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중흥공신(中興功臣)
[1] 폐가입진의 논리로 창왕의 폐위와 공양왕의 옹립에 공을 세운 공신, 이른바 흥국사 9공신
1.2.1. 개국공신(開國功臣)
[2] 1400년, 박포는 제2차 왕자의 난에서의 죄로 공신에서 제명되었다. 1409년,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에서 숙청된 정도전, 이근, 장지화, 심효생, 오몽을, 이제, 남은은 공신에서 제명되었다.(이제와 남은은 1421년 태종에 의해 복권되었으며, 정도전은 1865년 신정왕후의 명을 받은 고종에 의해 복권되었다.) 같은 날, 조박은 자신의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공신에서 제명되었다. 1411년, 손흥종과 황거정은 이숭인, 이종학을 죽인 혐의로 폐서인되었다. 1415년, 이직은 공신에서 제명되었다가 1422년 복권되었다. 1416년, 회안군은 심종과 내통한 일로 녹권을 추탈당했다. 1417년, 장사정은 회안대군의 첩과 간통한 죄로 공신에서 제명되었다. 1418년, 정용수는 동북면의 난에 연루되어 공신에서 제명되었다가 1437년 복권되었다. 1422년, 장담은 제2차 왕자의 난에서의 죄로 공신에서 제명되었다.
1.2.8. 좌리공신(佐理功臣)
[9] 성종 2년, 임금을 잘 보좌하고 정치를 잘하였다는 공로로 내린 공신. 특별한 사건도 없었고 큰 치적이 될만한 실적도 없었는데도 공신을 만들었기에 가뜩이나 세조 이래로 공신이 많은 마당에 불필요한 공신을 남발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결국 공신들이 누적해서 특권을 더 챙기게 되고 이는 훈구파가 특권층이 되어 부정부패를 저질러 조선 사회가 혼탁해지는 원인이 된다.
1.2.10. 정난공신(定難功臣)
[11] 이과의 옥사를 다스린 공신. 죽은 사람은 이과 본인 포함 세 명 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유배로 마무리 지었을 정도로 역모치곤 그저그런 사건이라 공신 본인들조차 공신 남발이 과하다고 사양했으나 중종이 강력한 의지로 녹훈을 강행했다. 즉위 초 자신의 위치를 불안하게 여긴 중종이 공신들과의 연대를 튼튼히 하려 했다고 흔히 평가된다.
1.2.13. 선무공신(宣武功臣)
[14]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을 물리쳤거나, 명에 원군을 요청한 공신
1. 功臣
'''공신'''(
功臣)은, 한 왕조를 세우거나 유지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신하를 뜻한다.
하지만 이름만 번지르르하지, 왕권을 넘볼 수 있다는 이유로 취급은 안습인 경우가 많다. 나라 세우는데 전부 한 몫씩 보탠 사람들이니 뭐 하나 나눠먹고 싶지 않겠는가. 왕의 입장에서는 정말 골칫거리였을 것이다. 그래서 나라를 안정시키고 나서 '''숙청 대상 1순위'''에 단골로 이름을 올리는 것이 바로 이 '공신'들이다. 문자 그대로 반역죄 씌워서
죽이는 경우도 있다.
주원장이나 한 고조
유방이 이 방면에선 너무 유명하다. 지방에 봉토를 하사하여 내려보내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의 대표적인 예는 송 태조
조광윤. 어쨌든간 죽지 않으면 허튼 의심 받지 않도록 중앙 정계엔 알아서 눈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공신 중 열의 아홉은 왕권 강화를 위한 희생양이 되는 것이 다반사'''이며, 공신이 큰 권세를 누렸다는 것은 정말 능력이 아까울 정도로 뛰어났거나, 정치질을 잘했거나, 큰 신임을 받았거나, 아니면 그냥 왕 말을 잘들어서다.
정변 후 공신을 책봉 할 땐 딱히 한 일이 없는 사람도 공신으로 책봉하곤 한다. 그 이유론 다음과 같다.
- 쿠데타로 집귄한 직후인 만큼 민심 수습이나 지지세력 확보를 위하여 명망 높은 대신이나 원로, 혹은 정파를 대표할 만한 사람을 포섭하고 이를 내세우는 목적이다. 이 사례로 조선의 개국공신의 1등 중에는 배극렴이 있는데 배극렴은 옥새 들고 간거 외엔 한거 없었다. 그리고 무인정사의 공신 명단인 정사공신 중에는 실질 공적이 가장 큰 이숙번과 태종의 처남인 민씨 형제들이 2등 공신으로 책봉한 반면 본래 태종과 거리가 있었고 무인정사 때 딱히 한 일도 없는 원로 대신인 조준, 김사형이 1등 공신에 책봉되었다.
- 정통성이 부족할수록 공신을 많이 책봉한다. 계유정난 이후 세조는 원종공신으로 2000명이나 책봉했는데 2000명 정도면 문무관원 거의 다였고 정국공신은 무려 100여명이나 책봉되었다.(그것도 반정 일으킨 핵심부에게 로비 잘 해서 친인척들을 집어넣은 이들도 있었다.) 심지어는 정난공신 목록 중에는 이후 사육신의 명단에 오르는 성삼문도 목록에 있다. 공신들이 과하게 많다보니 대간이 개정을 요구해야했을 정도다. 그리고 정국공신은 대게 문관일수록 높은곳에, 무관과 종친일수록 낮은 곳에 책봉되었는데 이것도 말썽을 불렀다. 대간의 요구에 개정을 했는데 문제는 문관은 놔두고 무관과 종친의 일부를 개정한것.
- 책봉하는 사람이 꼴리는대로 공이 없는 경우에도 책봉된다. 3의 사례로는 임진왜란 이후의 선무공신과 호종공신이 있는데 선무공신 1등에는 이순신,권율,원균 꼴랑 셋뿐이며 책봉 당시 셋은 죽고 없었으며 원균은 신하들이 눈치를 보아 2등에 배정한것을 선조가 우겨서 1등에 집어넣은거다. 그리고 선무공신들 중에서 의병 출신은 한명도 없고 의병들은 죄다 원종공신에 책봉되었으며[20]
이것은 사실 선조를 생각하면 지극히 당연한 결과이다. 임진왜란 시기 수도 한성, 몽진갔던 개성, 사수하겠다고 구라친 평양을 모두 버리고, 의주까지 갔다가 그마저도 위험하다는 생각에 압록강을 건너 요동에 가겠다고 난리를 친 인간이다. 이 사람에게 왜군과 싸운 사람들은 자신의 자리 위협자로만 보이지 자신의 신하가 아니였다. 따라서 선조는 명나라의 지원군에 역할을 과대포장하면서 재조지은이라는 웃기지도 않는 결과를 만들어서 자신의 도주행위를 정당화시켰다. 이에 따르면 왜군은 명군이 오직 격퇴한 것이고, 자신은 이 명군을 부르기 위해서 위주로 갔으며, 조선의 군인들은 사소한 작은 공을 세운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사소한 작은 공을 과도하게 포상할 이유가 전혀없었다.
호종공신도 숙수니 의원[21] 그 의원이 바로 허준인데, 당시 왕을 따라갔던 이들은 목숨 걸고 따라간 것이긴 하니 왕의 입장에서는 사리사욕을 채운다고 인식한 의병들보다는 이런 사람들이 더 고마울 수도 있었다.
이니 하는 이들까지 집어넣었고 심지어 왕자인 신성군,정원군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배향공신이라 하여 나라에 공이 많은 명신들은
종묘에 임금의 신주와 함께 모시기도 했다.
공신 대다수가 정변을 성공시켜 받는 경우다보니 이름이 무색하게 나라에 오히려 해악을 준 이들이 더 많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때문에 정치적 목적에 좌우되기 쉽고 외적을 무찌른 진정한 공로자는 무시당하는 경우가 많다.
현대에는
훈장,
포장,
기장을 공식 수여받은 사람이거나
국가유공자 및 이와 유사한 각 분야의 공식 유공자가 공신과 비숫하다고 할 수 있다. 자세한 건 각 해당 문서 참조. 또한 국가의 표창과 상을 받은 사람들도 공신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외에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총선거, 지방선거 등에서 승리에 큰 역할을 한 인사들을 공신으로 부르기도 한다.
