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간나
[clearfix]
1. 개요
백제 왕조의 제후. 백제 면중(面中) 지역을 분봉 받았다. 제24대 동성왕 시대의 후작이다. 백제의 유명한 대성팔족 목씨 귀족 출신. 참고로 백제의 목씨는 근초고왕 대 한반도 중남부 정벌을 주도하며 세력을 확대했으며 이후로도 정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2. 생애
2.1. 남제서 기록
목간나는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 한국의 사서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 중국의 역사서인 《남제서》에 등장한다.
목간나는 목씨 귀족이고 분명히 백제의 뛰어난 장수였을 것이다. 또한 면중의 후작이었던 만큼 정치적으로도 큰 영향을 줬겠지만 아쉽게도 매우 단편적 기록 밖에 없다.
2.2. 북위를 무찌르다
서기 490년 북위가 백제를 침공하자[1] 목간나는 동성왕의 명을 받아 사법명, 찬수류, 해예곤와 함께 북위군을 대파했다.
네 장군 중 가장 큰 전공을 세운 듯 하다. 목간나만 추가적인 설명이 붙어있다. 전쟁 이전 젊은 나이에도 이미 군공이 있었다고 하며, 북위와 전쟁 중, 북위군의 누선을 크게 격파했다고 돼 있다. 또한 북위 '해군'을 괴멸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는 걸 보아 북위군은 해로를 통해 침공했다고 추정되고 있다.
2.3. 제후에 봉해지다
백제의 동성왕은 천자(天子)처럼 종실 및 공신에게 작위를 하사해 분봉(分封)을 실시했다. 하지만 남제 등 중국 왕조들에겐 제후국을 자처했음으로 그들에게 백제가 내린 작위를 인정해달라는 제스처를 취했다.
즉 '내가 내린건 임시로 한거니까 님이 허락 해주셈!' 같이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작위를 봉했다. 그리하여 목간나는 ''''광위장군 면중후(廣威將軍 面中侯)''''의 관작을 제수받았다. 광주지역을 관리했다고 나와있으며, 해외경영에도 손을 대 무지막지한 부자에 올랐다고 한다.
2.3.1. 관작의 의미
광위(廣威)은 '널리 위엄을 떨치다'란 의미. 면중은 구 마한 지역, 즉 현 전라도 일대의 지역명이다. '널리 위엄을 펼친 장군'이자 '면중의 후작'인 셈.
도한왕(都漢王) 저근의 전 작위가 면중왕이었다. 저근의 시대엔 면중의 독립성이 매우 강해 왕작이 분봉됐지만 목간나의 시대엔 백제에 꽤나 흡수되 후작으로 내려간 걸지도 모른다. 아니면 동성왕이 이미 세력이 월등히 강한 목씨에게 왕작을 주기 싫었던 걸 수도.
그가 분봉받은 면중(面中) 지역은 현 전라남도 광주에 비정하는 설이 있는데, 조상뻘인 목라근자와 목만치처럼 백제 남부 경영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