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돌리드 논쟁
Junta de Valladolid, Valladolid debate
1550년 스페인 서북부의 바야돌리드에서 일어난 논쟁.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이후, 스페인인들은 아메리카 대륙을 식민지로 만들면서 수많은 인디오[1] 들을 학살하고 노예로 삼았다. 그러나 스페인의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잔혹한 식민통치가 계속 되자 스페인 내부에서도 이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 아메리카 대륙의 인디오들이 스페인의 가혹한 통치로 점점 인구가 감소하면서 스페인 왕 카를로스 1세(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엔코미엔다[2] 를 폐지하는 정책을 추진했지만 엔코미엔다를 통해 막대한 이득을 보고 있던 스페인 대귀족들의 반발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3] 이에 카를로스 1세는 아메리카 대륙의 인디오들의 지위와 권리에 대한 확실한 판단을 위해 위원회를 구성하고 바야돌리드에서 회의를 개최하게 되었다.
이 회의에서 저명한 스페인의 석학인 세풀베다(Juan Gines de Sepulveda)는 "인디오들은 이성이 없기 때문에 강압적 방법으로 지배하고 통치해도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 반면, 도미니코회 수사인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는 "인디오들에게도 이성이 있으며, 강압적인 방식이 아닌 설득과 교육으로 인디오들을 교화시켜야 한다"고 맞섰다.
당대의 고명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자였던 세풀베다는, 아메리카에 대한 군사적 정복을 옹호하던 이였고 이에 맞선 라스 카사스는 66세로서 1544년에 치아파스 지역의 주교로 부임했었고 1547년까지 아메리카에 실제로 머물러 있었다.
세풀베다는 오랫동안 스페인의 군사적 정복을 옹호한 인물이었는데, 1529년에는 오스만 투르크에 맞서 십자군 거병을 요구하기도 한 인물이었다. 세풀베다로 대표되는 호전적 정신은 에라스무스의 평화주의에 맞서 군사적 정복을 옹호한 카프리의 영주 알베르토 피오의 후원을 받았다. 상기한 대로 세풀베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대가였으며, 이에 따라 세풀베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연적 노예 상태에 대한 이론을 전개한 것을 역설할 수 있었다. 또한 아우구스티노의 '죄에 대한 징벌로서의 노예' 이론을 전개하였고 그 근거로 인디오들의 우상숭배, 식인 풍습, 인신공양들을 제시하였다.
한편 라스 카사스는 "인디오들의 토지 소유권 역시 '''자연법과 국제법'''에 따라 하느님 앞에서 존중되어야 한다"고 역설했고, 고대유럽에도 야만적인 그리스-로마, 켈트 게르만 이교도의 우상숭배, 식인 풍습, 인신공양들이 만연했으며, 예수님과 12사도들은 이들 죄인을 사랑과 복음으로 죄악을 회개시켜 교화했었다고 했다.신대륙의 인디오들도 문명을 쌓은 이성인들이므로, '''가톨릭으로 개종하지 않는다고 처벌되어서는 안 되며,''' 악의적으로 복음의 전파를 막는 이들만이 처벌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의 시대 상황을 고려하면 이는 매우 수준 높은 주장이었다. 놀랍게도 라스 카사스는 '''"교황이나 그리스도교 군주가 보편적인 정치적 정당성을 가지지 못했으므로,''' 타 문명인이 자리잡은 아메리카에 대한 군사적 정복은 합당하지 않다"고까지 주장했다.
며칠간의 격렬한 논쟁 끝에 교황 특사는 라스카사스의 의견을 수용하여 "인디오들에게도 이성과 문화가 있으며, 인디오들을 노예로 삼거나 가혹한 처우를 해선 안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인디오들을 노예로 만드는 모든 행위가 불법화되었다. 그러나 인디오들을 노예로 삼지 못하게 되는 바람에, 이후 아프리카의 흑인들을 마구잡이로 잡아다가 노예로 끌고 오는 사태가 일어나게 되어버렸다. 한 마디로 말해서 "인디오들도 우리랑 같은 인간인 것 같으니 더 이상 인간을 괴롭히지 말고, '''인간이 아닌 흑인 노예 갖다 쓰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쟁은, 근대 국제법의 탄생에 직결되는 내용들을 담고 있었으며 몽테뉴[4] 가 1580년에 '''"야만인들의 악행에 관해서는 정죄하면서도 우리 유럽인들 자신의 악행들에 대해서는 눈이 멀어 있다"'''고 개탄하는 등, 자기 반성적 태도를 유럽에 불러일으켰다.[5]
상기의 역사적 사실들에 근거한 소설도 있으며 국내에 번역 출간되어 있다 (바야돌리드 논쟁, 샘터, 2007).
1. 개요
1550년 스페인 서북부의 바야돌리드에서 일어난 논쟁.