1.1. 고려의 공신
1.1.1. 개국공신(삼한벽상공신)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은 940년
신흥사를 중수할때 이곳에 공신당(功臣堂)을 세우고 동서 벽에 삼한공신의 모습을 그렸는데, 이벽에 그려진 공신들을 따로 지칭하는 것으로 태조시대 공신들 중에서 가장 큰 공을 세운 사람들을 지칭한다.
- 강지연
- 구존유
- 최정헌(崔貞獻):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22]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사도(司徒) 삼중대광(三重大匡). 용문사중수비 기록.
- 염형명(廉邢明): 삼한공신[23]
- 김극렴(金兢廉): 삼한공신[24]
- 허선명(許宣明)[25]
- 류차달(柳車達)[26]
삼한벽상공신은 고려시대 공신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이후에 이만큼 큰 공을 세운 사람에게는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이라고 해서 맞먹는 등급으로 해주었다.
이 외에도,
정중부,
이의방,
이고가
의종을 폐하고
명종을 세운 후 벽상공신으로 봉해졌으나 이들이 실각한 후 모두 취소되었을 것이다. 위의 이의민이나 그 다음
최충헌,
최우도 벽상공신이었으나 역시 삭탈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1.1.3. 중흥공신(中興功臣)[27] 폐가입진의 논리로 창왕의 폐위와 공양왕의 옹립에 공을 세운 공신, 이른바 흥국사 9공신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중흥공신(中興功臣)
|
| 화령군개국충의백(和寧郡開國忠義伯)
| 이성계(李成桂)
| 1335
| 1408
|
정안공(定安公)
| 청성군충의백(靑城郡忠義伯)
| 심덕부(沈德符)
| 1328
| 1401
|
문충공(文忠公)
| 익양군충의백(益陽郡忠義伯)
| 정몽주(鄭夢周)
| 1337
| 1392
|
문충공(文忠公)
| 조선군충의군(朝鮮郡忠義君)
| 조준(趙浚)
| 1346
| 1405
|
| 충의군(忠義君)
| 지용기(池湧奇)
| ?
| 1392
|
문정공(文貞公)
| 충의군(忠義君)
| 설장수(偰長壽)
| 1341
| 1399
|
| 충의군(忠義君)
| 박위(朴葳)
| ?
| 1398
|
문경공(文景公)
| 창성군충의군(昌城郡忠義君)
| 성석린(成石璘)
| 1338
| 1423
|
문헌공(文憲公)
| 충의군(忠義君)
| 정도전(鄭道傳)
| ?
| 1398
|
- 정원공신
- 최충헌: 익성정국동심좌명치리우모일덕안사제세희대찬화협보익량상견주번한주당경광찬우익복벽재조격천관일늑정기상문경호위향리석안산기촉물전수결승한광한상악강천수평행보아정전서일금려미매속사득체선구명O질주택초대외소회반국정세제빈인사보상광구총관O사종덕화민게부재성제천보애변리윤촉유정원공신(翊聖靖國同心佐命致理訏謨逸德安社濟世熙載賛化夾輔翼亮商楫周藩漢柱唐鏡光賛羽翼復辟再造格天貫日勒鼎紀常文經虎緯嚮理措安先機燭物轉籌决勝寒纊旱霖嶽降天授平衡保阿定典畫一金礪羹梅練事得軆先口明O叱秦吒楚大畏小懷磐國鼎世帝賚人師輔相匡救揔管O事種德和民啓沃裁成濟川補哀燮理綸燭幽定遠功臣)[최충헌묘지명]
- 김방경: 삼한벽상추충정난정원공신
- 진국공신
- 윤관: 추충좌리평융척지진국공신(推忠佐理平戎拓地鎭國功臣)
- 최우: 오대진국공신(鼇戴鎭國功臣)[1228년]
- 찬화공신
- 이공수
- 이금서
- 이색: 문충보절찬화공신(文忠保節贊化功臣)
- 이색: 추충보절동덕찬화공신(推忠保節同德贊化功臣)
- 좌리공신
- 이자겸: 추성좌리공신(推誠佐理功臣)
- 최충헌: 충성좌리공신(忠誠佐理功臣)[1197년]
- 양절보리공신(亮節輔理功臣)
- 이엄: 수성양절보리공신(輸誠亮節輔理功臣)
- 윤환: 수성양절보리공신(輸誠亮節輔理功臣)
- 치리공신
- 최충: 추충찬도협모동덕치리공신(推忠贊道恊謀同德治理功臣)[1053년]
- 강제공신
- 최충: 추충찬도좌리동덕홍문의유보정강제공신(推忠贊道佐理同德弘文懿儒保定康濟功臣)[1055년]
1.2. 조선의 공신
1.2.1. 개국공신(開國功臣)[28] 1400년, 박포는 제2차 왕자의 난에서의 죄로 공신에서 제명되었다. 1409년,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에서 숙청된 정도전, 이근, 장지화, 심효생, 오몽을, 이제, 남은은 공신에서 제명되었다.(이제와 남은은 1421년 태종에 의해 복권되었으며, 정도전은 1865년 신정왕후의 명을 받은 고종에 의해 복권되었다.) 같은 날, 조박은 자신의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공신에서 제명되었다. 1411년, 손흥종과 황거정은 이숭인, 이종학을 죽인 혐의로 폐서인되었다. 1415년, 이직은 공신에서 제명되었다가 1422년 복권되었다. 1416년, 회안군은 심종과 내통한 일로 녹권을 추탈당했다. 1417년, 장사정은 회안대군의 첩과 간통한 죄로 공신에서 제명되었다. 1418년, 정용수는 동북면의 난에 연루되어 공신에서 제명되었다가 1437년 복권되었다. 1422년, 장담은 제2차 왕자의 난에서의 죄로 공신에서 제명되었다.<참고로 여기서 나오는 공신 제명은 개국공신뿐만 아니라 밑에 나오는 정사공신을 포함한다.>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좌명개국공신 (佐命開國功臣)[29] 정안군, 익안군, 회안군은 1398년 추가되었다.
| 정절공(貞節公)
| 성산백(星山伯)
| 배극렴(裵克廉)
| 1325
| 1392
|
문충공(文忠公)
|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 조준(趙浚)
| 1346
| 1405
|
익원공(翼元公)
|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
| 김사형(金士衡)
| 1341
| 1407
|
문헌공(文憲公)
| 봉화백(奉化伯)
| 정도전(鄭道傳)
| ?
| 1398
|
경무공(景武公)
| 흥안군(興安君)
| 이제(李濟)
| ?
| 1398
|
양소공(襄昭公)
| 의안대군(義安大君)
| 이화(李和)
| 1348
| 1408
|
양경공(良景公)
| 계림부원군(雞林府院君)
| 정희계(鄭熙啓)
| 1348
| 1396
|
양렬공(襄烈公)
| 청해군(靑海君)
| 이지란(李之蘭)
| 1331
| 1402
|
강무공(剛武公)
| 의성군(宜城君)
| 남은(南誾)
| 1354
| 1398
|
희양공(僖襄公)
|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 장사길(張思吉)
| ?
| 1418
|
문민공(文愍公)
| 서원군(西原君)
| 정총(鄭摠)
| 1358
| 1397
|
충정공(忠靖公)
| 한산군(韓山君)
| 조인옥(趙仁沃)
| 1347
| 1396
|
충경공(忠景公)
|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
| 남재(南在)
| 1351
| 1419
|
익경공(翼景公)
|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
| 정탁(鄭擢)
| 1363
| 1423
|
문평공(文平公)
| 평원군(平原君)
| 조박(趙璞)
| 1356
| 1408
|
충민공(忠愍公)
| 익화군(益和君)
| 김인찬(金仁贊)
| ?
| 1392
|
| 보성군(寶城君)
| 오몽을(吳蒙乙)
| ?
| 1398
|
안양공(安襄公)
| 익안대군(益安大君)
| 이방의(李芳毅)
| 1360
| 1404
|
양희공(良僖公)
| 회안대군(懷安大君)
| 이방간(李芳幹)
| 1364
| 1421
|
[A] 성덕신공건천체극대정계우문무예철성렬광효대왕(聖德神功建天體極大正啓佑文武睿哲成烈光孝大王)
| 정안대군(靖安大君)
| 이방원(李芳遠)
| 1367
| 1430
|
협찬개국공신 (協贊開國功臣)[30] 조견은 1392년 9월 27일에 추가되었다. 황희석은 원래 원종공신이었으나, 같은 해 11월 19일 승격되었다.
