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종동
유희왕의 필드 마법 카드.
[image]
상대보다 많은 몬스터가 필드에 있는 플레이어의 몬스터 효과 발동 및 공격 선언을 봉쇄하는 효과와, 엔드 페이즈에 서로 필드의 몬스터 수가 같을 경우에 자괴하는 효과를 가진 필드 마법. ①②의 효과 모두 자신과 상대 중 몬스터 수가 많은 플레이어에게 제한을 걸어주는 효과로, 공격 선언과 몬스터 효과 발동이 제한되기에 대량전개를 통한 공격이 불가능해지며, 전개, 제거 등도 곤란해진다. 대량전개를 통한 제압이나 원턴킬에 대한 카운터로서 작용하게 된다. 메타버스나 종언의 땅으로 상대 턴에 발동해 제한을 걸 수도 있다.
다만 자신에게도 제약이 걸리므로 가급적 몬스터 수가 적은 상태가 되도록 혼자서 높은 제압력을 가진 카드나 섬도희 등의 소수 정예로 싸우는 덱에 이용하는 게 좋다. 몬스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는 비전투 계열 덱이라면 자신이 받는 영향도 경미해지며, 상대 전개를 견제할 수 있으므로 상성이 좋다.
특수 소환을 봉쇄하고 서로의 전개력을 둔화시키는 메타비트 계열의 덱에도 검토해볼만하지만, 몬스터가 1장씩 남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③의 효과로 자괴하기 쉬운 게 난점. 서로의 필드의 몬스터가 0인 경우라도 같은 수로 간주돼 파괴된다.
몬스터를 거의 안 쓰는 체인 번 덱 또한 이 카드와 호궁합.
다만, 링크 몬스터의 소재로 삼는 것으로 몬스터의 수를 줄이기 쉬운 게 허점. 그리고 수가 같아지면 제약이 없어지는 데다, ③의 효과로 엔드 페이즈에 자괴해서 제한이 해제되기에 몬스터의 수를 증감시키는 프리체인 카드를 어느 정도 병용하는 게 좋다. 구체적으론 상대 몬스터를 늘리는 방해꾼 트리오나 스스로 필드에서 벗어나는 태엽 래빗 등이 후보가 되겠다.
얼핏 보면 락 지향의 카드지만, 후공을 반격하는 카드로도 꽤 우수한 부류에 든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는 물론 패 유발 몬스터의 효과도 막을 수 있어 초동의 플레이를 견제하기 힘들어진다. 당연히 그대로 몬스터를 계속 전개하면 다음 자신 몬스터 효과를 쓰기가 힘들어지므로, 그 전에 자신이 파괴할지, 상대 몬스터의 수보다 많지 않게 유지할지는 연구가 필요하다.
등장 이후 몬스터를 전개하는 덱을 메타하는 강력한 락 효과 덕분에 이 카드를 중심으로 한 지뢰 덱이 구축됐으며, 듀얼 환경에서도 일정한 성과를 보였다. 상술한 대로 비트다운 외의 덱에선 디메리트를 대부분 무시하고 쓸 수 있으며, 락으로 행동을 봉인하는 사이 마법 / 함정 카드로 효과 데미지를 줘서 승리하는 전술이 주류가 됐다. 그 중에서도 파동 캐논은 1장으로 8000 번이 가능하기에, 덱 공간을 낭비하지 않고 남는 공간에 이 카드를 서치하는 카드나 제거에서 보호해주는 카드를 채용할 수 있어 상성이 좋다. 이 카드를 첫 턴에 활용하기 위해 메타버스나 종언의 땅 등도 채용해볼 수 있다.
또한 엑조디아를 쓰는 락 덱에도 활약할 여지는 충분하며, 메타버스를 이용해 상대 턴에 상대가 몬스터를 소환하면 발동하는 식으로 쓸 수 있다. 특히 요즘 환경에선 몬스터 위주의 견제가 주력이다보니 마법 / 함정 견제 카드가 많이 안 쓰인단 점에서 이점이 생긴다. 거기에 엑조디아덱은 몬스터가 안 쓰이다 보니 상대 턴에 소환에 맞춰 메타버스로 발동한 마종동은 자괴될 확률이 거의 없다.
또는 종언의 카운트 다운 덱에서 해피의 깃털같은 마법 / 함정 파괴 카드들을 막아줄 카드와 함께 채용하는 것도 좋다.
③은 파괴 효과라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 등으로 파괴를 막을 수 있다. Sin 덱은 전개력이 뛰어난 편이 아니라 효과의 상성이 좋아 투입을 고려할 수 있다.
유사한 대량 전개 방지 카드는 카이저 콜로세움도 있다. 해당 카드는 상대의 필드 전개 전에 발동해서 수를 제한시키지만, 이쪽은 상대가 대량 전개한 뒤에 써도 유효하다.
몬스터의 수가 적을수록 좋다는 점에서 슈팅 퀘이사 드래곤이나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같은 혼자서 높은 견제력을 자랑하는 몬스터와도 상성이 좋다. 하지만 자신의 효과 발동도 막으므로 몬스터 1장만 남은 상태라도 상대 몬스터가 없으면 그 견제력마저 봉인되기에 양날의 검이다.
막강한 성능으로 OCG에서 2019년 7월에 준제한, 2019년 10월엔 제한이 됐다.
일러스트에선 어떤 동굴에 침입한 전사나 모험가들 앞에 마석술사 크루드가 나타나 움직임을 봉인하고 있다. 정작 이 카드와 마석술사 크루드와의 궁합은 상극이다.
