 국력이 약하다는 인상을 받는다. 567년 게피다이(Gepidae) 왕국을 패배시킴은 아바르 유목민과 동맹한 덕이었다. 이후 헝가리 평야로 아바르인이 물 밀려오듯이 이주하자 얼른 북이탈리아로 도망쳤다.
동고트족과 동로마와 다이나믹할 정도로 전세가 역전되는[1] 수없이 밀고 밀리는 공방전 와중에 이탈리아의 도시들과 성채가 크게 파괴되었고 농지도 황폐화되었다. 더군다나 전쟁 종결 이후에도 무시무시한 선페스트까지 돌아서 복구는커녕 이탈리아, 동로마 본국[2] 모두 너나 할 것 없이 헤롱헤롱거리는 중에 이탈리아의 들판과 부서진 도시와 성곽들을 별 저항 없이 접수했다.[3] 고트 전쟁이 일어나고 그 직후 랑고바르드족이 도래하여 사실상 '''이탈리아의 고대가 완전히 종결되었다고 여긴다.'''
랑고바르드의 알보인(Alboin) 왕은 게피다이의 마지막 왕 쿠니문드(Cunimund)의 딸 로자문드(Rosamund)를 아내로 취했으나, 말이 아내지 노예에 가깝게 대우했다. 572년, 알보인은 큰 연회를 열면서 쿠니문드의 두개골로 만든 술잔을 꺼내어 술을 붓고 로자문드에게 마시라고 강요했다. 공주는 강압에 못 이겨 술을 마셨지만 분노해서 알보인을 암살했다. 게다가 제후들은 다음 왕을 선출하길 거부해버려서 왕위가 한동안 공석이 되는 등 왕권은 땅에 떨어져서 사방에 중앙의 통제를 받지 않는 사실상 독립국인 공국들이 난립했다. 또한 왕과 왕조는 심심하면 역성혁명과 반란으로 몇 년도 가지 않아 갈아치워지는 일이 종종 일어났다.
뒤에 왕사에 나오는 리우트프란트 집권이후부턴 독립적인 공국들을 밟아버리고 나라의 기틀을 세워 왕권과 왕국의 힘이 강력해진다. 그 후에도 동로마 제국은 사산조로 인한 혈투와 멸망위기, 이슬람 발흥으로 인한 2차 멸망위기로 도무지 이탈리아에 병력을 보낼 형편이 안 되어서 이탈리아인 스스로 군대(사실상 민병대)를 조직하여 지키게 했는데도 랑고바르드령 영토로 사방이 고립된 아무 지원도 받지 못한 작은 성곽이나 도시들도 제대로 점령 못해서 야금야금 찔끔찔끔 한 개씩 땅따먹기나 겨우 가능했다.
결국 200년이나 지나서야 교황령과 남 이탈리아 일부 거점을 제외한 이탈리아 반도 통일을 이룰 '''뻔'''했다가 교황과 결탁한 프랑크 왕국에게 멸망했고, 롬바르디아라는 지명으로 흔적만 남았다.
[image]
랑고바르드 왕국이 이탈리아를 거의 통일했다보니 롬바르디아 철관은 이탈리아의 상징이 되었고 후대 군주들의 대관에도 사용되었다.
[clearfix]

6. 관련 문서



[1] 로마 시만 해도 주인이 여러 번 바뀌었다.[2] 전염병이 얼마나 심했는지 '''기존의 동로마의 모든 귀족가문이 싸그리 전멸했으며 당시 황제인 유스티니아누스 1세도 걸렸다가 겨우 살아났다.''' 과장이나 수사적인 표현이 아니다.[3] 그래도 사방이 롬바르드족 영토로 고립됐지만 동로마가 지킨 영토도 있다. 라벤나에서 아펜니노 산맥 한가운데의 페루지아를 거쳐 로마에 이르는 중북부의 회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