| 정후공(靖厚公)
| 파평군(坡平君)
| 윤호(尹虎)
| ?
| 1393
|
직헌공(直憲公)
| 상산군(商山君)
| 이민도(李敏道)
| 1336
| 1395
|
|
| 조영규(趙英珪)
| ?
| 1395
|
숙위공(肅魏公)
| 부흥군(復興君)
| 조반(趙胖)
| 1341
| 1401
|
양절공(良節公)
| 한천부원군(漢川府院君)
| 조온(趙溫)
| 1347
| 1417
|
충위공(忠魏公)
| 은천군(銀川君)
| 조기(趙琦)
| ?
| 1395
|
문경공(文景公)
| 남양군(南陽君)
| 홍길민(洪吉旼)
| 1353
| 1407
|
문희공(文僖公)
|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
| 유창[31](劉敞)
| 1352
| 1421
|
평간공(平簡公)
|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 조견(趙狷)
| 1351
| 1425
|
양무공(襄武公)
| 평해군(平海君)
| 황희석(黃希碩)
| ?
| 1394
|
호목공(胡穆公)
| 장성군(長城君)
| 정용수(鄭龍壽)
| ?
| 1412
|
양안공(良安公)
| 결성군(結城君)
| 장담(張湛)
| ?
| 1400
|
| 죽성군(竹城君)
| 박포(朴苞)
| ?
| 1400
|
익대개국공신 (翊戴開國功臣)[32] 민여익, 임언충, 장사정, 한상경, 한충, 황거정은 1392년 9월 27일에 추가되었다.
| 양도공(良度公)
|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 안경공(安景恭)
| 1347
| 1421
|
제숙공(齊肅公)
| 계림군(雞林君)
| 김균(金稛)
| ?
| 1398
|
| 서성군(瑞城君)
| 유원정(柳爰廷)
| ?
| 1399
|
문경공(文景公)
|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
| 이직(李稷)
| 1362
| 1431
|
공희공(恭僖公)
| 영성군(寧城君)
| 오사충(吳思忠)
| 1327
| 1406
|
문간공(文簡公)
| 안평부원군(安平府院君)
| 이서(李舒)
| 1332
| 1410
|
충무공(忠武公)
|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
| 조영무(趙英茂)
| ?
| 1414
|
양후공(良厚公)
| 완산군(完山君)
| 이백유(李伯由)
| 1352
| 1399
|
강양공(剛襄公)
| 흥원군(興原君)
| 이부(李敷)
| ?
| 1422
|
공경공(恭頃公)
| 연성군(延城君)
| 김로(金輅)
| 1355
| 1416
|
| 고성군(高城君)
| 고여(高呂)
| ?
| 1402
|
정평공(定平公)
| 동원군(東原君)
| 함부림(咸傅霖)
| 1360
| 1410
|
문간공(文簡公)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 한상경(韓尙敬)
| 1360
| 1423
|
|
| 임언충(任彦忠)
| ?
| ?
|
|
| 한충(韓忠)
| ?
| ?
|
| 이천군(伊川君)
| 손흥종(孫興宗)
| ?
| ?
|
| 부성군(富城君)
| 심효생(沈孝生)
| 1349
| 1398
|
|
| 이근(李懃)
| ?
| 1398
|
| 화성군(花城君)
| 장사정(張思靖)
| ?
| ?
|
| 흥성군(興城君)
| 장지화(張至和)
| ?
| 1398
|
| 의원군(義原君)
| 황거정(黃居正)
| ?
| ?
|
양경공(良敬公)
| 여천부원군(驪川府院君)
| 민여익(閔汝翼)
| 1360
| 1431
|
1.2.2. 정사공신(定社功臣)[33]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정사일등공신 (定社一等功臣)
| 양소공(襄昭公)
| 의안대군(義安大君)
| 이화(李和)
| 1348
| 1408
|
안양공(安襄公)
| 익안대군(益安大君)
| 이방의(李芳毅)
| ?
| 1404
|
양희공(良僖公)
| 회안대군(懷安大君)
| 이방간(李芳幹)
| 1364
| 1421
|
[A] 성덕신공건천체극대정계우문무예철성렬광효대왕(聖德神功建天體極大正啓佑文武睿哲成烈光孝大王)
| 정안대군(靖安大君)
| 이방원(李芳遠)
| 1367
| 1430
|
경숙공(景肅公)
| 상당군(上黨君)
| 이애(李薆)[B] 초명은 이백경(李伯剛), 이후 이저(李佇)로 개명했다가 다시 이애(李薆)로 개명
| 1363
| 1414
|
문충공(文忠公)
|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 조준(趙浚)
| 1346
| 1405
|
익원공(翼元公)
|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
| 김사형(金士衡)
| 1341
| 1407
|
문충공(文忠公)
|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
| 하륜(河崙)
| 1347
| 1416
|
충무공(忠武公)
|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
| 조영무(趙英茂)
| ?
| 1414
|
문도공(文度公)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 이거이(李居易)
| 1348
| 1412
|
익평공(翼平公)
| 단산부원군(丹山府院君)
| 이무(李茂)
| 1355
| 1409
|
문평공(文平公)
| 평원군(平原君)
| 조박(趙璞)
| 1356
| 1408
|
정사이등공신 (定社二等功臣)
| 안소공(安昭公)
|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
| 이양우(李良祐)
| 1346
| 1417
|
안간공(安簡公)
| 봉녕부원군(奉寧府院君)
| 이복근(李福根)
| ?
| 1421
|
양렬공(襄烈公)
| 청해군(靑海君)
| 이지란(李之蘭)
| 1331
| 1402
|
희양공(僖襄公)
|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 장사길(張思吉)
| ?
| 1418
|
양절공(良節公)
| 한천부원군(漢川府院君)
| 조온(趙溫)
| 1347
| 1417
|
공경공(恭頃公)
| 연성군(延城君)
| 김로(金輅)
| 1355
| 1416
|
익경공(翼景公)
|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
| 정탁(鄭擢)
| 1363
| 1423
|
양도공(襄度公)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
| 이천우(李天祐)
| ?
| 1417
|
| 여강군(驪江君)
| 민무구(閔無咎)
| ?
| 1410
|
| 여성군(驪城君)
| 민무질(閔無疾)
| ?
| 1410
|
충숙공(忠肅公)
| 안성군(安城君)
| 이숙번(李叔蕃)
| 1373
| 1440
|
양안공(良安公)
| 결성군(結城君)
| 장담(張湛)
| ?
| 1400
|
| 화성군(花城君)
| 장사정(張思靖)
| ?
| ?
|
장양공(莊襄公)
| 화산군(花山君)
| 장철(張哲)
| ?
| 1399
|
| 취산군(鷲山君)
| 신극례(辛克禮)
| ?
| ?
|
| 청원군(淸原君)
| 심종(沈悰)
| ?
| 1418
|
| 죽산군(竹城君)
| 박포(朴苞)
| ?
| 1400
|
1.2.3. 좌명공신(佐命功臣)[34]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좌명일등공신 (佐命一等功臣)
| 경숙공(景肅公)
| 상당군(上黨君)
| 이애(李薆)[B] 초명은 이백경(李伯剛), 이후 이저(李佇)로 개명했다가 다시 이애(李薆)로 개명
| 1363
| 1414
|
문충공(文忠公)
|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
| 하륜(河崙)
| 1347
| 1416
|
충무공(忠武公)
|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
| 조영무(趙英茂)
| ?
| 1414
|
문도공(文度公)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 이거이(李居易)
| 1348
| 1412
|
익평공(翼平公)
| 단산부원군(丹山府院君)
| 이무(李茂)
| 1355
| 1409
|
| 여강군(驪江君)
| 민무구(閔無咎)
| ?
| 1410
|
| 여성군(驪城君)
| 민무질(閔無疾)
| ?
| 1410
|
충숙공(忠肅公)
| 안성군(安城君)
| 이숙번(李叔蕃)
| 1373
| 1440
|
| 취산군(鷲山君)
| 신극례(辛克禮)
| ?
| ?
|
좌명이등공신 (佐命二等功臣)
| 경절공(景節公)
| 계성군(鷄城君)
| 이내(李來)
| 1362
| 1416
|
양소공(襄昭公)
| 의안대군(義安大君)
| 이화(李和)
| 1348
| 1408
|
양도공(襄度公)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
| 이천우(李天祐)
| ?
