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맨

 


[image]
モンゴルマン
1. 프로필
2. 소개
3. 테마곡


1. 프로필


소속 : 정의초인(아이돌초인군)
출신 : 몽골
나이 : 30세
신장 : 208cm
체중 : 130kg
초인강도 : 100만파워
'''필살기'''
레그 레리어트
투룡극의 강아지풀
'''태그팀 경력'''
버팔로맨과 함께 2000만파워즈
'''태그 필살기'''
버팔로맨과 함께 롱혼 트레인
'''이명'''
초인계의 구세주 (메시아)
비극의 마스크맨
아시아의 늑대
고독한 늑대 (론리울프)
냉철한 마스크
심판의 신

2. 소개


근육맨에 등장하는 초인, 체술을 위주로 싸우며 변발을 한 머리카락을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다. 정의초인들이 위기에 빠질 때마다 등장해서 도움을 주었으며 그런 연유에서 '구세주'라고도 불린다.
사실 그의 정체는 '''라면맨'''. 워즈맨과의 싸움에서 머리 부분을 다쳐서 식물인간이 되어서 절망에 빠져있던 라면맨이었으나, 종점산이란 곳에 요양하러 가자 몸이 씻은 듯 낫는 신기한 경험을 하게 된다. 하지만 안개가 없는 종점산 밖으로 나가면 다시 식물인간이 될 운명이었다.
그러나 닥터 봄베의 처방을 받아 영령안개의 원천인 '영령목(木)'의 껍질로 만든 가면을 쓰게 되고[1], 이후 바깥 세상에서도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가면을 벗는 순간 그는 다시 식물인간 상태로 돌아가버리고 만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정의초인계를 돕기로 결심한다.
...라는 설정이지만 처음 몽골맨이 등장했을 때는 계속해서 라면맨이라는 암시를 주었으며, 심지어는 일이 끝나고 돌아가는 길에 가면을 벗고 정체를 드러낸 상태로 떠나기도 한다. 식물인간 설정은 첫 설정 당시에는 없었던 것 같다. 애니판에서는 이 점이 이상하다고 의식했는지 바람으로 후드가 벗겨져 몽골맨의 뒷모습만 나오는 걸로 바뀌었다.
그러나 이후에 등장할 때는 다시 정체를 숨기고 등장하며(전에 다 밝혀놨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등장인물의 기억도 리셋되어 알아채지 못하게 되었다), 꿈의 태그편에서 가면을 벗으면 다시 식물인간이 되는 비극의 가면 레슬러란 설정이 최종적으로 추가되었다.
이후 왕위쟁탈전에서 라면맨이 몽골맨 가면 대신 머리 상처만 커버하는 밴드를 머리에 두르고 컴백하면서 몽골맨은 등장하지 않게 되었으나, 궁극의 초인태그 편에서는 아직 왕위쟁탈전 시점이 아니라 꿈의 초인태그 직후이기 때문에 몽골맨의 모습으로 재등장했다.
기본적으로 기술은 라면맨과 마찬가지로 화려하지만 자신이 라면맨이란 것을 숨기고 있기 때문에, '카멜 클러치'를 비롯한 원래 라면맨 필살기의 대다수를 봉인한 상태로 싸운다. 주된 필살기는 '레그 래리어트'. 다만 2세에서는 정체를 숨기기 위해서 그런 것이 아니라, 몽골맨 상태로 있으면 제대로 된 기술을 쓸 수 없다고 발언했기 때문에 정체를 숨기기 위해서 일부러 안 쓴 것이 아니었을 가능성도 있다.
왕위쟁탈전에서 라면맨이 바이크맨을 상대할 때 바이크맨에게 카멜 클러치를 시전하면서 '몽골맨 때의 나라면 이쯤에서 기술을 늦췄겠지만...(후략)'이라고 말한 것을 보면 단순히 그냥 기믹에 따른 기술의 변화인지도...
참고로 몽골맨의 초인강도는 100만 파워. 그런데 라면맨은 '''97만''' 파워. 그래서 마스크가 3만 파워의 힘을 지녔단 농담도 있다. 실제로는 그냥 2000만 파워즈의 이름을 이야기할 때 계산의 편의상 반올림해서 100만이라고 얘기했던 것이 설정으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덤으로 마스크의 두께 탓인가 신장도 라면맨보다 1cm 늘었다.
그러나 초인 강도만 높았지, 정체를 숨기기 위해서 라면맨 시절의 쿵푸 살법이라든가, 상대를 완전히 끝장낼 때까지 몰아붙이는 잔학 살법 같은 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2세에서 추가된 묘사에 의하면 몽골맨일 때는 라면맨보다 전투력이 떨어지는 듯. 왕위쟁탈전에서 바이크맨에게 카멜 클러치를 사용하면서 한 말에 의하면 전투력 자체는 동일하지만 몽골맨 때에는 상대를 끝장내기 직전 공격을 완화시킨다고 한다.
신 근육맨에서는 라면맨이 근육 네메시스의 배틀쉽 정크를 당하는 도중 근육맨의 "구해줘, 메시아!"에 응하듯이, 라면맨의 얼굴에 몽골맨의 얼굴 문신이 나타났다. 그리고는 스프링맨의 조이기 기술에서 풀려날 때의 기술로 배틀쉽 정크에서 탈출.
참고로 해당 편의 제목은 '''"투장 라면맨!의 권"'''.
당시 악마초인편 연재 중에는 라면맨을 주인공으로 한 스핀오프 작품 투장 라면맨이 플래쉬 점프에 연재 중이었기 때문에 근육맨 본편에서는 라면맨을 내는 것을 자제하는 조치가 내려져서, 몽골맨으로 기믹을 바꿔봤다고 한다.
어쨌든 프로레슬링에서 흔히 있는 '기존 레슬러가 마스크 레슬러로 전혀 다른 분위기의 캐릭터를 연기한다' 라는 시츄에이션을 라면맨에게 도입시켜본 캐릭터라 할 수 있겠다. 라면맨과는 분위기가 상당히 달라서 동일인물임에도 '라면맨보다 몽골맨이 더 좋다' 라는 팬도 존재할 정도.
극장판이랑 애니 오리지널 에피소드에서는 모두 라면맨의 모습으로만 등장하는 바람에 등장하지 않았다. 때문에 원작이 아닌 애니판에서도 극장판은 패러렐 월드 로 볼수있다.