2. 배경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이후, 스페인인들은 아메리카 대륙을 식민지로 만들면서 수많은 인디오[1] 들을 학살하고 노예로 삼았다. 그러나 스페인의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잔혹한 식민통치가 계속 되자 스페인 내부에서도 이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 아메리카 대륙의 인디오들이 스페인의 가혹한 통치로 점점 인구가 감소하면서 스페인 왕 카를로스 1세(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엔코미엔다[2] 를 폐지하는 정책을 추진했지만 엔코미엔다를 통해 막대한 이득을 보고 있던 스페인 대귀족들의 반발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3] 이에 카를로스 1세는 아메리카 대륙의 인디오들의 지위와 권리에 대한 확실한 판단을 위해 위원회를 구성하고 바야돌리드에서 회의를 개최하게 되었다.
3. 전개
이 회의에서 저명한 스페인의 석학인 세풀베다(Juan Gines de Sepulveda)는 "인디오들은 이성이 없기 때문에 강압적 방법으로 지배하고 통치해도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 반면, 도미니코회 수사인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는 "인디오들에게도 이성이 있으며, 강압적인 방식이 아닌 설득과 교육으로 인디오들을 교화시켜야 한다"고 맞섰다.
당대의 고명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자였던 세풀베다는, 아메리카에 대한 군사적 정복을 옹호하던 이였고 이에 맞선 라스 카사스는 66세로서 1544년에 치아파스 지역의 주교로 부임했었고 1547년까지 아메리카에 실제로 머물러 있었다.
세풀베다는 오랫동안 스페인의 군사적 정복을 옹호한 인물이었는데, 1529년에는 오스만 투르크에 맞서 십자군 거병을 요구하기도 한 인물이었다. 세풀베다로 대표되는 호전적 정신은 에라스무스의 평화주의에 맞서 군사적 정복을 옹호한 카프리의 영주 알베르토 피오의 후원을 받았다. 상기한 대로 세풀베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대가였으며, 이에 따라 세풀베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연적 노예 상태에 대한 이론을 전개한 것을 역설할 수 있었다. 또한 아우구스티노의 '죄에 대한 징벌로서의 노예' 이론을 전개하였고 그 근거로 인디오들의 우상숭배, 식인 풍습, 인신공양들을 제시하였다.
한편 라스 카사스는 "인디오들의 토지 소유권 역시 '''자연법과 국제법'''에 따라 하느님 앞에서 존중되어야 한다"고 역설했고, 고대유럽에도 야만적인 그리스-로마, 켈트 게르만 이교도의 우상숭배, 식인 풍습, 인신공양들이 만연했으며, 예수님과 12사도들은 이들 죄인을 사랑과 복음으로 죄악을 회개시켜 교화했었다고 했다.신대륙의 인디오들도 문명을 쌓은 이성인들이므로, '''가톨릭으로 개종하지 않는다고 처벌되어서는 안 되며,''' 악의적으로 복음의 전파를 막는 이들만이 처벌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의 시대 상황을 고려하면 이는 매우 수준 높은 주장이었다. 놀랍게도 라스 카사스는 '''"교황이나 그리스도교 군주가 보편적인 정치적 정당성을 가지지 못했으므로,''' 타 문명인이 자리잡은 아메리카에 대한 군사적 정복은 합당하지 않다"고까지 주장했다.
4. 결과 및 의의
며칠간의 격렬한 논쟁 끝에 교황 특사는 라스카사스의 의견을 수용하여 "인디오들에게도 이성과 문화가 있으며, 인디오들을 노예로 삼거나 가혹한 처우를 해선 안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인디오들을 노예로 만드는 모든 행위가 불법화되었다. 그러나 인디오들을 노예로 삼지 못하게 되는 바람에, 이후 아프리카의 흑인들을 마구잡이로 잡아다가 노예로 끌고 오는 사태가 일어나게 되어버렸다. 한 마디로 말해서 "인디오들도 우리랑 같은 인간인 것 같으니 더 이상 인간을 괴롭히지 말고, '''인간이 아닌 흑인 노예 갖다 쓰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쟁은, 근대 국제법의 탄생에 직결되는 내용들을 담고 있었으며 몽테뉴[4] 가 1580년에 '''"야만인들의 악행에 관해서는 정죄하면서도 우리 유럽인들 자신의 악행들에 대해서는 눈이 멀어 있다"'''고 개탄하는 등, 자기 반성적 태도를 유럽에 불러일으켰다.[5]
상기의 역사적 사실들에 근거한 소설도 있으며 국내에 번역 출간되어 있다 (바야돌리드 논쟁, 샘터, 2007).
[1] 여기서는 역사적 명칭을 따라 원주민 대신 '인디오'를 쓴다.[2] 스페인 국왕으로부터 권리를 위임받아 아메리카 대륙 등지를 지배, 관리하는 제도를 뜻한다.[3] 콩키스타도르의 반발로 인하여 라스카사스는 1546년에 주교직에서 물러났고 국왕은 1549년에 엔코미엔다에 대한 개혁 조항을 포기했다.[4] <수상록>으로 유명한 그 사람이다.[5] 상기 내용들의 출처는 주로 대서양 문명사, 김명섭 교수 저, 256-261쪽