| 1417
|
좌명삼등공신 (佐命三等功臣)
| 문경공(文景公)
|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 성석린(成石璘)
| 1388
| 1423
|
제의공(齊懿公)
| 완천군(完川君)
| 이숙(李淑)
| 1373
| 1406
|
양렬공(襄烈公)
| 청해군(靑海君)
| 이지란(李之蘭)
| 1331
| 1402
|
| 의원군(義原君)
| 황거정(黃居正)
| ?
| ?
|
정경공(貞景公)
| 칠성군(漆城君)
| 윤저(尹柢)
| ?
| 1412
|
양소공(襄昭公)
| 의성군(義城君)
| 김영렬(金英烈)
| ?
| 1404
|
소정공(昭靖公)
| 파평군(坡平君)
| 윤곤(尹坤)
| ?
| 1422
|
평도공(平度公)
| 금천부원군(錦川府院君)
| 박은(朴訔)
| 1370
| 1422
|
문숙공(文肅公)
| 평양군(平陽君)
| 박석명(朴錫命)
| 1370
| 1406
|
충정공(忠靖公)
| 장흥부원군(長興府院君)
| 마천목(馬天牧)
| 1358
| 1431
|
| 평천군(平川君)
| 조희민(趙希閔)
| ?
| 1410
|
| 서성군(瑞城君)or서령군(瑞寧君)
| 유기(柳沂)
| ?
| 1410
|
좌명사등공신 (佐命四等功臣)
| 양절공(良節公)
| 한천부원군(漢川府院君)
| 조온(趙溫)
| 1347
| 1417
|
문충공(文忠公)
| 길창군(吉昌君)
| 권근(權近)
| 1352
| 1409
|
문경공(文景公)
|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
| 이직(李稷)
| 1362
| 1431
|
충경공(忠景公)
|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 류량(柳亮)
| 1356
| 1416
|
양경공(良敬公)
|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 조연[35](趙涓)
| 1374
| 1429
|
양경공(襄景公)
|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 김승주(金承霔)
| 1354
| 1424
|
장양공(莊襄公)
| 마성군(麻城君)
| 서익(徐益)
| ?
| 1412
|
강양공(康襄公)
| 남양군(南陽君)
| 홍서(洪恕)
| ?
| 1418
|
정평공(靖平公)
| 칠원부원군(漆原府院君)
| 윤자당(尹自當)
| ?
| 1422
|
|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 이원(李原)
| 1368
| 1429
|
공의공(恭懿公)
| 계림군(鷄林君)
| 이승상(李升商)
| ?
| 1413
|
위정공(威靖公)
| 연성군(連城君)
| 김정경(金定卿)
| 1345
| 1419
|
양경공(良景公)
| 이성군(利城君)
| 서유(徐愈)
| 1356
| 1411
|
정경공(貞景公)
| 영양군(永陽君)
| 이응(李膺)
| 1365
| 1414
|
양후공(襄厚公)
| 장천부원군(長川府院君)
| 이종무(李從茂)
| 1360
| 1425
|
정양공(靖襄公)
| 풍산군(豐山君)
| 심귀령(沈龜齡)
| 1350
| 1413
|
정후공(靖厚公)
| 곡산부원군(谷山府院君)
| 연사종(延嗣宗)
| ?
| 1434
|
공무공(恭武公)
|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
| 한규(韓珪)
| ?
| 1416
|
양정공(襄靖公)
| 희천군(熙川君)
| 김우(金宇)
| ?
| 1418
|
평익공(平翼公)
| 월천군(越川君)
| 문빈(文彬)
| ?
| 1413
|
충정공(忠靖公)
| 여산 부원군(礪山府院君)
| 송거신(宋居信)
| 1369
| 1437
|
1.2.4. 정난공신(靖難功臣)[36]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정난일등공신 (靖難一等功臣)
| [37] 승천체도열문영무지덕융공성신명예흠숙인효대왕(承天體道烈文英武至德隆功聖神明睿欽肅仁孝大王)
| 수양대군(首陽大君)
| 이유(李瑈)
| 1417
| 1468
|
문성공(文成公)
|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 정인지(鄭麟趾)
| 1396
| 1478
|
양절공(襄節公)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 한확(韓確)
| 1403
| 1456
|
성렬공(成烈公)
|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 박종우(朴從愚)
| ?
| 1464
|
양효공(襄孝公)
| 연산군(延山君)
| 김효성(金孝誠)
| ?
| 1454
|
문안공(文安公)
| 견성부원군(甄城府院君)
| 이사철(李思哲)
| 1405
| 1456
|
문열공(文烈公)
| 한성군(韓城君)
| 이계전(李季甸)
| 1404
| 1459
|
문정공(文靖公)
| 영성부원군(寧城府院君)
| 최항(崔恒)
| 1409
| 1474
|
안무공(安武公)
|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
| 홍달손(洪達孫)
| 1415
| 1472
|
익평공(翼平公)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 권람(權擥)
| 1416
| 1465
|
충성공(忠成公)
|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 한명회(韓明澮)
| 1415
| 1487
|
정난이등공신 (靖難二等功臣)
| 안숙공(安肅公)
| 안천군(安川君)
| 권준(權蹲)
| 1405
| 1459
|
문충공(文忠公)
| 고령부원군(高靈府院君)
| 신숙주(申叔舟)
| 1417
| 1475
|
성안공(成安公)
| 영평군(鈴平君)
| 윤사윤(尹士昀)
| 1409
| 1461
|
안양공(安襄公)
| 문성군(文城君)
| 유수(柳洙)
| 1415
| 1481
|
충양공(忠襄公)
| 문산군(文山君)
| 유하(柳河)
| 1415
| 1474
|
위평공(威平公)
| 인산부원군(仁山府院君)
| 홍윤성(洪允成)
| 1425
| 1475
|
안양공(安襄公)
| 청평군(淸平君)
| 곽연성(郭連城)
| ?
| 1464
|
| 하음군(河陰君)
| 전균(田畇)
| ?
| 1470
|
정난삼등공신 (靖難三等功臣)
| 양희공(襄僖公)
| 계림군(鷄林君)
| 이흥상(李興商)
| ?
| 1465
|
평간공(平簡公)
|
| 이예장(李禮長)
| 1406
| 1456
|
충문공(忠文公)
|
| 성삼문(成三問)
| 1418
| 1456
|
양정공(襄靖公)
| 복성군(福城君)
| 권언(權躽)
| ?
| 1467
|
안양공(安襄公)
| 옥천군(玉川君)
| 설계조(薛繼祖)
| ?
| 1467
|
희양공(僖襄公)
| 문원군(文原君)
| 유사(柳泗)
| 1423
| 1471
|
공양공(恭襄公)
| 신천군(信川君)
| 강곤(康袞)
| 1411
| 1484
|
| 양양군(襄陽君)
| 임자번(林自蕃)
| ?
| ?
|
문양공(文襄公)
| 오성군(筽城君)
| 유자환(柳子煥)[38]
| ?
| 1467
|
양정공(襄靖公)
| 영가군(永嘉君)
| 권경(權擎)
| 1429
| 1482
|
양묵공(襄墨公)
| 여산군(礪山君)
| 송익손(宋益孫)
| ?
| 1482
|
|
| 유숙(柳淑)
| ?
| ?
|
양이공(襄夷公)
| 공산군(公山君)
| 안경손(安慶孫)
| 1416
| 1479
|
양도공(襄悼公)
|
| 한명진(韓明溍)
| ?
| 1454
|
| 청원군(淸原君)
| 한서귀(韓瑞龜)
| ?
| ?
|
호양공(胡襄公)
| 여천군(驪川君)
| 이몽가(李蒙哥)
| 1405
| 1487
|
안양공(安襄公)
| 당성군(唐城君)
| 홍순로(洪純老)
| 1416
| 1474
|
1.2.5. 좌익공신(佐翼功臣)[39]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수충위사동덕좌익공신 (輸忠衛社同德佐翼功臣)
| 충소공(忠昭公)
| 계양군(桂陽君)
| 이증(李璔)
| 1427
| 1464
|
충성공(忠成公)
| 익현군(翼峴君)
| 이관(李璭)
| 1431
| 1463
|
충경공(忠景公)
| 영천부원군(鈴川府院君)
| 윤사로(尹師路)
| 1423
| 1463
|
양절공(襄節公)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 한확(韓確)
| 1403
| 1456
|
익평공(翼平公)
|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 권람(權擥)
| 1416
| 1465
|
문충공(文忠公)
| 고령부원군(高靈府院君)
| 신숙주(申叔舟)
| 1417
| 1475
|
충성공(忠成公)
|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 한명회(韓明澮)
| 1415
| 1487
|
수충경절좌익공신 (輸忠勁節佐翼功臣)
| 문성공(文成公)
|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 정인지(鄭麟趾)
| 1396
| 1478
|
문안공(文安公)
| 견성부원군(甄城府院君)
| 이사철(李思哲)
| 1405
| 1456
|
제도공(齊度公)
| 파평군(坡平君)
| 윤암(尹巖)
| ?
