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저 리그 베이스볼/2020년
1. 스토브 리그
1.1. 감독 교체
1.2. 트레이드
1.3. 신규 영입
1.4. 방출 및 임의탈퇴
1.5. 은퇴
1.6. FA
1.6.1. FA 대상자
1.6.2. FA 신청자
1.6.3. FA 계약
2. 경기 일정
3. 새로워진 규정
다음은 2020년 시즌 한정 규정이다.
- 아메리칸리그와 내셔널리그의 팀 간 경기를 같은 지구끼리만 치르게 되어서 동부지구 10팀/서부지구 10팀/중부지구 10팀씩으로 나뉘어 치르게 된다.[2]
- 내셔널리그에서도 지명타자가 도입된다.
- 같은 지구팀 중 원래 같은 리그 소속이랑 10경기씩 총 40경기와 같은 지구팀 중 원래 다른 리그 소속이랑 4경기씩 총 20경기를 치른다.
- 포스트시즌이 리그 당 8팀씩 진출하게 된다.
- 포스트시즌 1라운드는 3전 2선승이며, 3경기 모두 정규시즌에서 더 높은 성적[3] 을 거둔 팀의 홈경기로 치른다. 2라운드부터는 기존의 방식대로 한다.
- 부상자 명단이 45일로 축소 되었다.
- 코로나19에 걸린 선수에 한해 부상자명단에서 최소와 최대가 없어졌다.
- 그날 등판하지 않는 선수는 더그아웃에 있지 말아야한다.
- 이닝 교대 중에는 6피트 이상이 되어야 한다.
- 벤치클리어링 및 상대팀 친목 금지
- 침을 뱉거나 씹는 담배 하는거 금지.
- 더블헤더를 치르게 될 경우 더블헤더 두 경기는 모두 7이닝 경기가 된다.
- 연장전을 하게 될 경우 승부치기를 도입하여, 직전 이닝의 마지막 타자가 2루 주자로 들어간 채로 이닝을 시작한다. 해당 2루 주자가 득점 시 투수의 비자책점으로 처리된다. 포스트시즌에는 승부치기를 적용하지 않는다.
4. 달라지는 점
[1] 전세계로 퍼진 코로나 19 영향으로 인해 4월 9일로 연기 하였으나 CDC 권고로 7월 23일로 개막 연기.[2] 기존 서술에는 아메리칸리그와 내셔널리그의 구분이 없어진다고 되어있으나 포스트시즌은 각 리그의 디비전 1위와 2위가 자동진출 하고 8팀 중 나머지 두 팀은 각 리그의 승률 순서대로 두 팀을 더 뽑으므로 순위는 여전히 아메리칸리그와 내셔널리그의 순위를 따로 매긴다.[3] 각 지구 1위 세 팀 중 성적 순위 1위와 2위는 와일드카드로 진출한 두 팀과 각각 1라운드를 치르게 되며, 3순위는 6순위와 4순위는 5순위와 1라운드를 치른다. 정규시즌 성적이 같을 경우에는 시즌 후반 20경기의 성적이 더 좋은 팀이 상위 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