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쿼리은행

 

[image]
1. 개요
2. 민간투자사업 참여
3. 논란


1. 개요


호주 시드니에 본사가 있는 은행.
자회사들을 통해 부동산, 에너지, , 도로, 공항, 항만, 철도 등 민간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민영화의 부작용도 보여주는데 시드니 국제공항 같은 곳은 맥쿼리 계열사로 넘어간 이후 공항 이용료가 엄청나게 뛰었다. 공항철도 역시 맥쿼리에서 투자한지라 철도를 이용하여 시드니 공항을 가려고 해도 훨씬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한다.
맥쿼리증권 서울지점과 통합하면서 2019년 6월 맥쿼리은행 서울지점은 철수하였다. 신한금융지주와 합작 사업을 하는 일이 많았고 한국에서 금융리스 사업도 했다. 한국 내 기업의 사내 물품 중에서 가끔 '이 물품은 맥쿼리은행의 자산입니다'라는 취지의 스티커가 붙은 물건을 볼 수 있다. LG전자서비스의 서비스센터 장비들도 이 회사를 거쳐서 금융리스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호주에서는 개인금융도 취급한다. 예금계좌를 열면 마스터카드 플래티넘 카드가 발급된다. 계좌 유지비 $0, 호주 내 모든 ATM 이용료 $0, 해외 결제시 수수료 $0으로 혜택이 나쁘지 않다. 해외 ATM 이용 수수료는 $5으로 높은 편이다.

2. 민간투자사업 참여


[image]
맥쿼리는 호주의 금융사이지만 미국의 대형 금융사들이 거들떠 보지도 않던 틈새 시장인 인프라스트럭쳐 투자 시장을 개척해 업계 1위의 위용을 과시하고 있다.
[image]
대한민국에서도 서울 지하철 9호선, 마창대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우면산터널 등에 맥쿼리가 투자(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줄여서 맥쿼리인프라)한 민간투자사업이 있다. 9호선의 경우 요금 서울시 시의회의원 강희용의 과도한 최저수익률 보장, 요금 선정과정등에 대한 의혹제기로 서울특별시와 마찰을 빚어 2013년 8월 지분을 매각하고 철수하였다. 사실 맥쿼리인프라는 군인공제회, 신한금융지주, 한화생명, KDB생명 등 국내 자본과 합작하여 만든 회사이다. 그리고 맥쿼리인프라가 투자한 민간투자 사업은 국내 기관투자자들이 맥쿼리 이름만 빌려서 돈을 먹는다고 할 정도로 국내 지분이 많다. 맥쿼리인프라의 최대주주는 한화생명이며 맥쿼리측 지분율은 4.4%이다.

3. 논란


우면산 터널 사업 당시 서울시가 맥쿼리인프라와 협약을 갱신할 때 교통량을 크게 높여 잡았고 맥쿼리인프라는 최소운영수입 보장 조항 덕분에 보다 높게 측정된 운영수입을 보장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MRG방식의 민간투자는 우면산 터널 사업뿐만 아니라 서울 지하철 9호선 사업에도 적용되었다. 이 때 총 6구간 중 단 1구간에 투자한 맥쿼리인프라는 후순위채 관련 이자수익 15%, 운영수익의 9%를 가져갈 수 있었고 이러한 점에 대하여 당시 서울시 의원이었던 강희용의원은 이는 맥쿼리인프라에 대한 지나친 특혜라고 지적하였고 이러한 비판은 2012년 4월에 맥쿼리인프라의 일방적인 지하철 요금 인상에 대한 여론의 악화와 더불어 맥쿼리인프라가 서울 지하철 9호선에 대하여 철수를 결정하는데에 많은 역할을 하였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sec&sid1=103&oid=001&aid=0006553128
http://www.khan.co.kr/kh_news/art_view.html?artid=201204151550381&code=950201
이와 관련된 논란은 영화 맥코리아로 제작되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