| 1461
|
공무공(恭武公)
| 한산군(韓山君)
| 이계린(李季疄)
| 1401
| 1455
|
문열공(文烈公)
| 한성군(韓城君)
| 이계전(李季甸)
| 1404
| 1459
|
문경공(文景公)
|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
| 강맹경(姜孟卿)
| 1410
| 1461
|
공간공(恭簡公)
|
| 윤형(尹炯)
| 1388
| 1453
|
문정공(文靖公)
| 영성부원군(寧城府院君)
| 최항(崔恒)
| 1409
| 1474
|
| 하음군(河陰君)
| 전균(田畇)
| ?
| 1470
|
안무공(安武公)
| 남양부원군(南陽府院君)
| 홍달손(洪達孫)
| 1415
| 1472
|
안양공(安襄公)
| 화산군(花山君)
| 권반(權攀)
| 1419
| 1472
|
충정공(忠貞公)
| 봉원부원군(蓬原府院君)
| 정창손(鄭昌孫)
| 1402
| 1487
|
추충좌익공신 (推忠佐翼功臣)
| 양효공(襄孝公)
| 화천군(花川君)
| 권공(權恭)
| ?
| 1462
|
장강공(莊剛公)
| 양산군(梁山君)
| 이징석(李澄石)
| ?
| 1461
|
열성공(烈成公)
| 남원군(南原君)
| 황수신(黃守身)
| 1407
| 1467
|
세양공(世襄公)
|
| 박강(朴薑)
| ?
| 1460
|
충장공(忠莊公)
|
| 권자신(權自愼)
| ?
| 1456
|
문헌공(文獻公)
|
| 박원형(朴元亨)
| 1411
| 1469
|
충렬공(忠烈公)
|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
| 구치관(具致寬)
| 1406
| 1470
|
성안공(成安公)
| 영평군(鈴平君)
| 윤사윤(尹士昀)
| 1409
| 1461
|
충문공(忠文公)
|
| 성삼문(成三問)
| 1418
| 1456
|
충간공(忠簡公)
|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 조석문(曺錫文)
| 1413
| 1477
|
평간공(平簡公)
|
| 이예장(李禮長)
| 1406
| 1456
|
문정공(文靖公)
| 원성군(原城君)
| 원효연(元孝然)
| ?
| 1466
|
안양공(安襄公)
| 청성군(淸城君)
| 한종손(韓終孫)
| ?
| 1467
|
|
| 이휘(李徽)
| ?
| 1456
|
양평공(襄平公)
| 상산군(商山君)
| 황효원(黃孝源)
| 1414
| 1481
|
문헌공(文憲公)
| 무송부원군(茂松府院君)
| 윤자운(尹子雲)
| 1416
| 1478
|
익평공(翼平公)
| 광릉부원군(廣陵府院君)
| 이극배(李克培)
| 1422
| 1495
|
문경공(文景公)
| 광성군(廣城君)
| 이극감(李克堪)
| 1423
| 1465
|
문평공(文平公)
| 복천군(福川君)
| 권개(權愷)
| ?
| 1468
|
| 개성군(開城君)
| 최유(崔濡)
| ?
| ?
|
성탁공(成度公)
| 창성군(昌城君)
| 조효문(曹孝門)
| ?
| 1462
|
문양공(文襄公)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 한계미(韓繼美)
| 1421
| 1471
|
문절공(文節公)
| 하원군(河原君)
| 정수충(鄭守忠)
| 1401
| 1469
|
| 파산군(巴山君)
| 조득림(趙得琳)
| ?
| ?
|
문정공(文靖公)
|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
| 김질(金礩)
| 1422
| 1478
|
위평공(威平公)
| 인산부원군(仁山府院君)
| 홍윤성(洪允成)
| 1425
| 1475
|
1.2.6. 적개공신(敵愾功臣)[40]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 (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 충무공(忠武公)
| 구성군(龜城君)
| 이준(李浚)
| 1441
| 1479
|
충간공(忠簡公)
|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 조석문(曺錫文)
| 1413
| 1477
|
장민공(莊敏公)
| 산양군(山陽君)
| 강순(康純)
| 1390
| 1468
|
정장공(貞莊公)
| 예성군(蘂城君)
| 어유소(魚有沼)
| 1434
| 1489
|
소양공(昭襄公)
| 평양군(平陽君)
| 박중선(朴仲善)
| 1435
| 1481
|
충정공(忠貞公)
|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
| 허종(許琮)
| 1434
| 1494
|
|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
| 윤필상(尹弼商)
| 1427
| 1504
|
양양공(良襄公)
| 선산군(善山君)
| 김교(金嶠)
| 1428
| 1480
|
충무공(忠武公)
| 의산군(宜山君)
| 남이(南怡)
| 1441
| 1468
|
정양공(靖襄公)
| 연안군(延安君)
| 이숙기(李淑琦)
| 1429
| 1489
|
정충포의적개공신 (精忠布義敵愾功臣)
| 정정공(丁靖公)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 김국광(金國光)
| 1415
| 1480
|
효장공(孝莊公)
| 길성군(吉城君)
| 허유례(許惟禮)
| ?
| ?
|
장경공(莊敬公)
| 종성군(鍾城君)
| 이운로(李雲露)
| ?
| ?
|
장경공(莊敬公)
| 전의군(全義君)
| 이덕량(李德良)
| 1435
| 1487
|
| 곤산군(昆山君)
| 배맹달(裵孟達)
| ?
| ?
|
평호공(平湖公)
| 가평군(嘉平君)
| 이형손(李亨孫)
| ?
| ?
|
이간공(夷簡公)
| 진남군(鎭南君)
| 이종생(李終生)
| 1406
| 1470
|
양간공(襄簡公)
| 전성군(全城君)
| 이서장(李恕長)
| 1423
| 1484
|
공양공(恭襄公)
| 청릉군(淸陵君)
| 김순명(金順命)
| 1435
| 1487
|
공양공(恭襄公)
| 언양군(彦陽君)
| 김관(金瓘)
| 1425
| 1485
|
| 능산군(綾山君)
| 구겸(具謙)
| ?
| ?
|
| 철성군(鐵城君)
| 박식(朴埴)
| ?
| ?
|
양호공(襄胡公)
| 광원군(光原君)
| 김백겸(金伯謙)
| ?
| ?
|
양숙공(襄肅公)
| 아성군(牙城君)
| 어세공(魚世恭)
| 1432
| 1486
|
| 나성군(羅城君)
| 오자치(吳自治)
| ?
| ?
|
|
| 정숭로(鄭崇魯)
| ?
| ?
|
안양공(安襄公)
| 연복군(延福君)
| 장말손(張末孫)
| 1431
| 1486
|
양민공(襄敏公)
| 계천군(雞川君)
| 손소(孫昭)
| 1433
| 1484
|
| 두원군(荳原君)
| 오순손(吳順孫)
| ?
| 1467
|
| 풍산군(豊山君)
| 심응(沈膺)
|
|
|
| 함안군(咸安君)
| 윤말손(尹末孫)
|
|
|
|
| 김면(金沔)
|
|
|
| 신창군(新昌君)
| 맹석흠(孟碩欽)
|
|
|
1.2.7. 익대공신(翊戴功臣)[41]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수충보사병기정난익대공신 (輸忠保社炳幾定難翊戴功臣)
|
| 무령부원군(武靈府院君)
| 유자광(柳子光)
| 1439
| 1512
|
문충공(文忠公)
| 고령부원군(高靈府院君)
| 신숙주(申叔舟)
| 1417
| 1475
|
충성공(忠成公)
|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 한명회(韓明澮)
| 1415
| 1487
|
|
| 신운(申雲)
| ?
| ?