3. 테마곡



테마곡 '''아시아의 늑대'''
私はモンゴルマン
와따시와 몬고루만
내 이름은 몽골맨
キン肉マンから何度もコンビを組んでくれと頼まれたが
긴니쿠만까라 난도모 콤비오 쿤데 쿠레또 타노마레타가
근육맨에게는 몇번이고 콤비를 짜달라는 부탁을 받았지만
私はバッファローマンと組むことになった
와따시와 버파로만또 쿠무 코토니 낫타
나는 버팔로맨과 콤비를 결성했다
必殺技はいろいろあるが
힛사츠와자와 이로이로 아루가
필살기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中国拳法をしにしたものが 特技ちゅうの特技だ
쥬우고쿠겐보오 시리시타 모노가 토쿠기쥬우노 토쿠기다
중국 권법을 이용한 것이 특기 중의 특기다
例えば 胡蝶の舞と言って 文字通り いっちょうのように ひらひらまいながら
타토에바 호쵸우노 마이토 잇테 모지도오리 잇쵸노 요우니 히라히라 마이나가라
예를 들어 나비의 춤이라고 하면 문자 그대로 나비처럼 하늘하늘 춤추다가
いつの間にか 相手を倒したりする技だ
이츠노마니카 아이테오 타오시타리스루 와자다
어느 사이엔가 상대를 쓰러뜨리는 기술이다
広い蒙古平原を
히로이 모우코헤이겐오
드넓은 몽고의 평원을
走る謎の孤独な狼(ロンリーウルフ)
하시루 나조노 론리-우루후
달리는 수수께끼의 외로운 늑대
クールな覆面(マスク)の下
쿠루나 마스크노 시타
냉철한 마스크 아래엔
優しい笑顔がある
야사시이 에가오가 아루
따뜻한 미소가 있다

熱く戦う時
아츠쿠 타타카우 토키
뜨겁게 싸울 때
風が愛を語る
카제가 아이오 카타루
바람이 사랑을 읊고
勇気 輝く時
유우키 카가야쿠 토키
용기가 빛날 때
叫ベ モンゴルマン
사케베 몬고루만
외쳐라 몽골맨
私とバッファローマンとのコンビを 2000万パワーズと言う
와따시토 버파로만또노 콤비오 니센만파와즈또 이우
나와 버팔로맨의 콤비를 2천만 파워즈라 부른다
ツープラトンは ロングホーントレインだ
츠-플라톤와 롱혼트레인다
투 플라톤은 롱혼트레인
バッファローマンのパワー 私のテクニック
버파로만노 파와 와따시노 테크니쿠
버팔로맨의 파워 나의 테크닉
それがあれば 夢の超人タッグの優勝は間違いない
소레가 아레바 유메노 초진탓그노 유쇼우와 마치가이 나이
그것이 있으니 꿈의 초인태그의 우승은 틀림없다
荒れた山に花が咲く
아레타 야마니 하나가 사쿠
거친 산에도 꽃이 피고
夢は遠き桃源郷(ユートピア)
유메와 토오키 유토피아
꿈은 머나먼 유토피아
顔も名前も変え
카오모 나마에모 카에
얼굴도 이름도 바꾸고
戦い続ける戦士
타타카이 츠즈케루 센시
싸움을 계속하는 전사
空手 闇をちぎり
카라테 야미오 치기리
공수촙이 어둠을 찢고
虹を 胸に描く
니지오 무네니 에가쿠
무지개를 가슴에 그린다
友と 心重ね
토모토 코코로 카사네
친구를 가슴에 새기고
燃えろ モンゴルマン
모에로 몬고루만
타올라라 몽골맨
広い蒙古平原を
히로이 모우코헤이겐오
드넓은 몽고의 평원을
走る謎の孤独な狼(ロンリーウルフ)
하시루 나조노 론리-우루후
달리는 수수께끼의 외로운 늑대

荒れた山に花が咲く
아레타 야마니 하나가 사쿠
거친산에도 꽃이 피고

夢は遠き桃源郷
유메와 토오키 유토피아
꿈은 머나먼 유토피아
ははは...
하하하...
하하하...
焼肉百人前分
야키니쿠 햐쿠닌마에푼
불고기 백인분!
ははは...
하하하...
하하하...
クアア
쿠아아
타앗!!

[1] 즉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 사실이지만 몽골맨의 마스크는 대부분의 마스크 초인들이 쓰는 천 재질도, 로빈마스크처럼 철재도 아닌 목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