'''수록 팩 일람'''
[image]
상대보다 많은 몬스터가 필드에 있는 플레이어의 몬스터 효과 발동 및 공격 선언을 봉쇄하는 효과와, 엔드 페이즈에 서로 필드의 몬스터 수가 같을 경우에 자괴하는 효과를 가진 필드 마법. ①②의 효과 모두 자신과 상대 중 몬스터 수가 많은 플레이어에게 제한을 걸어주는 효과로, 공격 선언과 몬스터 효과 발동이 제한되기에 대량전개를 통한 공격이 불가능해지며, 전개, 제거 등도 곤란해진다. 대량전개를 통한 제압이나 원턴킬에 대한 카운터로서 작용하게 된다. 메타버스나 종언의 땅으로 상대 턴에 발동해 제한을 걸 수도 있다.
다만 자신에게도 제약이 걸리므로 가급적 몬스터 수가 적은 상태가 되도록 혼자서 높은 제압력을 가진 카드나 섬도희 등의 소수 정예로 싸우는 덱에 이용하는 게 좋다. 몬스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는 비전투 계열 덱이라면 자신이 받는 영향도 경미해지며, 상대 전개를 견제할 수 있으므로 상성이 좋다.
특수 소환을 봉쇄하고 서로의 전개력을 둔화시키는 메타비트 계열의 덱에도 검토해볼만하지만, 몬스터가 1장씩 남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③의 효과로 자괴하기 쉬운 게 난점. 서로의 필드의 몬스터가 0인 경우라도 같은 수로 간주돼 파괴된다.
몬스터를 거의 안 쓰는 체인 번 덱 또한 이 카드와 호궁합.
다만, 링크 몬스터의 소재로 삼는 것으로 몬스터의 수를 줄이기 쉬운 게 허점. 그리고 수가 같아지면 제약이 없어지는 데다, ③의 효과로 엔드 페이즈에 자괴해서 제한이 해제되기에 몬스터의 수를 증감시키는 프리체인 카드를 어느 정도 병용하는 게 좋다. 구체적으론 상대 몬스터를 늘리는 방해꾼 트리오나 스스로 필드에서 벗어나는 태엽 래빗 등이 후보가 되겠다.
얼핏 보면 락 지향의 카드지만, 후공을 반격하는 카드로도 꽤 우수한 부류에 든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는 물론 패 유발 몬스터의 효과도 막을 수 있어 초동의 플레이를 견제하기 힘들어진다. 당연히 그대로 몬스터를 계속 전개하면 다음 자신 몬스터 효과를 쓰기가 힘들어지므로, 그 전에 자신이 파괴할지, 상대 몬스터의 수보다 많지 않게 유지할지는 연구가 필요하다.
등장 이후 몬스터를 전개하는 덱을 메타하는 강력한 락 효과 덕분에 이 카드를 중심으로 한 지뢰 덱이 구축됐으며, 듀얼 환경에서도 일정한 성과를 보였다. 상술한 대로 비트다운 외의 덱에선 디메리트를 대부분 무시하고 쓸 수 있으며, 락으로 행동을 봉인하는 사이 마법 / 함정 카드로 효과 데미지를 줘서 승리하는 전술이 주류가 됐다. 그 중에서도 파동 캐논은 1장으로 8000 번이 가능하기에, 덱 공간을 낭비하지 않고 남는 공간에 이 카드를 서치하는 카드나 제거에서 보호해주는 카드를 채용할 수 있어 상성이 좋다. 이 카드를 첫 턴에 활용하기 위해 메타버스나 종언의 땅 등도 채용해볼 수 있다.
또한 엑조디아를 쓰는 락 덱에도 활약할 여지는 충분하며, 메타버스를 이용해 상대 턴에 상대가 몬스터를 소환하면 발동하는 식으로 쓸 수 있다. 특히 요즘 환경에선 몬스터 위주의 견제가 주력이다보니 마법 / 함정 견제 카드가 많이 안 쓰인단 점에서 이점이 생긴다. 거기에 엑조디아덱은 몬스터가 안 쓰이다 보니 상대 턴에 소환에 맞춰 메타버스로 발동한 마종동은 자괴될 확률이 거의 없다.
또는 종언의 카운트 다운 덱에서 해피의 깃털같은 마법 / 함정 파괴 카드들을 막아줄 카드와 함께 채용하는 것도 좋다.
③은 파괴 효과라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 등으로 파괴를 막을 수 있다. Sin 덱은 전개력이 뛰어난 편이 아니라 효과의 상성이 좋아 투입을 고려할 수 있다.
유사한 대량 전개 방지 카드는 카이저 콜로세움도 있다. 해당 카드는 상대의 필드 전개 전에 발동해서 수를 제한시키지만, 이쪽은 상대가 대량 전개한 뒤에 써도 유효하다.
몬스터의 수가 적을수록 좋다는 점에서 슈팅 퀘이사 드래곤이나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같은 혼자서 높은 견제력을 자랑하는 몬스터와도 상성이 좋다. 하지만 자신의 효과 발동도 막으므로 몬스터 1장만 남은 상태라도 상대 몬스터가 없으면 그 견제력마저 봉인되기에 양날의 검이다.
막강한 성능으로 OCG에서 2019년 7월에 준제한, 2019년 10월엔 제한이 됐다.
일러스트에선 어떤 동굴에 침입한 전사나 모험가들 앞에 마석술사 크루드가 나타나 움직임을 봉인하고 있다. 정작 이 카드와 마석술사 크루드와의 궁합은 상극이다.
'''수록 팩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