|
양평공(襄平公)
| 청평군(淸平君)
| 한계순(韓繼純)
| 1431
| 1486
|
수충보사정난익대공신 (輸忠保社定難翊戴功臣)
| 장효공(章孝公)
| 밀성군(密城君)
| 이침(李琛)
| 1430
| 1479
|
소간공(昭簡公)
| 덕원군(德源君)
| 이서(李曙)
| 1449
| 1498
|
공소공(恭昭公)
| 영순군(永順君)
| 이부(李溥)
| 1444
| 1470
|
충무공(忠武公)
| 구성군(龜城君)
| 이준(李浚)
| 1441
| 1479
|
공숙공(恭肅公)
| 청송부원군(靑松府院君)
| 심회(沈澮)
| 1418
| 1493
|
문헌공(文獻公)
|
| 박원형(朴元亨)
| 1411
| 1469
|
편정공(褊玎公)
| 하성부원군(河城府院君)
| 정현조(鄭顯祖)
| ?
| ?
|
| 거평군(居平君)
| 이복(李復)
| 1428
| ?
|
공장공(恭長公)
| 광천군(廣川君)
| 이극증(李克增)
| 1431
| 1494
|
|
| 박지번(朴之蕃)
| ?
| ?
|
추충정난익대공신 (推忠定難翊戴功臣)
| 문성공(文成公)
|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 정인지(鄭麟趾)
| 1396
| 1478
|
충정공(忠貞公)
| 봉원부원군(蓬原府院君)
| 정창손(鄭昌孫)
| 1402
| 1487
|
충간공(忠簡公)
|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 조석문(曺錫文)
| 1413
| 1477
|
양혜공(襄惠公)
| 청천부원군(淸川府院君)
| 한백륜(韓伯倫)
| 1427
| 1474
|
문광공(文匡公)
| 선성부원군(宣城府院君)
| 노사신(盧思愼)
| 1427
| 1498
|
소양공(昭襄公)
| 평양군(平陽君)
| 박중선(朴仲善)
| 1435
| 1481
|
충정공(忠貞公)
| 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
| 홍응(洪應)
| 1428
| 1492
|
공양공(恭襄公)
| 신천군(信川君)
| 강곤(康袞)
| 1411
| 1484
|
| 파산군(巴山君)
| 조득림(趙得琳)
| ?
| ?
|
장성공(章成公)
|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
| 신승선(愼承善)
| 1436
| 1502
|
양평공(襄平公)
| 화천군(花川君)
| 권감(權瑊)
| 1423
| 1487
|
문정공(文貞公)
| 함종부원군(咸從府院君)
| 어세겸(魚世謙)
| 1430
| 1500
|
공양공(恭襄公)
| 영평군(鈴平君)
| 윤계겸(尹繼謙)
| 1442
| 1483
|
제안공(齊安公)
| 계림군(雞林君)
| 정효상(鄭孝常)
| 1432
| 1481
|
정순공(靖順公)
| 현복군(玄福君)
| 권찬(權攅)
| 1430
| 1487
|
공숙공(恭肅公)
| 한평군(漢平君)
| 조익정(趙益貞)
| 1436
| 1498
|
|
| 안중경(安仲敬)
| ?
| ?
|
|
| 서경생(徐敬生)
| ?
| ?
|
|
| 김효강(金孝江)
| ?
| ?
|
|
| 이존명(李存命)
| ?
| ?
|
|
| 유한(柳漢)
| ?
| ?
|
문정공(文靖公)
| 서평군(西平君)
| 한계희(韓繼禧)
| 1423
| 1482
|
1.2.8. 좌리공신(佐理功臣)[42] 성종 2년, 임금을 잘 보좌하고 정치를 잘하였다는 공로로 내린 공신. 특별한 사건도 없었고 큰 치적이 될만한 실적도 없었는데도 공신을 만들었기에 가뜩이나 세조 이래로 공신이 많은 마당에 불필요한 공신을 남발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결국 공신들이 누적해서 특권을 더 챙기게 되고 이는 훈구파가 특권층이 되어 부정부패를 저질러 조선 사회가 혼탁해지는 원인이 된다.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 문충공(文忠公)
| 고령부원군(高靈府院君)
| 신숙주(申叔舟)
| 1417
| 1475
|
충성공(忠成公)
|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 한명회(韓明澮)
| 1415
| 1487
|
문정공(文靖公)
| 영성부원군(寧城府院君)
| 최항(崔恒)
| 1409
| 1474
|
위평공(威平公)
| 인산부원군(仁山府院君)
| 홍윤성(洪允成)
| 1425
| 1475
|
충간공(忠簡公)
|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 조석문(曺錫文)
| 1413
| 1477
|
편정공(褊玎公)
| 하성부원군(河城府院君)
| 정현조(鄭顯祖)
| ?
| ?
|
문헌공(文憲公)
| 무송부원군(茂松府院君)
| 윤자운(尹子雲)
| 1416
| 1478
|
정정공(丁靖公)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 김국광(金國光)
| 1415
| 1480
|
양평공(襄平公)
| 화천군(花川君)
| 권감(權瑊)
| 1423
| 1487
|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
| 효문공(孝文公)
| 월산대군(月山大君)
| 이정(李婷)
| 1454
| 1488
|
장효공(章孝公)
| 밀성군(密城君)
| 이침(李琛)
| 1430
| 1479
|
문성공(文成公)
|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 정인지(鄭麟趾)
| 1396
| 1478
|
충정공(忠貞公)
| 봉원부원군(蓬原府院君)
| 정창손(鄭昌孫)
| 1402
| 1487
|
공숙공(恭肅公)
| 청송부원군(靑松府院君)
| 심회(沈澮)
| 1418
| 1493
|
문정공(文靖公)
|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
| 김질(金礩)
| 1422
| 1478
|
양혜공(襄惠公)
| 청천부원군(淸川府院君)
| 한백륜(韓伯倫)
| 1427
| 1474
|
양평공(襄平公)
| 파천부원군(坡川府院君)
| 윤사흔(尹士昕)
| 1422
| 1485
|
문양공(文襄公)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 한계미(韓繼美)
| 1421
| 1471
|
문정공(文靖公)
| 서평군(西平君)
| 한계희(韓繼禧)
| 1423
| 1482
|
공무공(恭武公)
| 여성군(礪城君)
| 송문림(宋文琳)
| 1409
| 1476
|
충렬공(忠烈公)
|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
| 구치관(具致寬)
| 1406
| 1470
|
순성명량좌리공신 (純誠明亮佐理功臣)
| 양정공(襄靖公)
|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
| 성봉조(成奉祖)
| 1401
| 1474
|
문광공(文匡公)
| 선성부원군(宣城府院君)
| 노사신(盧思愼)
| 1427
| 1498
|
문량공(文良公)
| 진산군(晉山君)
| 강희맹(姜希孟)
| 1424
| 1483
|
호문공(胡文公)
| 서하군(西河君)
| 임원준(任元濬)
| 1423
| 1500
|
소양공(昭襄公)
| 평양군(平陽君)
| 박중선(朴仲善)
| 1435
| 1481
|
익평공(翼平公)
| 광릉부원군(廣陵府院君)
| 이극배(李克培)
| 1422
| 1495
|
충정공(忠貞公)
| 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
| 홍응(洪應)
| 1428
| 1492
|
문충공(文忠公)
| 달성군(達城君)
| 서거정(徐居正)
| 1420
| 1488
|
문양공(文襄公)
| 남원군(南原君)
| 양성지(梁誠之)
| 1415
| 1482
|
공안공(恭安公)
| 광성군(光城君)
| 김겸광(金謙光)
| 1419
| 1490
|
공양공(恭襄公)
| 신천군(信川君)
| 강곤(康袞)
| 1411
| 1484
|
장성공(章成公)
| 거창부원군(居昌府院君)
| 신승선(愼承善)
| 1436
| 1502
|
공장공(恭長公)
| 광천군(廣川君)
| 이극증(李克增)
| 1431
| 1494
|
양평공(襄平公)
| 청평군(淸平君)
| 한계순(韓繼純)
| 1431
| 1486
|
제안공(齊安公)
| 계림군(雞林君)
| 정효상(鄭孝常)
| 1432
| 1481
|
공양공(恭襄公)
| 영평군(鈴平君)
| 윤계겸(尹繼謙)
| 1442
| 1483
|
질경공(質景公)
|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
| 한치형(韓致亨)
| 1434
| 1502
|
충간공(忠簡公)
| 연원군(延原君)
| 이숭원(李崇元)
| 1428
| 1491
|
순성좌리공신 (純誠佐理功臣)
| 문평공(文平公)
| 영산부원군(永山府院君)
| 김수온(金守溫)
| 1409
| 1481
|
문강공(文康公)
|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 이석형(李石亨)
| 1415
| 1477
|
|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
| 윤필상(尹弼商)
| 1427
| 1504
|
충정공(忠貞公)
|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
| 허종(許琮)
| 1434
| 1494
|
안양공(安襄公)
| 문성군(文城君)
| 유수(柳洙)
| 1415
| 1481
|
정장공(貞莊公)
| 예성군(蘂城君)
| 어유소(魚有沼)
| 1434
| 1489
|
평양공(平襄公)
| 동원군(東原君)
| 함우치(咸禹治)
| 1408
| 1479
|
안소공(安昭公)
| 한성군(韓城君)
| 이훈(李塤)
| 1429
| 1481
|
문평공(文平公)
| 월천군(月川君)
| 김길통(金吉通)
| 1408
| 1473
|
평양공(平襄公)
| 유성군(楡城君)
| 선형(宣炯)
| 1434
| 1479
|
양장공(襄莊公)
| 단성군(丹城君)
| 우공(禹貢)
| 1415
| 1473
|
양양공(良襄公)
| 선산군(善山君)
| 김교(金嶠)
| 1428
| 1480
|
양체공(襄替公)
| 흥원군(興原君)
| 오백창(吳伯昌)
| 1415
| 1473
|
평간공(平簡公)
| 밀산군(密山君)
| 박거겸(朴居謙)
| 1413
| 1481
|
양평공(襄平公)
| 월성군(月城君)
| 이철견(李鐵堅)
| 1435
| 1496
|
공안공(恭安公)
| 서성군(西城君)
| 한치인(韓致仁)
| 1421
| 1477
|
양평공(襄平公)
| 능원군(綾原君)
| 구문신(具文信)
| 1415
| 1485
|
정양공(靖襄公)
| 연안군(延安君)
| 이숙기(李淑琦)
| 1429
| 1489
|
익혜공(翼惠公)
| 동래군(東萊君)
| 정난종(鄭蘭宗)
| 1433
| 1489
|
장정공(莊靖公)
| 하남군(河南君)
| 정숭조(鄭崇祖)
| 1442
| 1503
|
문간공(文簡公)
| 양성군(陽城君)
| 이승소(李承召)
| 1422
| 1484
|
장도공(章悼公)
| 청양군(淸陽君)
| 한치의(韓致義)
| 1440
| 1473
|
| 낭성군(琅城君)
| 한보(韓堡)
| 1447
| 1522
|
문도공(文悼公)
| 복창군(福昌君)
| 김수녕(金壽寧)
| 1436
| 1473
|
장간공(莊簡公)
| 서릉군(西陵君)
| 한치례(韓致禮)
| 1441
| 1499
|
공도공(恭悼公)
| 서양군(西陽君)
| 한의(韓㠖)
| 1443
| 1485
|
익평공(翼平公)
| 광원군(廣原君)
| 이극돈(李克墩)
| 1435
| 1503
|
양간공(良簡公)
| 전산군(全山君)
| 이수남(李壽男)
| 1439
| 1477
|
| 호산군(湖山君)
| 이현(李鉉)
| ?
| ?
|
| 고천군(高川君)
| 신정(申瀞)
| ?
| 1482
|
공양공(恭襄公)
| 청릉군(淸陵君)
| 김순명(金順命)
| 1435
| 1487
|
| 문양군(文陽君)
| 유지(柳輊)
| ?
| ?
|
이경공(夷敬公)
| 청천군(靑川君)
| 심한(沈澣)
| 1436
| 1482
|
소안공(昭安公)
|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
| 신준(申浚)
| 1444
| 1509
|
1.2.9. 정국공신(靖國功臣)[43]
1.2.10. 정난공신(定難功臣)[44] 이과의 옥사를 다스린 공신. 죽은 사람은 이과 본인 포함 세 명 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유배로 마무리 지었을 정도로 역모치곤 그저그런 사건이라 공신 본인들조차 공신 남발이 과하다고 사양했으나 중종이 강력한 의지로 녹훈을 강행했다. 즉위 초 자신의 위치를 불안하게 여긴 중종이 공신들과의 연대를 튼튼히 하려 했다고 흔히 평가된다.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추성보사우세정난공신 (推誠保社佑世定難功臣)
|
| 광원군(光原君)
| 노영손(盧永孫)
| ?
| ?
|
문희공(文僖公)
|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 유순(柳洵)
| 1441
| 1517
|
무열공(武烈公)
|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 박원종(朴元宗)
| 1467
| 1510
|
문정공(文定公)
| 청천부원군(菁川府院君)
| 유순정(柳順汀)
| 1459
| 1512
|
| 파천군(坡川君)
| 윤탕로(尹湯老)
| 1466
| 1508
|
추성보사정난공신 (推誠保社定難功臣)
| 공목공(恭穆公)
| 여평부원군(驪平府院君)
| 민효증(閔孝曾)
| ?
| 1513
|
익평공(翼平公)
| 평원군(平原君)
| 이계남(李季男)
| ?
| 1512
|
도열공(度烈公)
|
| 홍경주(洪景舟)
| ?
| 1521
|
공호공(恭胡公)
| 한원군(韓源君)
| 이유청(李惟淸)
| 1459
| 1531
|
| 진천군(鎭川君)
| 박인손(朴仁孫)
| ?
| ?
|
1.2.11. 광국공신(光國功臣)[45]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수충공성익모수기광국공신 (輸忠貢誠翼謨修紀光國功臣)
| 문정공(文貞公)
|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 윤근수(尹根壽)
| 1537
| 1616
|
문정공(文貞公)
| 장계부원군(長溪府院君)
| 황정욱(黃廷彧)
| 1532
| 1607
|
충목공(忠穆公)
| 기계부원군(杞溪府院君)
| 유홍(兪泓)
| 1524
| 1594
|
수충공성익모광국공신 (輸忠貢誠翼謨光國功臣)
| 문청공(文淸公)
| 연양군(延陽君)
| 이후백(李後白)
| 1520
| 1578
|
문정공(文貞公)
| 익성군(益城君)
| 홍성민(洪聖民)
| 1536
| 1594
|
문정공(文靖公)
| 해원부원군(海原府院君)
| 윤두수(尹斗壽)
| 1533
| 1601
|
충정공(忠靖公)
|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
| 한응인(韓應寅)
| 1554
| 1614
|
문열공(文烈公)
| 용성군(龍城君)
| 윤섬(尹暹)
| 1561
| 1646
|
충정공(忠靖公)
| 무릉부원군(茂陵府院君)
| 윤형(尹泂)
| 1549
| 1614
|
| 당릉군(唐陵君)
| 홍순언(洪純彦)
| ?
| ?
|
수충공성광국공신 (輸忠貢誠光國功臣)
| 문헌공(文憲公)
| 덕원군(德原君)
| 기대승(奇大升)
| 1527
| 1572
|
문단공(文端公)
| 화산군(花山君)
| 김주(金澍)
| 1512
| 1563
|
문헌공(文憲公)
|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
| 이양원(李陽元)
| 1526
| 1592
|
평장공(平莊公)
| 의성군(義城君)
| 황임(黃琳)
| 1517
| 1591
|
헌민공(憲敏公)
| 칠계군(漆溪君)
| 윤탁연(尹卓然)
| 1538
| 1594
|
문청공(文清公)
| 인성부원군(寅城府院君)
| 정철(鄭澈)
| 1536
| 1594
|
문충공(文忠公)
| 아성부원군(鵝城府院君)
| 이산해(李山海)
| 1539
| 1609
|
문충공(文忠公)
|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
| 류성룡(柳成龍)
| 1542
| 1607
|
| 해성군(海城君)
| 최황(崔滉)
| 1529
| 1603
|
1.2.12. 평난공신(平難功臣)[46]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추충분의병기협책평난공신 (推忠奮義炳幾恊策平難功臣)
|
| 상산군(商山君)
| 박충간(朴忠侃)
| ?
| 1601
|
안양공(安襄公)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
| 이축(李軸)
| 1538
| 1614
|
충정공(忠靖公)
|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
| 한응인(韓應寅)
| 1554
| 1614
|
추충분의협책평난공신 (推忠奮義恊策平難功臣)
| 경정공(景靖公)
| 여양군(驪壤君)
| 민인백(閔仁伯)
| 1552
| 1626
|
정익공(靖翼公)
| 청천군(淸川君)
| 한준(韓準)
| 1542
| 1601
|
| 남계군(南溪君)
| 이수(李銖)
| 1548
| 1601
|
| 전릉군(全陵君)
| 조구(趙球)
| ?
| ?
|
| 남계군(南溪君)
| 남절(南截)
| ?
| ?
|
|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
| 김귀영(金貴榮)
| 1520
| 1593
|
문정공(文貞公)
| 시령부원군(始寧府院君)
| 유전(柳㙉)
| 1531
| 1589
|
충목공(忠穆公)
| 기계부원군(杞溪府院君)
| 유홍(兪泓)
| 1524
| 1594
|
문청공(文清公)
| 인성부원군(寅城府院君)
| 정철(鄭澈)
| 1536
| 1594
|
문충공(文忠公)
| 아성부원군(鵝城府院君)
| 이산해(李山海)
| 1539
| 1609
|
문정공(文貞公)
| 익성군(益城君)
| 홍성민(洪聖民)
| 1536
| 1594
|
숙헌공(肅憲公)
| 전성군(全城君)
| 이준(李準)
| 1545
| 1624
|
추충분의평난공신 (推忠奮義平難功臣)
| 충익공(忠翼公)
|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 이헌국(李憲國)
| 1525
| 1602
|
| 해성군(海城君)
| 최황(崔滉)
| 1529
| 1603
|
충익공(忠翼公)
| 경림부원군(慶林府院君)
| 김명원(金命元)
| 1534
| 1602
|
의간공(懿簡公)
| 아천부원군(鵝川府院君)
| 이증(李增)
| 1525
| 1600
|
문충공(文忠公)
| 오성부원군(鰲城府院君)
| 이항복(李恒福)
| 1556
| 1618
|
의간공(毅簡公)
| 진흥군(晋興君)
| 강신(姜紳)
| 1543
| 1615
|
문회공(文僖公)
| 광림군(廣林君)
| 이정립(李廷立)
| 1556
| 1595
|
1.2.13. 선무공신(宣武功臣)[47]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을 물리쳤거나, 명에 원군을 요청한 공신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 (孝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
| 충무공(忠武公)
| 덕풍부원군(德豐府院君)
| 이순신(李舜臣)
| 1545
| 1598
|
충장공(忠壯公)
|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 권율(權慄)
| 1537
| 1599
|
| 원릉군(原陵君)
| 원균(元均)
| 1540
| 1597?
|
효충장의협력선무공신 (效忠仗義協力宣武功臣)
| 충경공(忠景公)
|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 신점(申點)
| 1530
| 1601
|
충의공(忠毅公)
| 화산군(花山君)
| 권응수(權應銖)
| 1546
| 1608
|
충무공(忠武公)
|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
| 김시민(金時敏)
| 1554
| 1592
|
충목공(忠穆公)
| 월천부원군(月川府院君)
| 이정암(李廷馣)
| 1541
| 1600
|
의민공(毅愍公)
| 완흥군(完興君)
| 이억기(李億祺)
| 1561
| 1597
|
효충장의선무공신 (效忠仗宣武功臣)
| 충의공(忠毅公)
| 내성군(萊城君)
| 정기원(鄭期遠)
| 1559
| 1597
|
충정공(忠貞公)
| 길창군(吉昌君)
| 권협(權鋏)
| 1553
| 1618
|
| 문흥군(文興君)
| 유사원(柳思瑗)
| 1541
| 1608
|
| 제흥군(濟興君)
| 고언백(高彦伯)[C] 1608년 임해군의 심복이라는 혐의로 인해 제명
| ?
| 1608
|
충장공(忠壯公)
| 광남군(廣南君)
| 이광악(李光岳)
| 1557
| 1608
|
장의공(莊毅公)
| 풍양군(豐壤君)
| 조경(趙儆)
| 1541
| 1609
|
| 안창군(安昌君)
| 권준(權俊)
| 1541
| 1611
|
무의공(武毅公)
| 완천군(完川君)
| 이순신(李純信)
| 1554
| 1611
|
| 개백군(皆伯君)
| 기효근(寄孝謹)
| 1542
| 1597
|
| 식성군(息城君)
| 이운룡(李雲龍)
| 1562
| 1610
|
1.2.14. 호성공신(扈聖功臣)[48]
- 1등: 충근정량갈성효절협책호성공신(忠勤貞亮竭誠效節協策扈聖功臣)으로 이항복(李恒福)·정곤수(鄭崐壽)
- 2등: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공신으로 이호민(李好閔)·신성군(信城君)·정원군(定遠君)·윤두수(尹斗壽)·이원익(李元翼)·유영경(柳永慶) 등 31명
- 3등: 충근정량호성공신으로 정탁(鄭琢)·이헌국(李憲國)·유희림(柳希霖)·이유중(李有中) 등 86명
1.2.15. 청난공신(淸難功臣)[49]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충출기합모적의청난공신 (奮忠出氣合謀迪毅淸難功臣)
| 문장공(文莊公)
| 영원군(寧原君)
| 홍가신(洪可臣)
| 1541
| 1615
|
분충출기적의청난공신 (奮忠出氣迪毅淸難功臣)
|
| 연창군(延昌君)
| 박명현(朴名賢)[C] 1608년 임해군의 심복이라는 혐의로 인해 제명
| ?
| 1608
|
충원공(忠元公)
| 계성군(鷄城君)
| 최호(崔湖)
| 1536
| 1597
|
분충출기청난공신 (奮忠出氣淸難功臣)
| 충익공(忠翼公)
| 영성군(靈城君)
| 신경행(辛景行)
| 1547
| ?
|
| 평성군(平城君)
| 임득의(林得義)
| 1558
| 1612
|
1.2.16. 정사공신(靖社功臣)[50]
1.2.17. 진무공신(振武功臣)[51]
1.2.18. 분무공신(奮武功臣)[52]
칭호
| 시호
| 작호
| 이름
| 출생
| 사망
|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 (輸忠竭誠決幾効力奮武功臣)
| 충효공(忠孝公)
|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
| 오명항(吳命恒)
| 1673
| 1728
|
수충갈성결기분무공신 (輸忠竭誠決幾奮武功臣)
|
| 함녕군(咸寧君)
| 박찬신(朴纘新)[53]
| ?
| 1755
|
충헌공(忠憲公)
| 영성군(靈城君)
| 박문수(朴文秀)
| 1691
| 1756
|
| 함은군(咸恩君)
| 이삼(李森)
| 1677
| 1735
|
문충공(文忠公)
| 풍릉부원군(豐陵府院君)
| 조문명(趙文命)
| 1680
| 1732
|
양정공(襄靖公)
| 금릉군(錦陵君)
| 박필건(朴弼健)
| 1671
| 1738
|
| 언성군(彦城君)
| 김중만(金重萬)
| 1681
| 1755
|
| 한원군(韓原君)
| 이만유(李萬囿)[54]
| ?
| ?
|
공신닷컴 항목 참조. 공신은 해당 사이트에서 학생들 컨설팅을 자발적으로 해주는 선배들을 칭하는 호칭이기도 하다.
과거
입시3대포탈 중 하나로 꼽혔으나, 입시 컨설팅 역할이 줄어들어 현재는 인강 자체보다는 학생 멘토링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다.
3. 드라마
KBS 드라마
공부의 신이 있다.
모든 병기 전법이 무조건 크리티컬이 된다. 모든 무장 통틀어 '''유일하게'''
황월영만 가지고 있다. 황월영을 부장으로 넣고 무력 높은 무장을 주장으로 세워 공성병기를 출진시키면 광역딜 가능한 부대가 된다. 특기 보유자가 공개되기 전에는 당연히
유엽의 특기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황월영이 가지고 나왔다. 진삼국무쌍 시리즈부터 시작된 황월영 공순이 이미지를 강조하고 싶었던 듯. 어쨋든 신급 특기기에 다른 신급 특기들과 마찬가지로 활용도는 탑 클래스다.
반드시 병기를 끌고 나가야 효력이 나오므로 병기개발이나 연구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야 제대로 활약할 수 있다.
사정,
주악 등과 궁합이 잘 맞는 특기. PK 능력연구에선 무력 + 지력 트리 랜덤 등장으로 3회 배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